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데몬이란? 독립형(Standalone) 방식과 슈퍼데몬 방식(xinetd)

리눅스 데몬(Daemon)이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뜻 합니다. 뒤에 ‘d’로 끝나며 보통 프로세스로 실행됩니다.

✅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

리눅스에서 데몬이 운영되는 방식은 독립형이란 뜻을 가진 Standalone 방식으로 단독으로 실행되는 데몬과 슈퍼 데몬 방식 xinetd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 Standalone 방식

  • 시스템에서 독자적으로 프로세스가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을 뜻 합니다.
  • 웹서버(httpd), DB 서버(my-sql), 샌드메일 서버(sendmail) 크론(crond) syslog 등.
  • 데몬의 실행 및 종료는 service [데몬 이름] start, stop 등으로 실행합니다.
  • 예시
service httpd restart 
Redirecting to /bin/systemctl restart httpd.service

2. xinetd 방식

리눅스 커널 2.4 버전(리눅스 7.x 버전 이후)부터 ‘inetd’가 ‘xinetd’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inetd
  • Internet SuperServer 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extended‘는 extended Internet SuperServer로 확장된 데몬을 의미합니다.
  • 항상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며, 클라이언트 요청이 있을 경우 실행되는 방식입니다.
  • /etc/xinetd.d/ 디렉토리와 /etc/xinetd.conf 파일에서 관리합니다.
  • telnet, ftp, shell, rsync 등

✅ xinetd 설치

슈퍼 데몬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아무 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rpm -qa | grep xinetd*
xinetd-2.3.15-25.el8.x86_64

설치를 진행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설치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조회 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dnf list xinetd*
# 설치하기
dnf -y install xinetd.x86_64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 echo 명령어: From 확장과 인용

    echo 명령어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echo 명령어는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쉘 스크립트 작성 시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표준 출력 상에 해당 텍스트 인자를 표시한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1. echo 명령어 옵션 2. echo $ $뒤에 오는 문자열이 변수로 선언되어 있는 경우 해당…

  • 리눅스 cd 명령어

    cd 명령어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현재 위치)를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cd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사용 예시 cd 명령은 절대 경로(/부터 시작)를 기입해서 이동하는 방식과 상대 경로(. 및 ..)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나뉩니다.

  •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 /etc/fstab으로 자동 마운트 설정

    리눅스에 추가 HDD 또는 SSD 등의 스토리지를 추가 후 사용하려면 먼저 포맷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작업까지 진행해서 사용하기 전에 먼저 스토리지 포맷과 파일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는 과정부터 진행 해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하기 1. 파일 시스템 포맷 AWS 클라우드에서…

  • 로그 파일 삭제 쉘 스크립트 만들기(날짜 20xx, 용량)

    httpd.conf 파일에 access_log 및 error_log를 설정 했을 때 logrotate 설정이 아닌 경우 로그 파일 삭제 쉘 스크립트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로그 파일 삭제 쉘 스크립트 ✅ crontab 설정하기 크론탭 설정을 진행 해 줍니다. 리눅스 스크립트는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해석하는 스크립트 언어로 작성된 명령…

  • 리눅스 퍼미션(4,2,1)과 소유권 | chmod, chown, umask 명령어 | 스티키 비트

    리눅스 퍼미션(Permission)은 권한(&허가)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들은 MS-DOS 계열의 운영 체제들은 멀티 테스킹 시스템이 아니며 멀티 유저 시스템 역시 아닙니다. 보통 컴퓨터는 하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한 명이 사용하지만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한 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멀티 유저 시스템은 운영 체제 설계 초기부터 깊게 내장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