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hosts.allow 및 hosts.deny 설정

리눅스 서버에서 특정 IP만 허용 및 특정 IP에 대한 차단을 위해 리눅스 hosts.allow 및 hosts.deny 설정을 각각 진행할 수 있습니다. iptables 방화벽에서 특정 IP만 SSH 접속을 허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1개 이상의 IP가 SSH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 hosts.allow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hosts.allow
  • 서비스 허용 설정 파일
  • hosts.deny
  • 서비스 차단 파일

✅ 리눅스 hosts.allow 설정

~]# vi /etc/hosts.allow

sshd: 0.0.0.0 << 모두 허용 IP 대신 추가할 IP 설정
sshd : 201.381.191.001: ALLOW # 201.381.191.001 IP sshd 허용
# 모든 서비스(vsftpd, sshd, rsync, vsftpd, sendmaiil) 허용하기
ALL: ALL     
# 
rsync : 201.381.191.001: ALLOW
vsftpd : 201.381.191.001: ALLOW
sendmail : 201.381.191.001: ALLOW
in.telnetd : 201.381.191.001: ALLOW # 텔넷 서비스 허용

✅ 리눅스 hosts.deny 설정

~]# vi /etc/hosts.deny
# 모든 서비스 허용 상태
ALL: ALL     
# 
sshd : 186.189.193.112

설정 후 마지막으로 sshd를 재 시작 해 줍니다.

systemctl start xinetd | etc/init.d/xientd
service sshd restart
systemctl sshd restart 

✅ RHEL/CentOS 8 및 록키리눅스 8 버전 hosts.allow 사용 불가

RHEL/CentOS 8과 록키 리눅스 8 버전부터 hosts.allow와 hosts.deny 파일의 사용이 불가능해졌습니다. 파일 생성 후 룰을 입력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레드헷 문서에서는 hosts.allow 설정을 하는 tcp_wrappers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하며, ‘Firewalld’로 기능이 대체되었다고 합니다.

ldd /usr/sbin/sshd | grep wrap
# 조회 시 결과 없음으로 표시됩니다.
libwrap.so.0 => /lib64/libwrap.so.0 (0x00007f957f04a000) # 메시지가 나와야 tcp_wrappers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Firewalld이나 iptables 방화벽으로 설정을 해야 합니다.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우분투 APM 설치 [Ubuntu 22.04.5..]

    설치된 우분투 서버에 APM을 설치 진행합니다. 우분투 APM 설치 버전은 apache 2.4 php 7.4 mariadb 10.11 버전으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목차✅ 리눅스 hosts.allow 설정✅ 리눅스 hosts.deny 설정✅ RHEL/CentOS 8 및 록키리눅스 8 버전 hosts.allow 사용 불가✅ 패키지 업데이트 및 apache2 설치 업데이트, 업그레이드 이후 아파치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 후 버전 및 상태 확인을 진행하여…

  • 셸 스크립트: 셸 들여쓰기 및 확장 옵션명[long 옵션명]

    명령어를 길게 사용하다 보면 여러 명령어 줄을 넘겨서 입력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명령어를 문장 연결 하는 백슬래시(\)를 사용하여 셸 들여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hosts.allow 설정✅ 리눅스 hosts.deny 설정✅ RHEL/CentOS 8 및 록키리눅스 8 버전 hosts.allow 사용 불가1. 셸 들여쓰기: 백슬래시(\) 백슬래시-라인피드 문자열이며 LF(Line Feed)는 커서를 한칸 아래로 이동하여 새로운…

  • 리눅스 tee 명령어

    리눅스 tee 명령어는 배관시설에 비유해서 이름이 붙여진 명령어입니다. 파이프 모양과 똑같은 “T”에서 본따 tee 명령어이며 표준 출력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파일을 동시에 출력합니다. tee 명령어의 목적은 작업 진행 중 파이프라인(I)의 중간 내용을 알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hosts.allow 설정✅ 리눅스 hosts.deny 설정✅ RHEL/CentOS 8 및 록키리눅스 8 버전 hosts.allow…

  • [Linux]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 방법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 방법입니다. ‘testid’라는 계정을 임시로 만들었습니다. 목차✅ 리눅스 hosts.allow 설정✅ 리눅스 hosts.deny 설정✅ RHEL/CentOS 8 및 록키리눅스 8 버전 hosts.allow 사용 불가✅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하기 1. /etc/sudoers 2. /etc/passwd 수정 3. /etc/group 수정 ✅ 최종 확인 정상적으로 권한이 부여 되었는지 확인 해 봅니다.

  • clear 명령어

    목차✅ 리눅스 hosts.allow 설정✅ 리눅스 hosts.deny 설정✅ RHEL/CentOS 8 및 록키리눅스 8 버전 hosts.allow 사용 불가■ clear 명령어 – 기타명령어 clea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출력 된 터미널 화면을 지우는 명령어이다. clear 명령어는 도스의 cls 명령어와 동일한 뜻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리눅스 터미널 화면을 지워주고 커서는 화면 상단에 위치학게 된다. 아래처럼 ll 명령어를 입력 후…

  • Varnish Cache란 무엇인가? | Varnish 설치 및 기본 설정하기

    Varnish Cache는 동적 웹사이트와 API에 적합한 HTTP 가속기입니다. 이는 스퀴드와 같은 클라이언트 사이드 캐시 역할을 하는 다른 웹 가속기와 달리 Nginx, 아파치와 같은 원본 서버 대신 HTTP 가속기로 설계 되었습니다. 또한, Varnish는 HTTP에 특화되어 있어 FTP, SMTP 및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록시 서버와는 다릅니다. 목차✅ 리눅스 hosts.allow 설정✅ 리눅스 hosts.deny 설정✅ RHEL/CentO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