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INDEX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서버를 공부 할 때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이란 단어를 접하게 되는데 서버 엔지니어와 개발자가 서버를 운영하면서 듣게 되는 단어로 말 그대로 ‘문제 해결’을 뜻 한다.

리눅스에서 Trouble Shooting은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서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네트워크 등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이다.

Ⅰ. 트러블 슈팅 시스템 구축

원인과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이 되었다면 문제점과 해결책을 문서화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문제 해결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 있었던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으며, 서버의 변경 상태(사항)을 파악하고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Trouble Shooting을 위한 조건 1
  • 시스템 동작 방식 이해 및 관련 용어의 이해
  • DNS 및 프로세스 등의 이해와 네트워크 용어 및 시스템의 이해가 필요함.
  • 문제점과 해결책 문서화
  • 과거에 해결되었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 Trouble Shooting을 위한 조건 2
  • 시스템 동작 방식 이해 및 관련 용어의 이해
  • DNS 및 프로세스 등의 이해와 네트워크 용어 및 시스템의 이해가 필요함.
  • 시스템의 변경 사항 파악하기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

Ⅱ. 서버가 느린 경우

네트워크 쪽이 아닌 서버쪽에서 느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스템의 리소스가 소비되어 서버가 느린 경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CPU, 메모리, 디스크 쪽의 문제를 점검할 수 있겠습니다.

1. 시스템 부하: top, uptime 명령어로 문제 진단

리눅스 uptime 명령어로 문제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CPU, RAM 문제 파악하기

 1분,5분,15분 동안의 평균 로드(load average)의 숫자가 높은 경우

~]# uptime                                                                                                         
 10:36:12 up 5 days, 17:35,  1 user,  load average: 2.03, 20.17, 15.09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 중이거나 CPU 사용을 위한 대기 상태일 가능성을 볼 수 있습니다.

평균 부하가 높은 원인을 CPU 문제인지 RAM의 문제인지 I/O에 대한 문제인지를 살펴 봐야 합니다.

리눅스 uptime 명령어 설명

top 명령어를 이용해서 시스템의 문제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 top 명령어를 통한 진단
  • ⓐ 부팅 후 가동 시간을 확인하여 언제부터 가동되었는지 확인.
  • load average로 평균 부하 시간을 체크.
  • ⓒ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갯수 체크.
  • ⓓ 사용 중인 메모리는와 남아 있는 메모리는 어느 정도 인지 체크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TOP 명령어-메모리 및 스왑메모리 영역.png

3. 메모리 고갈 파악하기

4. 디스크 I/O 진단

Ⅲ. 시스템 부팅 문제

Ⅳ. 파티션 디스크가 FULL 상태인 경우

Ⅴ.웹 사이트 다운

Ⅵ. 데이터베이스 오류

Ⅶ. 하드웨어 진단

Ⅷ. 서버 다운 시 네트워크 문제 확인

Ⅸ. 네임서버 및 DNS 문제 해결

Ⅹ. 이메일 오류

Similar Posts

  • [Linux] mod_ssl.so Apache 모듈 설치하기

    아파치를 사용하는 리눅스 서버에 SSL을 적용하려고 할 때 아피치 모듈 중 mod_ssl.so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목차Ⅰ. 트러블 슈팅 시스템 구축Ⅱ. 서버가 느린 경우1. 시스템 부하: top, uptime 명령어로 문제 진단2. CPU, RAM 문제 파악하기3. 메모리 고갈 파악하기4. 디스크 I/O 진단Ⅲ. 시스템 부팅 문제Ⅳ. 파티션 디스크가 FULL 상태인 경우Ⅴ.웹 사이트 다운Ⅵ. 데이터베이스 오류Ⅶ. 하드웨어…

  • 리눅스 tmp 디렉토리: /tmp와 /var/tmp 차이

    리눅스 tmp 디렉토리는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주로 /tmp와 /var/tmp 디렉토리를 사용합니다. /tmp는 일시적인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시스템이 재부팅 되면 대부분의 파일이 삭제됩니다. 따라서 빠른 입출력과 임시 작업에 적합하며, 주로 프로세스가 실행 중 생성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반면에 /var/tmp는 재부팅 후에도 파일이 유지되는 임시 저장 공간입니다. 장기간 유지가 필요한 임시 파일이나 작업…

  • [Linux] CentOS 7 yum repo 변경(EOS)

    CentOS 7의 공식 EOS 날짜는 2024년 6월 30일로 종료되면서 기본 저장소가 비활성화되었기 때문에, yum 명령어 실행 시 저장소를 찾지 못해 오류가 발생합니다. CentOS 7 yum repo 변경을 한 후에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CentOS 7에서 EOS(End of Support)에 따라 CentOS 7을 처음 설치 시 설정 된 yum 명령어 실행 시 One of the configured…

  • 리눅스: useradd 명령어 & passwd 명령어

    usera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자의 ID(계정)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root 권한으로 생성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Ⅰ. 트러블 슈팅 시스템 구축Ⅱ. 서버가 느린 경우1. 시스템 부하: top, uptime 명령어로 문제 진단2. CPU, RAM 문제 파악하기3. 메모리 고갈 파악하기4. 디스크 I/O 진단Ⅲ. 시스템 부팅 문제Ⅳ. 파티션 디스크가 FULL 상태인 경우Ⅴ.웹 사이트 다운Ⅵ. 데이터베이스 오류Ⅶ. 하드웨어…

  • 리눅스 커널(Kernel)이란? | 커널 버전

    리눅스 커널과 커널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커널을 말할 때 리눅스 커널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핵심(&알맹이)이라는 뜻을 가진 커널(Kernel)은 내부 계층에 속하며, Shell 명령과 하드웨어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목차Ⅰ. 트러블 슈팅 시스템 구축Ⅱ. 서버가 느린 경우1. 시스템 부하: top, uptime 명령어로 문제 진단2. CPU, RAM 문제 파악하기3. 메모리 고갈 파악하기4. 디스크 I/O…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및 파일 종류🔝

    리눅스 운영체제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위에서 아래 또는 위와 아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시작 지점인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됩니다. Linux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는 리눅스를 포함한 유닉스 유형 운영 체제의 디렉토리 구조와 내용을 결정하는 일련의 지침인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표준의 적용을 받습니다. 계층 구조 표준은 리눅스 재단(영어: Linux Foundation)에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