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Load Average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에서 top 명령어 또는 uptime 명령어로 1분, 5분, 15분의 시스템의 평균 로드 지표인 Load Average를 통해 평균 부하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Load Average는 CPU에 어느 정도의 일이 쌓이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 내릴 수 있습니다.

✅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 uptime                                                                                                         
 10:36:12 up 5 days, 17:35,  1 user,  load average: 2.03, 20.17, 15.09
 ⓐ현재 시간|ⓑ부팅  5 17:35동안 가동|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최근 1분,5분,15분동안 시스템의 평균 부하율  

세 개의 숫자 (2.03, 20.17, 15.09)는 시스템에서의 1분,5분,15분 동안의 평균 부하를 나타 냅니다. 1코어의 단일 CPU 환경일 경우 평균 부하 1이 의미하는 것은 100% CPU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코어일 경우는 50%, 4코어일 경우 25%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눅스 uptime 명령어를 통한 Load Average 확인하기

결국 단일 CPU 환경에서 부하 1과 4개의 CPU에서 부하가 4라는 것은 자원을 사용하는 양적인 측면에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Load Average의 평균 부하가 높다는 것은 “어떤 이유로 높은가?”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 평균 부하 원인
  • CPU에 의한 부하: 프로세스가 CPU 자원을 사용하기 전 대기 상태.
  • RAM에 의한 부하: 높은 RAM 사용으로 RAM 영역이 아닌 Swap 영역으로 옮겨진 경우.
  • 디스크 I/O에 자원이 집중된 경우

시스템의 주요 리소스는 CPU, RAM, 디스크 I/O 3가지와 네트워크를 볼 수 있으며, 서버에서의 문제 발생이 원인일 경우 시스템 엔지니어의 경우 RAM, 또는 CPU를 추가할지를 고민할 수 있고, 개발자의 경우 새로 수정한 코드가 느리게 실행되는지 체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구체적인 부하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vmstat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r과 b 열에서 각각의 프로세스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 – The number of processes waiting for run time: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갯수
  • b – The number of processes in uninterruptible sleep: I/O를 위해 대기열에 있는 프로세스의 개수
vmstat 2
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st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2     1   47  134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7  133  0  0 100  0  0
 1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8  139  0  0 100  0  0
 4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4  122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9  136  0  0 100  0  0
 1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26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4  128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33  0  0 100  0  0
 1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5  126  0  1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8  133  0  0 99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5  132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29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9  135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27  0  0 100  0  0

b 열에 있는 프로세스가 많이 표시되는 경우 I/O 처리 과정의 문제를 체크 해 볼 수 있겠습니다.

리눅스 TOP 명령어: 명령줄 인터페이스(CLI-Command-Line Interface)

Similar Posts

  • HTTP 503 에러(Service Unavailable) 원인과 해결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발생하는 HTTP 503 에러(Service Unavailable)의 원인은 서버 측에서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서버 과부하, 서버 구성 오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HTTP 503 에러 로그 확인하기 먼저 503 error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error_log를 확인합니다. ✅ 다양한 HTTP 503…

  • 아파치 재시작 오류 | (20014)Internal error: Error retrieving pid file logs/httpd.pid

    아파치 재시작을 진행했으나 위 두 가지 오류가 확인될 수 있습니다. apachectl restart 등의 명령어를 입력했지만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이유는 아파치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Error retrieving pid file logs/httpd.pid 해결하기 로그 폴더에서 httpd.pid를 확인했을 때 폴더가 비어…

  • HTTP 500 에러(내부 서버 오류)

    HTTP 500 에러는 이용 중인 컴퓨터, 인터넷의 문제가 아닌 내부 서버 오류입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 HTTP 500 에러 HTTP 500 error로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다른 사이트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주로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htaccess 파일이 변경된 경우일 수 있으며, 서버의 DB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 SELinux 개념과 보안 설정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리눅스 커널의 보안 기능 중 하나입니다. 셀리눅스는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NSA(National Security Agency:미국 국가안보국)와 레드햇(Red Hat) 등의 기업과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했습니다. zero-day 공격 및 buffer overflow 등 어플리케이션 취약점으로 인한 해킹을 방지해 주는 핵심 구성요소에 속하지만APM 설치 후 사용하는데 오류가 발생하는 등 불편함이 있습니다. 잘…

  • vsftpd 530 에러와 533 에러 발생 시 해결 방법

    리눅스 서버에서 vsftpd 데몬이 설치되어 있는 서버에서 530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 1. Selinux 해제 Selinux를 잘 다루면 좋겠지만 Selinux로 당장에 FTP 접속이 되지 않는다면 해제를 진행해 줍니다. 2. 방화벽 설정 이번에 설정한 서버의…

  • |

    MariaDB: Slow Query Log 설정

    MariaDB에서 Slow Query Log 설정을 할 경우 Mariadb 10.2 버전부터 etc/my.cnf.d/ 폴더안에 mysql-clients.cnf 및 server.cnf 파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mysql 이라도 폴더를 확인한 후에 설정 내역에 따라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먼저 etc/my.cnf.d/server.cnf 파일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Slow Query Slow Query는 수행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쿼리입니다. 응답 시간이 길어질 경우 서비스의 품질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