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head 명령어 & tail 명령어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

  • head 명령어
  • 파일의 시작 행을 보여주며,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기본 10줄을 보여줌.
  • 위치: /usr/bin/head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ead -[옵션] [파일명]

access_log를 출력한 결과입니다.

리눅스 head 명령어

1. head 명령어 옵션

2. 사용 예시

head -50 access_log

✅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

tail 명령어는 [-f] 옵션으로 서버의 access_log 및 error_log의 실시간 로그를 볼 때 특히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 taiil 명령어
  • 기본 옵션 없이 사용 시 행의 마지막 10행을 출력
  • 위치: /usr/bin/tail
tail -[옵션] [파일명]

1. tail 명령어 옵션

2. 사용 예시

tail -n 15 -f access_log
192.36.109.115 - - [13/Feb/2024:00:47:34 +0000] "GET /robot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127 - - [13/Feb/2024:00:47:35 +0000] "GET /human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90 - - [13/Feb/2024:00:47:35 +0000] "GET /ad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91 - - [13/Feb/2024:00:47:46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1.101.130.24 - - [13/Feb/2024:01:28:02 +0000] "GET /.env HTTP/1.1" 404 196 "-" "Mozilla/5.0 (Linux; U; Android 4.4.2; en-US; HM NOTE 1W Build/KOT49H) AppleWebKit/534.30 (KHTML, like Gecko) Version/4.0 UCBrowser/11.0.5.850 U3/0.8.0 Mobile Safari/534.30"
---- 생략 ----
tail -n 15 -f access_log | grep 403
192.36.109.91 - - [13/Feb/2024:00:47:46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86.176.7.162 - - [13/Feb/2024:01:42:57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6.1; WOW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52.0.2743.116 Safari/537.36"
162.216.150.252 - - [13/Feb/2024:02:06:26 +0000] "GET / HTTP/1.1" 403 7620 "-" "Expanse, a Palo Alto Networks company, searches across the global IPv4 space multiple times per day to identify customers' presences on the Internet. If you would like to be excluded from our scans, please send IP addresses/domains to: scaninfo@paloaltonetworks.com"
146.19.24.28 - - [13/Feb/2024:02:27:04 +0000] "GET / HTTP/1.1" 403 7620 "-" "-"

Similar Posts

  • 리눅스: lrzsz 툴 설치 및 파일 업로드(rz) 및 다운로드(sz) 사용하기

    리눅스 OS에서 rz와 sz를 이용한 각각의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 lrzsz가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lrzsz 툴 설치 후 rz와 sz는 ZMODEM/YMODEM/XMODEM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서 파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Xshell을 사용해서 lrzszs 툴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 리눅스 백그라운드(Back Ground)&포그라운드(Fore Ground): 프로세스 제어하기

    리눅스의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Back Ground)와 포그라운드(Fore Ground) 두 가지의 모드로 작동됩니다. 리눅스 백그라운드 작업을 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쉘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포그라운드(Fore Ground)란?…

  • 리눅스 pwd 명령어 & realpath 명령어 | 절대 경로 위치 확인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절대 경로를 표시합니다. 🔲 명령어 옵션 pwd 명령어는 간단한 명령어로 옵션은 2가지만 존재합니다. ✅ realpath 명령어 realpath…

  • [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및 mv 명령어 옵션

    리눅스 mv 명령어는 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인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의 기본…

  • 리눅스 less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less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을 볼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less 명령어의 특징은 vi 명령어가 파일 실행 시 전체 파일을 읽어야 하고 txt 파일 크기가 클 경우 읽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vi 명령어는 파일 편집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 리눅스 who, w 명령어 & user 명령어

    리눅스 who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로그인한 사용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각각의 차이가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who 명령어 현재 접속 사용자(USER) 터미널 유형(TTY) 접속 시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