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와 유닉스 차이점 9가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점이 한번 씩 생기게 됩니다. 간단하게 차이점을 요약하자면, 리눅스는 유닉스의 오픈 소스 구현체로,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 체제를 제공하면서도 커뮤니티 기반의 개방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안정적이고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운영 체제이지만, 유닉스는 상용 운영 체제의 역사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고, 리눅스는 개방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유닉스(Unix)

유닉스(Unix)는 1965년 MIT, AT&T 벨 연구소, General Electric에서는 멀틱스(Multics)라는 실험적인 운영체제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의 목적은 멀티태스킹(multitasking 다중 작업), 멀티 유저를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목적과 다르게 비대 해지고 쓸모 없는 운영체제가 되었습니다.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벨 연구소 직원인 켄 톰슨(Kenneth Thompson),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가 개발을 시작해 1973년 처음으로 공식 발표 되었습니다.

유닉스 이름의 유래는 초기 개발 당시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가 아닌 싱글태스킹 운영 체제로 시작되었으며, unicx(Uniplexed Information and Computing Service:단일화된 정보 및 컴퓨터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이후 Unix 철자로 변경되었습니다. 

어셈블리 언어로 되어 있던 Unix는 데니스 리치가 C언어를 개발하여, 1973년 3월에 만들어진 Unix 네 번째 버전에 적용되었으며, Unix 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리눅스(Linux)

유닉스(Unix)와 호환되는 리눅스(Linux)는 1991년 8월 리누스 베네딕트 토르발스(Linus Benedict Torvalds)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1991년 10월에 comp.os.linux 사이트에 0.02 버전을 공식으로 발표합니다. 이후에 설립된 자유 소프트 재단(FSF, Free Software Foundation)의 GNU(GNU is not Unix) 프로젝트의 GUN 프로젝트의 커널로 채택되었습니다. GNU gcc 컴파일러와 gcc로 컴파일 된 응용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완성된 운영 체제로 자리 잡게 됩니다.

리눅스(Linux)

◼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1996년 리눅스 커널 메일링 리스트에서 리눅스의 마스코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토르발스가 개인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었던 Tux(턱스)라는 펭귄 이름의 로고를 사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마스코트인 Tux를 사용하는 큰 뜻이 있는 것은 아니고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가 펭귄을 좋아했기 때문입니다.

핸드폰 안의 리눅스

✅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

Similar Posts

  •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와 명령어 옵션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는 ‘리눅스 명령어 인수‘, ‘명령 인자‘ 등으로도 불리며,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매개변수를 뜻 합니다. 리눅스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가리킵니다. 이 값은 해당 프로그램이나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정의에…

  • [Linux]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정: Let’s Encrypt 인증서

    웹사이트에서 HTTPS를 활성화하려면 인증 기관(CA)에서 인증서를 설치해야 합니다. Let’s Encrypt는 2억 2500 만 개의 사이트에 TLS 인증서를 제공하는 비영리 인증 기관(CA)으로 제공하는 Certbot 설치를 통해 무료로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entOS, Ubuntu, Rocky Linux 등 Shell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는 Certbot ACME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 리눅스 head 명령어 & tail 명령어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목차✅ 유닉스(Unix)✅…

  • clear 명령어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 clear 명령어 – 기타명령어 clea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출력 된 터미널 화면을 지우는 명령어이다. clear 명령어는 도스의 cls 명령어와 동일한 뜻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리눅스 터미널 화면을 지워주고 커서는 화면 상단에 위치학게 된다. 아래처럼 ll 명령어를 입력 후 clear 명령어를 입력해서 테스트 해…

  • 리눅스 cat 명령어

    리눅스에서 텍스트 파일을 출력하는 간단한 ‘cat 명령어’는 명령어 뒤에 파일명을 적어 표준 출력(Standard Output)을 할 수 있습니다. cat은 “연결시키다”, “연관시키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영어단어 “concatenat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1. cat 명령어 특징 출력과 비슷한 의미의 단어가 아닌 “concatenate“라는 단어에서 유래된 이유는 “|” pipe 명령어나…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및 파일 종류🔝

    리눅스 운영체제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위에서 아래 또는 위와 아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시작 지점인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됩니다. Linux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는 리눅스를 포함한 유닉스 유형 운영 체제의 디렉토리 구조와 내용을 결정하는 일련의 지침인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표준의 적용을 받습니다. 계층 구조 표준은 리눅스 재단(영어: Linux Foundation)에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