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아파치 재시작/시작/중지 명령어[CentOS 7]

  • 서버: CentOS 7

    apache

리눅스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CentOS에서 아파치 재시작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시작 및 시작, 중지 명령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파치는 HTTP 아파치 서버로 불리는 HTTP 웹서버입니다. 쉬운 웹서버 구축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중소기업 및 대형사이트에서 사용합니다.

1. apache 버전 확인

~]# httpd -v

2. apache 상태 확인

~]# apachectl status             ## 어떤 명령어를 입력하든 같은 결과 값
~]# systemctl status httpd
~]# service httpd status
* httpd.service - The Apache HTTP Server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httpd.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dis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Sat 2023-11-25 10:15:36 UTC; 16h ago
     Docs: man:httpd(8)
           man:apachectl(8)
 Main PID: 3161 (httpd)
   Status: "Total requests: 61; Current requests/sec: 0; Current traffic:   0 B/sec"
   CGroup: /system.slice/httpd.service
           |- 3161 /usr/sbin/httpd -DFOREGROUND
           |- 3162 /usr/sbin/httpd -DFOREGROUND
           |- 3163 /usr/sbin/httpd -DFOREGROUND
           |- 3164 /usr/sbin/httpd -DFOREGROUND
           |- 3165 /usr/sbin/httpd -DFOREGROUND
           |- 3166 /usr/sbin/httpd -DFOREGROUND
           |- 6196 /usr/sbin/httpd -DFOREGROUND
           `-26457 /usr/sbin/httpd -DFOREGROUND
----생략----

3. apache 시작

~]# systemctl start httpd ## 어떤 명령어를 입력하든 같은 결과 값
~]# service httpd start
~]# apachectl start

4. 아파치 중지

~]# systemctl stop httpd
~]# service httpd stop
~]# apachectl stop

4. 아파치 재시작

3개의 명령어 모두 아파치 재시작 명령어로 동일한 결과를 얻습니다.

~]# systemctl restart httpd
~]# service httpd restart
~]# apachectl restart

5. 부팅 후 자동으로 아파치 시작 (해제)

~]# systemctl enable httpd (systemctl disable httpd) | # 부팅 후 자동 등록 (해제)
부팅 시 아파치가 항상 로드된 상태(부팅 시 아파치 재시작이 자동)
핸드폰 안의 리눅스

Similar Posts

  • 리눅스 CPU/RAM/디스크 및 OS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에서 사용 중인 서버의 정보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리눅스 CPU/RAM/디스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명령어를 이용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apache 버전 확인2. apache 상태 확인3. apache 시작4. 아파치 중지4. 아파치 재시작5. 부팅 후 자동으로 아파치 시작 (해제)✅ 리눅스 CPU 정보 확인 명령어 1. cat /proc/cpuinfo 2. CPU 전체 개수와 물리…

  • Rsync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Rsync 명령어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원격에서 로컬, 로컬에서 로컬로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rsync에는 두 가지 접속 방법이 있는데 SSH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과 rsync 데몬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목차1. apache 버전 확인2. apache 상태 확인3. apache 시작4. 아파치 중지4. 아파치 재시작5. 부팅 후 자동으로 아파치 시작 (해제) ✅ rsync의 두 가지 접속…

  • SSH 명령어: 옵션 및 사용 방법

    리눅스에서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며, 주로 원격 접속, 파일 전송, 그리고 터널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한 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 리눅스 YUM 개념과 기본 명령어

    YUM(Yellow dog Updater, Modified)은 레드햇(RPM)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설치 및 관리 도구입니다. 기존의 RPM 방식은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문제로 사용자가 필요한 도구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YUM은 이러한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 주며, 필요한 패키지와 관련된 의존 패키지를 함께 설치하여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의존성이 존재할 때 관련된 다른 패키지들을 자동으로…

  • 리눅스 history 명령어

    리눅스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리눅스 콘솔에 접속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history만 입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보다 더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apache 버전 확인2. apache 상태 확인3. apache 시작4. 아파치 중지4. 아파치 재시작5. 부팅 후 자동으로 아파치 시작 (해제)✅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 [Linux] access_log 분석[220.23.175.93]

    access_log 분석을 통해 웹 로그가 들어오는 것을 파악. 목차1. apache 버전 확인2. apache 상태 확인3. apache 시작4. 아파치 중지4. 아파치 재시작5. 부팅 후 자동으로 아파치 시작 (해제)✅ access_log 분석 기본 httpd.conf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값에 대한 필드 분석. ✅ 명령어 조합을 통한 access_log 분석 1.1 access_log 분석: 날짜+시간대,  awk $IP,국가 1.2 sed 시간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