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blkid 명령어 | UUID와 GUID 차이

리눅스 blkid 명령어는 블록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 유형 or 속성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주 목적은 리눅스 서버를 다시 시작하는 경우 /etc/fstab 파일에 자동 마운트 정보를 설정할 때 UUID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blkid [장치명]
# 사용 예시
~]# blkid /dev/xvdf
/dev/xvdf: PTUUID="56ddf611-5464-4df1-a833-7d988a3a30b8" PTTYPE="gpt"

명령어만 입력했을 경우 전체 파티션의 UU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blkid 명령어

✅ UUID와 GUID 차이

리눅스에서 파티션 작업에 대해 체크하는 중 UUID와 GUID 차이에 대해 체크를 하게 되었습니다. blkid 명령어로 UUID를 확인 했을 때와 fdisk 명령어로 UUID를 확인했을 때 동일하게 나오지만 다를 수 있습니다. UUID와 GUID 차이와 UUID가 다른 경우 중 동일한 장치에 UUID가 다른 경우를 먼저 확인해 보겠습니다.

동일한 장치에 UUID가 여러 개일 수 있습니다.

UUID: 9DBA9BC1-89AE-0FC8-6785-D6638E000000= 물리적 파티션의 UUID(fdisk로 보고)
UUID="0c5f13e6-bd91-4934-b060-f9a078a1f0ee"= 파티션에 있는 *파일 시스템* UUID(blkid로 보고, fstab 등에서 사용)
  •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 UUID 범용 고유 식별자
  •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
  • 전역 고유 식별자, 글로벌 고유 식별

RFC4122에 따르면 UUID는 GUID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동일한 파티션에 대한 두 개의 이름일 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GUID는 주로 Microsoft에서 개발된 용어이며, Microsoft의 COM(Component Object Model) 및 Windows 레지스트리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UUID와 GUID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UUID

UUID는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의 약자로,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16바이트(128비트) 길이의 숫자입니다. UUID는 여러 시스템에서 고유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분산 환경에서 객체나 엔터티를 식별하는 데 유용합니다.

550e8400-e29b-41d4-a716-446655440000

UUID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분산 시스템에서의 고유 식별자, 임시 파일의 이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그 고유성과 무작위성은 충돌의 가능성을 매우 낮추므로, 동일한 UUID가 두 번 생성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 GUID

GUID는 “Globally Unique Identifier”의 약어로, UUID와 동등한 개념입니다. GUID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나타내며, 주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에서 고유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GUID는 16바이트(128비트) 길이의 숫자로 표현되며, UUID와 동일하게 8-4-4-4-12의 5개 그룹으로 나누어진 16진수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3F2504E0-4F89-11D3-9A0C-0305E82C3301}
노트북과 샐러드

Similar Posts

  • 리눅스: RPM, YUM 차이

    RPM(Red Hat Package Manager)과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은 리눅스의 패키지를 설치하는 인스톨 프로그램입니다. 패키지 설치와 삭제,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UUID와 GUID 차이✅ UUID✅ GUIDRPM 리눅스를 초기에 설치 할 때는 tar, gzip 등의 확장자를 사용했습니다. 패키지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컴파일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Windows와 비교하면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 [Linux] 다중 명령어 5가지(세미콜론, 파이프, 엠퍼센트..)

    리눅스의 Bash Shell에서 다중 명령어를 사용하는 목적은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명령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종류는 ⓐ 세미콜론(;) ⓑ 파이프(|) ⓒ 더블 버티컬바(||) ⓓ 엠퍼센트(&) ⓔ 더블엠퍼센트(&&) 등이 있습니다. 목차✅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UUID와 GUID 차이✅ UUID✅ GUID1. 많이 쓰는 다중 명령어 세미콜론(;) 하나의 명령어 라인에서 여러 개의 명령을 실행하며, 처음 명령어…

  • [Linux] CentOS 7 설치 | VirtualBox 설치

    VirtualBox에 CentOS 7 설치를 진행 해 보겠습니다. 미리 다운로드 받은 ISO 파일로 이미 설정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목차✅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UUID와 GUID 차이✅ UUID✅ GUID ✅ CentOS 7 설치 진행 Install CentOS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언어 선택 화면에서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 KDUMP 설정 KDUMP를 클릭하여, 체크 된 활성화를 비 활성화로 변경합니다….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UUID와 GUID 차이✅ UUID✅ GUID✅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 HTTP 상태 코드 표 [100~500] 정리

    HTTP 상태 코드는 운영 중인 서버의 오류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HTTP는 HTML,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동영상, JavaScript 등의 다양한 파일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목차✅ blkid…

  •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 명령어 및 배포판 버전 확인 방법

    리눅스를 운영할 때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과 배포판 버전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차✅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UUID와 GUID 차이✅ UUID✅ GUID✅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 명령어 리눅스에서 커널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uname 명령어를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uname 명령어 uname -a는 모든 결과를 보여 줍니다. 2. /proc/version 에서 확인 3….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