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chage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 chage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l 사용자명

현재 비밀번호와 계정 만료 설정을 확인

-M 일수

비밀번호의 최대 사용 일수 설정

-m 일수

·비밀번호의 최소 사용 일수 설정
· 비밀번호를 너무 자주 바꾸지 못하게 제한

-W 일수

비밀번호 만료 전 경고 일수

-I 일수

만료 후 계정 잠금까지 유예 일수

-E YYYY-MM-DD

계정 만료일 지정

✅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chage -옵션 사용자명

✅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확인합니다. 마지막 패스워드 변경 일은 6월 6일로 확인됩니다.

 ~]# chage -l 사용자명
Last password change					: Aug 06, 2025
Password expires					: never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never
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0
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99999
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 계정 만료일 설정

chage -E 2025-12-31 testuser
 ~]# chage -E 2025-06-07 testuser
 ~]# chage -l testuser 
Last password change					: Jun 06, 2025
Password expires					: never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Jun 07, 2025
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0
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99999
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초기화는

chage -E -1 testuser
 ~]# chage -l testuser 
Last password change					: Jun 06, 2025
Password expires					: Jun 08, 2025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never
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3
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2
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 비밀번호 설정

◻️ 비밀번호 종료일 설정: 최대 사용일 수

변경된 날짜는 당일 0일로 1일로 설정했다면 익일부터 1일이 카운트 됩니다.

리눅스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최대 사용일 수 변경]

7일로 설정하여 7일 뒤에는 비밀번호가 종료되기 때문에 비밀번호 재 설정 전까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7일 뒤인 13일 이후에 비밀번호 만료가 되어 비활성(Password inactive) 상태가 됩니다.

초기화는

chage -M -1 사용자명 또는 chage -M 99999 사용자명

 ~]# chage -M -1 testuser
 ~]# chage -l testuser 
Last password change					: Jun 06, 2025
Password expires					: never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never
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3
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1
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 비밀번호 최소 사용일 수 설정

 ~]# chage -m 3 testuser
 ~]# chage -l testuser 
Last password change					: Jun 06, 2025
Password expires					: Jun 13, 2025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never
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3
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7
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passwd testuser
Changing password for user testuser.

최소 사용 설정을 3일로 했기 때문에 변경 날짜 기준으로 passwd 명령어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설정한 비밀번호 만료일 초기화는 숫자 0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최소 사용 일수를 초기화 할 때는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 chage -m 0 testuser
 ~]# chage -l testuser 
Last password change					: Jun 06, 2025
Password expires					: Jun 16, 2025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never
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0
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10
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최소 사용일 수 설정에서 -1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Similar Posts

  • [Linux] 리눅스 vi 명령어 정리 | Vim 3가지 모드 및 비주얼 모드

    리눅스 터미널에서 ‘.txt’, ‘.conf’ 등의 ASCII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vi 편집기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vi 편집기는 명령모드 입력모드와 저장 및 종료 후 치환하는 리눅스 vi 명령어는 익숙해지면 매우 빠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chage 명령어 옵션✅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설정…

  • 리눅스 mkdir 명령어 | Linux 디렉토리 생성하기

    리눅스 mkdir 명령어는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리눅스에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chage 명령어 옵션✅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설정✅ 리눅스 mkdir 명령어 기본 사용법 경로 미 지정 시 현재 위치에서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mkdir 명령어 옵션 설명 -m 디렉토리 생성 시 권한(퍼미션) 설정(기본 값: 755) -v…

  • [Linux] lsof 명령어: 실행 중 파일 정보 출력

    lsof 명령어는 lisf open files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파일의 정보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lsof 명령어는 파일을 포함하여 디렉터리, 네트워크 소켓, 파이프 등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다양한 리소스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목차✅ chage 명령어 옵션✅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설정 ✅ lsof 명령어 기본…

  • certbot 명령어(인증서 관리 및 삭제)

    Alma Linux에서 이 사이트에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치를 해 진행하는 중 인증서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이유가 생겨 삭제와 함께 나머지 Certbo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체크하게 되었습니다. certbot 명령어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목차✅ chage 명령어 옵션✅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설정 ✅ certbot 명령어:…

  • [Shell 특수문자] 리눅스 와일드카드(메타문자)

    리눅스 와일드카드는 Shell 특수문자로 메타 문자로 불리기도 합니다. Shell 특수 기호 중 와일드카드(글로빙으로 부르기도 함)는 문자 패턴에 따라 파일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수 문자에는 인용(따옴표) 기호, 리눅스 다중 명령어, 리눅스 히스토리 기호, 리눅스 디렉토리 기호, 리눅스 괄호 기호 및 입출력 리다이렉션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목차✅ chage 명령어 옵션✅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chage…

  • 리눅스 ls 명령어

    ls 명령어는 list의 약자이며,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를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의 종류와 파일의 크기, 만들어진 날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chage 명령어 옵션✅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설정✅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s 명령어 사용 시 [파일 or 디렉토리]를 입력하지 않으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