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dd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dd 명령어(Data Description)
  • 데이터를 복사하고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 수행할 수 있는 작업
  • 디스크 복제, 파티션 복제
  • 전체 하드 디스크 or 파티션 백업 및 복원
  • 하드 디스크 데이터 삭제
  • 이미지 파일 생성
  • 파일 시스템 명령어
  • 잘못 사용될 경우 위험한 명령어로 대상 디스크의 오입력, 잘못된 블록 크기 입력 시 데이터가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d if=[input_file] of=[output_file] bs=[block_size] count=[block_num] status
# 사용 예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16
  • dd 명령어 사용 시 입출력 단위
  • c : Character [1bytes]
  • w : Word [2bytes]
  • b : Block [512bytes]
  • K : Kilo Bytes [1024] | KB : Kilo Bytes [1]
  • M : Mega Bytes [1024] | MB : Mega Bytes [1]
  • G : Giga Bytes [1024] | GB : Giga Bytes [1]
  • 기본 옵션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파일 생성

dd if=/dev/zero of=/swapfile bs=1MB count=2000
3+0 records in
2+0 records out
2147483648 bytes (2.1 GB, 2.0 GiB) copied, 77.5708 s, 27.7 MB/s
/dev/zero를 읽어서 /swapfile을 1MB 블록을 2천 개 생성 = 2GB 파일 생성

2. 디스크 파티션 삭제

dd if=/dev/zero of=/dev/xvdf1 count=1 bs=512

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dd if=/dev/zero of=/dev/xvdf1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Similar Posts

  • SSH 명령어: 옵션 및 사용 방법

    리눅스에서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며, 주로 원격 접속, 파일 전송, 그리고 터널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한 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 yum-config-manager 명령어 | YUM 저장소 설정

    yum 명령어는 기본 사용 시 기본 저장소(보통 안정화 버전)에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저장소 파일을 추가하면 안정화(stable) 또는 최신(mainline) 버전 중 활성화된 저장소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안정화와 최신 버전 저장소가 모두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yum은 버전이 더 높은 패키지(보통 최신 버전)를 설치합니다.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려면, remi 저장소 설정 또는 yum-config-manager를 사용하여 특정 저장소를 활성화해서…

  • [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및 mv 명령어 옵션

    리눅스 mv 명령어는 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인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 리눅스 cd 명령어

    cd 명령어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현재 위치)를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cd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사용 예시 cd 명령은 절대 경로(/부터 시작)를 기입해서 이동하는 방식과 상대…

  • 리눅스 Rsync 명령어

    Rsync (Remote Sync) 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백업 방식입니다. 전체 데이터를 매번 복사하는 대신 변경된 부분만 증분 방식으로 전송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다양한 옵션을 통해 압축, 암호화, 권한 유지, 삭제 동기화 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백업과 서버 간 데이터 전송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재 전송…

  •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사용 방법과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1. conv 옵션✅ dd 명령어 사용 예1. 스왑 파일 생성2. 디스크 파티션 삭제3. 디스크 파티션 초기화✅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대부분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