I don't want to live a life with only voices.
  • 적정 부채비율

    1. 부채비율 (Debt Ratio) ‘부채비율’ 은 부채 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부채비율 = 부채총액 ÷ 자기자본 × 100% 2. 적정 부채비율 예를 들어 부채총액 100억 인 회사의 자본총액(자기자본)이 200억이라고 할 경우 적정 부채비율은 50%가 되며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부채총액 100억 인 회사가 자본총액이 50억이라고 할 경우 부채비율은 200%가 됩니다.부채총액 100억에 자본총액 100억…

  •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2가지 증자의 차이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는 주식에서 증자는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증자(增資)란 기업의 자본금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유상증자는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기업의 자본금이 늘어나게 되며, 주식을 구매할 수요자에게 배정하는 말합니다.유상증자를 하게 되면 주식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기존의 주식 투자자에게는 악재로 작용합니다.무상증자의 경우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세가지 항목의 자금을 주식에 편입 시키는…

  • 매출채권과 매입채무

    ‘매출채권과 매입채무‘ 는 기업이 발생한 매출 중에 거래처로부터 받아야 할 채권과 갚아야 할 채무로 나뉘게 됩니다. 1. 매출채권 매출채권(Accounts receivable)은 기업이 제품을 판매할 때 외상으로 판매하면서 발생한 채권이며, 매출에서 발생한 금액을 미래에 지급 받는 의미로 구입한 기업으로부터 받은 채권을 뜻합니다.또한 매출채권은 회계상의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 중 당좌자산에 해당합니다.매출채권은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으로  나뉘어…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그리고 ‘관계기업‘ 을 재무제표에서 확인 해 보겠습니다.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 연결재무제표에서 ‘지배기업’ 이란 다른 회사 즉, 종속기업의 주식을 50% + 1주 이상 보유하면 다른 회사의 ‘지배회사’ 가 됩니다. 경우에 따라 지분율이 50% 이하라 하더라도 지배력이 있다고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주식의 30%를 보유하더라도 나머지 주식은 많은…

  • 시가총액

    1. 시가총액 기본 사항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에서 시가의 사전적 의미는 시장에서 물품이 매매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즉, 시장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는 뜻으로 시가라고 합니다. 시가총액은 주식이 평가 받는 총 가치를 의미하며, 총 주식 수에 주가를 곱한 것입니다. 시가총액 = 주식 수 × 주가 주식 시장의 시장 가격에 의해 결정된 한 주의 주식은 전체 주식(주식의 총 수)에 의해 주식의 유동성이 발생하게…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