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키 리눅스(Rocky Linux)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 운영 체제 소스 코드를 사용한 리눅스로 RHEL과 100% 버그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OS가 커뮤니티에서 집중적으로 개발 중이며,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뛰어난 안정성으로 2023년 최신 버전은 9.0입니다. 릴리스의 수명 주기는 10년입니다.

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

CentOS는 2000년대 초반에 안정적인 포인트 릴리스 시스템을 갖춘 RHEL과의 바이너리 호환성을 제공하며 무료로 제공되는 엔터프라이즈급 Linux 배포판으로 등장했습니다. 이는 RHEL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지만 상업적인 지원은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오픈 소스 성격 덕분에 사용자들은 RHEL의 안정성과 성능을 추가 비용 없이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CentOS는 인기를 얻으면서 Red Hat의 관심을 끌게 되었고, 결국 2014년 Red Hat이 CentOS를 인수했습니다. 이로 인해 CentOS의 거버넌스가 변경되었고 Red Hat은 CentOS 프로젝트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면서 이사회에서도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CentOS는 RHEL과의 호환성으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얻었지만, 이로 인해 RHEL의 상용 구독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이에 회사는 2021년 CentOS를 중단하고 CentOS Stream으로 대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20년 12월 8일, Red Hat은 “CentOS Stream”으로 알려진 운영 체제의 새로운 업스트림 개발 변형을 선호하여 Red Hat Enterprise Linux의 프로덕션 준비 다운스트림 버전이었던 CentOS의 개발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CentOS의 최초 창립자인 Gregory Kurtzer는 CentOS 웹사이트의 댓글을 통해 CentOS의 원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이름은 초기 CentOS 공동 창립자인 Rocky McGaugh를 기리기 위해 선택되었습니다. 12월 12일까지 Rocky Linux의 코드 저장소는 GitHub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저장소가 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9(Rocky Linux9)
  • 웹사이트
  • OS 리눅스(유닉스 계열)
  • 오픈 소스
  • GNOME Shell, Bash

Rocky Linux 후원자

Rocky Linux의 Tier1 스폰서는 COQ, 45Drives, AWS(Amazon Web Services), Google Cloud, MontaVista, Rakuten Symphony가 있습니다.

Rocky Linux 특징

Rocky Linux는 RHEL을 기반으로 재구성된 Linux 배포판으로, RHEL의 장기적인 지원 및 유지보수 이점을 계승하며 2032년까지 최신 버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약속합니다. 이것은 사용자들에게 안정성과 신뢰성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RHEL과 호환되는 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기여합니다. Rocky Linux의 목표는 사용자들이 RHEL의 안정성을 무료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및 개발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1. 안정성

Rocky Linux의 목적은 CentOS의 대안(대체)입니다. 기존 CentOS의 장점인 안정성을 대체하는 것으로 갑작스러운 업데이트 없이 원할한 실행을 목적으로 합니다.

2. 호환성

Rocky Linux는 Red Hat Enterprise 바이너리 코드와 100% 호환됩니다. 버그 간 호환성은 RHEL의 주요 기능 중 일부인 OS의 성능, 효율성 및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3. 오픈 소스

Rocky Linux는 오픈 소스 기반의 배포판으로, 안정적인 RHEL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전체 커뮤니티에 이익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 요구 사항을 중심으로 문서화, 보안 관리 및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커뮤니티에서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Rocky Linux는 이러한 오픈 소스 기반으로 사용자들에게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면서도 자유롭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4. 지원

OS의 인기 상승은 커뮤니티 지원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무료로 유지되면서도 풍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커뮤니티가 증가함을 의미하며, 사용자들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사에서 제공하는 상업적 지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록키 리눅스 단점

록키 리눅스는 초기에는 문제가 있었지만, 커뮤니티의 성장과 프로젝트 성숙화로 문제가 감소하고 있습니다.일부 사용자는 유지 관리에 많은 돈이 필요하고 개발 및 업데이트를 위한 헌신적인 지지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래에 대해 우려하고 있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CentOS Stream에 비해 느린 업데이트 주기를 가지고 있어 개발자들에게는 단점으로 비칠 수 있지만, 예상치 못한 업데이트가 거의 없는 안정적인 시스템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이점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CentOS의 대안으로 록키 리눅스 외에도, 알마 리눅스와 오라클 리눅스가 주요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Similar Posts

  • [Linux] lsof 명령어: 실행 중 파일 정보 출력

    lsof 명령어는 lisf open files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파일의 정보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lsof 명령어는 파일을 포함하여 디렉터리, 네트워크 소켓, 파이프 등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다양한 리소스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목차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Rocky Linux 후원자Rocky Linux 특징1. 안정성2. 호환성3. 오픈 소스4. 지원록키 리눅스 단점결론 ✅ lsof 명령어 기본 구문 명령어만…

  • [Linux]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 설치(Certbot, Feat. Cloudflare)

    그동안 let’s Encrypt 일반 인증서를 Certbot 설치 후 사용하다가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를 설치해서 사용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서버는 LightSail Alma Linux apache로 구동되는 서버인데 차후 상황을 봐서 Open Lightspeed 서버로 변경을 고려중이지만 한참 뒤가 될 것 같습니다. 현재는 apache 기준으로 Let’s Encrypt 와일드카드 인증서를 설치합니다. 와일드카드 SSL 설치 조건 중 하나가 Certbot의…

  • 리눅스 mkdir 명령어 | Linux 디렉토리 생성하기

    리눅스 mkdir 명령어는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리눅스에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Rocky Linux 후원자Rocky Linux 특징1. 안정성2. 호환성3. 오픈 소스4. 지원록키 리눅스 단점결론✅ 리눅스 mkdir 명령어 기본 사용법 경로 미 지정 시 현재 위치에서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mkdir 명령어 옵션 설명 -m 디렉토리 생성 시 권한(퍼미션) 설정(기본 값: 755) -v 디렉토리 생성…

  • [우분투] AH00558: apache2: Could not reliably ..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 using 127.0.1.1. Set

    우분투 서버에서 APM까지 설치 후 서버에서 apache2ctl -t 무결성 및 apache2ctl graceful 명령어 입력 중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오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Rocky Linux 후원자Rocky Linux 특징1. 안정성2. 호환성3. 오픈 소스4. 지원록키 리눅스 단점결론✅ qualified domain name 경고 메시지 오류가 아닌 경고 메시지로, etc/apache2/apache2.conf 파일에 SeverName에 도메인…

  • 리눅스 Logrotate 개념과 설정

    리눅스 Logrotate는 “로그를 회전하다.”라는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로그와 Rotate(회전하다[동사])의 합성어입니다.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로테이션(Rotation)은 사람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교대하는 일, 야구 경기에서 선발 투수를 차례로 기용하는 일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반복과 교대의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로그로테이션(Logrotation) > 로그 회전이라는 명사로도 언급됩니다. Logrotate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명령어를…

  • df 명령어

    df(Disk Free)는 마운트 된 장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 디스크 크기(Size), 사용량(Used), 여유공간(Avail), 사용률(Use%), 마운트지점(Mounted on)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Rocky Linux 후원자Rocky Linux 특징1. 안정성2. 호환성3. 오픈 소스4. 지원록키 리눅스 단점결론df 명령어 옵션 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해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