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데몬이란? 독립형(Standalone) 방식과 슈퍼데몬 방식(xinetd)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데몬(Daemon)이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뜻 합니다. 뒤에 ‘d’로 끝나며 보통 프로세스로 실행됩니다.

✅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

리눅스에서 데몬이 운영되는 방식은 독립형이란 뜻을 가진 Standalone 방식으로 단독으로 실행되는 데몬과 슈퍼 데몬 방식 xinetd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 Standalone 방식

  • 시스템에서 독자적으로 프로세스가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을 뜻 합니다.
  • 웹서버(httpd), DB 서버(my-sql), 샌드메일 서버(sendmail) 크론(crond) syslog 등.
  • 데몬의 실행 및 종료는 service [데몬 이름] start, stop 등으로 실행합니다.
  • 예시
service httpd restart 
Redirecting to /bin/systemctl restart httpd.service

2. xinetd 방식

리눅스 커널 2.4 버전(리눅스 7.x 버전 이후)부터 ‘inetd’가 ‘xinetd’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inetd
  • Internet SuperServer 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extended‘는 extended Internet SuperServer로 확장된 데몬을 의미합니다.
  • 항상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며, 클라이언트 요청이 있을 경우 실행되는 방식입니다.
  • /etc/xinetd.d/ 디렉토리와 /etc/xinetd.conf 파일에서 관리합니다.
  • telnet, ftp, shell, rsync 등

✅ xinetd 설치

슈퍼 데몬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아무 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rpm -qa | grep xinetd*
xinetd-2.3.15-25.el8.x86_64

설치를 진행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설치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조회 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dnf list xinetd*
# 설치하기
dnf -y install xinetd.x86_64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리눅스 Rsync 명령어

    Rsync (Remote Sync) 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백업 방식입니다. 전체 데이터를 매번 복사하는 대신 변경된 부분만 증분 방식으로 전송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다양한 옵션을 통해 압축, 암호화, 권한 유지, 삭제 동기화 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백업과 서버 간 데이터 전송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재 전송…

  • [Linux] access_log 분석[220.23.175.93]

    access_log 분석을 통해 웹 로그가 들어오는 것을 파악.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access_log 분석 기본 httpd.conf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값에 대한 필드 분석. ✅ 명령어 조합을 통한 access_log 분석 1.1 access_log 분석: 날짜+시간대,  awk $IP,국가 1.2 sed 시간대 활용 1.3 [ ] 정규식 및 cut 활용…

  • 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빠지게 되면 Hard Link를…

  • Linux: crontab 설정

    윈도우 스케줄러와 비슷한 개념의 리눅스 crontab은 주기적으로 홈페이지 및 DB 데이터를 백업해야 하거나 특정 시간에 로그 파일 등을 삭제해서 서버 유지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스케줄러입니다. 크론탭은 특정 시간에 주기적으로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1. 크론탭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 vi 명령어처럼…

  • rm 명령어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1. rm 명령어 ‘rm 명령어‘ 는 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rm 명령어’ 는 심볼릭 링크는 삭제하지만 링크의 대상 파일은 삭제하지 않는다. ls 명령어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rm(remove) 명령어 rm –remove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 rm -i –interactive 기존 파일을 삭제하기…

  • 리눅스: RPM, YUM 차이

    RPM(Red Hat Package Manager)과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은 리눅스의 패키지를 설치하는 인스톨 프로그램입니다. 패키지 설치와 삭제,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RPM 리눅스를 초기에 설치 할 때는 tar, gzip 등의 확장자를 사용했습니다. 패키지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컴파일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Windows와 비교하면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