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데몬이란? 독립형(Standalone) 방식과 슈퍼데몬 방식(xinetd)

리눅스 데몬(Daemon)이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뜻 합니다. 뒤에 ‘d’로 끝나며 보통 프로세스로 실행됩니다.

✅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

리눅스에서 데몬이 운영되는 방식은 독립형이란 뜻을 가진 Standalone 방식으로 단독으로 실행되는 데몬과 슈퍼 데몬 방식 xinetd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 Standalone 방식

  • 시스템에서 독자적으로 프로세스가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을 뜻 합니다.
  • 웹서버(httpd), DB 서버(my-sql), 샌드메일 서버(sendmail) 크론(crond) syslog 등.
  • 데몬의 실행 및 종료는 service [데몬 이름] start, stop 등으로 실행합니다.
  • 예시
service httpd restart 
Redirecting to /bin/systemctl restart httpd.service

2. xinetd 방식

리눅스 커널 2.4 버전(리눅스 7.x 버전 이후)부터 ‘inetd’가 ‘xinetd’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inetd
  • Internet SuperServer 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extended‘는 extended Internet SuperServer로 확장된 데몬을 의미합니다.
  • 항상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며, 클라이언트 요청이 있을 경우 실행되는 방식입니다.
  • /etc/xinetd.d/ 디렉토리와 /etc/xinetd.conf 파일에서 관리합니다.
  • telnet, ftp, shell, rsync 등

✅ xinetd 설치

슈퍼 데몬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아무 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rpm -qa | grep xinetd*
xinetd-2.3.15-25.el8.x86_64

설치를 진행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설치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조회 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dnf list xinetd*
# 설치하기
dnf -y install xinetd.x86_64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Varnish Cache란 무엇인가? | Varnish 설치 및 기본 설정하기

    Varnish Cache는 동적 웹사이트와 API에 적합한 HTTP 가속기입니다. 이는 스퀴드와 같은 클라이언트 사이드 캐시 역할을 하는 다른 웹 가속기와 달리 Nginx, 아파치와 같은 원본 서버 대신 HTTP 가속기로 설계 되었습니다. 또한, Varnish는 HTTP에 특화되어 있어 FTP, SMTP 및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록시 서버와는 다릅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 리눅스 grep 명령어

    리눅스 grep 명령어는 로그 파일과 같은 텍스트 파일과 아스키 파일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되며, tail과 find 명령어를 파이프(|)와 결합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 기본적인 사용 예 ✅ grep 옵션 ✅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다중…

  • [우분투] AH00558: apache2: Could not reliably ..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 using 127.0.1.1. Set

    우분투 서버에서 APM까지 설치 후 서버에서 apache2ctl -t 무결성 및 apache2ctl graceful 명령어 입력 중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오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qualified domain name 경고 메시지 오류가 아닌 경고 메시지로, etc/apache2/apache2.conf 파일에 SeverName에 도메인 주소 또는 다음과 같은…

  • |

    컴파일 뜻 : 컴파일링이란?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 컴파일이란? 컴파일(compile)이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소스코드를 Compiler 하여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요즘은 배포판 공급업체에서 이미 compile 된 바이너리 파일들을 저장소에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 되었으며, 서버로 다운로드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Ⅰ. 컴파일링과 링킹 compile…

  • cp 명령어 옵션 및 실행 시 일괄 덮어쓰기 설정 | yes, \(역슬래쉬) 2가지 설정

    cp 명령어는 Copy의 약자로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 기본 사용법은 간단하게 복사할 대상과 새로운 이름 등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cp 명령어를 실행할 때 같은 이름의 대상 파일이 있을 때는 사용자에게 묻지 않고 덮어쓰기가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alias “cp=’cp -i”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 리눅스 파일 시스템(File System)과 스토리지

    리눅스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를 큰 트리 구조 하나로 관리합니다. 리눅스는 Ext(Extended File System)를 사용합니다. OS는 파일 스토리지에 있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게 됩니다. 목차✅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1. Standalone 방식2. xinetd 방식✅ xinetd 설치✅ 대표적인 리눅스 파일 시스템 종류 저널링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의 저널(로그)에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