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커널(Kernel)이란? | 커널 버전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커널과 커널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커널을 말할 때 리눅스 커널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핵심(&알맹이)이라는 뜻을 가진 커널(Kernel)은 내부 계층에 속하며, Shell 명령과 하드웨어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컴퓨터는 크게 물리적으로 만질 수 있는 하드웨어(키보드, 모니터, 본체:CPU, 메모리 등)와 소프트웨어로 나뉘게 됩니다.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인 윈도우, 리눅스, MacOS 등이며, 추가로 설치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Chrome, MsOffice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커널과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리눅스 쉘(Shell)과 커널(Kernel)
출처: https://www.shiksha.com/online-courses/articles/unix-vs-linux/

앞서 언급한 것처럼 유저는 Shell 명령어를 입력하여 커널에 전달하게 되며, 핵심이란 뜻에서 알 수 있듯이 전달 받은 Shell 명령을 커널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해서 하드웨어 및 프로세스, 메모리 등 윈도우에서 실행시켜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에서 커널은 OS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며, 디바이스, 프로세스, 메모리 관리와 시스템 콜 제공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리소스와 하드웨어 기능을 관리하는 것이 커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커널과 시스템프로그램(보통 Shell)

▼ 실제로 복잡한 구성을 가진 커널의 구성도입니다.

리눅스 커널 구조도(출처 위키피디아)
리눅스 커널 구조도(출처 위키피디아)

✅ 커널의 역할

리눅스 커널(Kernel)의 역할(목적)

커널의 목적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물리적 자원)와 추상화 자원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 테스크(Task)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CPU를 추상적 자원인 Task로 제공
  • 메모리(Memony)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메모리를 Page, Segment로 제공
  • 파일 시스템(Fiile System)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디스크를 추상적 자원인 File로 제공
  • 네트워크(Network)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네트워크 장치를 추상적 자원 Socket으로 제공

✅ 커널의 버전

1996년 4월 버전 2.0이 나왔으며, 2년 마다 마이너 버전(0.x)가 배포 되었으며, 2개월 마다 패치 버전(0.0.x)가 배포되는 방식이 기본 방식이었습니다. 2.6 버전 이후 7년 간 마이너 및 패치 버전 배포 없이 유지되다가 2012년 12월 3.8 버전, 2018년 4.17 버전, 2022년 6.1 버전, 이후 6.1.2 버전 등이 있습니다.

Similar Posts

  • 리눅스 Rsync 명령어

    Rsync (Remote Sync) 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백업 방식입니다. 전체 데이터를 매번 복사하는 대신 변경된 부분만 증분 방식으로 전송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다양한 옵션을 통해 압축, 암호화, 권한 유지, 삭제 동기화 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백업과 서버 간 데이터 전송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재 전송…

  • 리눅스 find 명령어

    리눅스 find 명령어는 여러가지 다양한 기준으로 파일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파일을 찾거나 특정 문자 패턴에 맞춰서 검색, 특정 확장자의 파일 검색, 특정 소유자, 파일 사이즈, 퍼미션,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nd 명령어는 파일을 찾는 기본 역할 외에도 찾은 파일에 대한 퍼미션 변경, 소유자 변경, 파일 삭제…

  • 리눅스 CPU/RAM/디스크 및 OS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에서 사용 중인 서버의 정보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리눅스 CPU/RAM/디스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명령어를 이용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커널의 역할✅ 커널의 버전✅ 리눅스 CPU 정보 확인 명령어 1. cat /proc/cpuinfo 2. CPU 전체 개수와 물리 CPU 갯수 확인하기 3. 하이퍼 스레딩(Hyper Threading) 적용 확인 CPU 코어 개수…

  • [Linux] ifcfg: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이더넷) | CentOS 7 ver.

    레드헷 계열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구성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파일에서 설정합니다. ifcfg(interface configuration)는 “이더넷” 장치를 어떻게 네트워크에 연결할지 설정하는 게 ifcfg-* 파일의 목적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물리적 또는 가상 장치입니다. 유선(이더넷 카드), 무선(Wi-Fi 어댑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리눅스에서는 eth0, wlan0, enp0s3 등 이름으로 식별하며 고유하게 관리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 되어 인터넷이나 로컬…

  • Apache&Nginx에 Varnish Cache 설치 및 설정

    기존 Apache와 Nginx 조합의 서버에 Varnish Cache를 추가로 설치하고 적용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Nginx에 Varnish Cache를 추가로 설정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기존의 서버에 적용된 사항을 체크 해 보겠습니다. AlmaLinux release 9.4 버전에 Apache/2.4.57, nginx/1.28.0 , PHP 8.3.22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는 varnish, collectd-varnish, varnish-modules 총 3개의 모듈 설치를 진행합니다. 목차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커널의 역할✅ 커널의…

  • 리눅스 uptime 명령어(서버 가동 시간&1,5,15 평균 로드 확인)

    리눅스 uptime 명령어는 시스템의 평균 부하율과 서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서버의 부팅 시간을 알고 싶을 때, 최근 15분 동안의 평균 로드를 통해 부하율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커널의 역할✅ 커널의 버전✅ 리눅스 uptime 명령어 기본 사용법과 설명 총 4개의 컬럼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