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와 유닉스 차이점 9가지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점이 한번 씩 생기게 됩니다. 간단하게 차이점을 요약하자면, 리눅스는 유닉스의 오픈 소스 구현체로,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 체제를 제공하면서도 커뮤니티 기반의 개방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안정적이고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운영 체제이지만, 유닉스는 상용 운영 체제의 역사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고, 리눅스는 개방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유닉스(Unix)

유닉스(Unix)는 1965년 MIT, AT&T 벨 연구소, General Electric에서는 멀틱스(Multics)라는 실험적인 운영체제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의 목적은 멀티태스킹(multitasking 다중 작업), 멀티 유저를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목적과 다르게 비대 해지고 쓸모 없는 운영체제가 되었습니다.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벨 연구소 직원인 켄 톰슨(Kenneth Thompson),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가 개발을 시작해 1973년 처음으로 공식 발표 되었습니다.

유닉스 이름의 유래는 초기 개발 당시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가 아닌 싱글태스킹 운영 체제로 시작되었으며, unicx(Uniplexed Information and Computing Service:단일화된 정보 및 컴퓨터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이후 Unix 철자로 변경되었습니다. 

어셈블리 언어로 되어 있던 Unix는 데니스 리치가 C언어를 개발하여, 1973년 3월에 만들어진 Unix 네 번째 버전에 적용되었으며, Unix 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 리눅스(Linux)

유닉스(Unix)와 호환되는 리눅스(Linux)는 1991년 8월 리누스 베네딕트 토르발스(Linus Benedict Torvalds)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1991년 10월에 comp.os.linux 사이트에 0.02 버전을 공식으로 발표합니다. 이후에 설립된 자유 소프트 재단(FSF, Free Software Foundation)의 GNU(GNU is not Unix) 프로젝트의 GUN 프로젝트의 커널로 채택되었습니다. GNU gcc 컴파일러와 gcc로 컴파일 된 응용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완성된 운영 체제로 자리 잡게 됩니다.

리눅스(Linux)

◼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1996년 리눅스 커널 메일링 리스트에서 리눅스의 마스코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토르발스가 개인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었던 Tux(턱스)라는 펭귄 이름의 로고를 사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마스코트인 Tux를 사용하는 큰 뜻이 있는 것은 아니고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가 펭귄을 좋아했기 때문입니다.

핸드폰 안의 리눅스

✅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

Similar Posts

  • 리눅스 touch 명령어

    touch 명령어는 파일의 날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파일의 최근 사용 시간, 변경 시간이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변경됩니다. 파일이 없는 파일명을 입력할 경우 새로운 크기가 0인 빈 파일이 생성됩니다.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touch 명령어…

  • WAS와 WEB 서버 차이

    웹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 요청을 하면 요청을 받아 정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정적 콘텐츠는 HTML, CSS, 이미지, 파일 등의 콘텐츠가 제공됩니다. WAS란 DB 조회 또는 다양한 로직의 처리가 요구되는 동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서버입니다.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웹서버란 무엇인가?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 df 명령어

    df(Disk Free)는 마운트 된 장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 디스크 크기(Size), 사용량(Used), 여유공간(Avail), 사용률(Use%), 마운트지점(Mounted on)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df 명령어 옵션 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해서 서버 관리를 하는 것이…

  • SSL 보안인증서 설치(CentOS 7)

    SSL 보안인증서는 한국·해외 웹사이트에서 필수 요소 중 하나입니다. SSL 보안인증서 설치 후 운영이 필요한 이유는 광고가 아닌 유기적 트래픽을 원할 경우 SSL(TLS) 인증서는 검색엔진최적화(SEO)에 필수 항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SSL 보안인증서는 사용자와 서버의 통신이 암호화되어 중간에 해커가 데이터를 가로채지 못하도록 하는 방화벽입니다.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

  • [Linux] 우분투 서버 설치 RAID 1 (24.04 ver.)

    Oracle VirtualBox에 우분투 서버 설치를 RAID 1 으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설치 버전은 24.04 버전입니다. RAID 1은 콘솔이 아니라 설치 과정의 UI 환경에서 설정하겠습니다. 목차✅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펭귄 마스코트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 ✅ 가상머신 생성 우분투 24.04 버전을 다운로드 받았다면 우측 상단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해서 가상 머신을 생성합니다. 무인 설치 건너뛰기를…

  • SSH 명령어: 옵션 및 사용 방법

    리눅스에서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며, 주로 원격 접속, 파일 전송, 그리고 터널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한 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