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커널(Kernel)이란? | 커널 버전

리눅스 커널과 커널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커널을 말할 때 리눅스 커널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핵심(&알맹이)이라는 뜻을 가진 커널(Kernel)은 내부 계층에 속하며, Shell 명령과 하드웨어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컴퓨터는 크게 물리적으로 만질 수 있는 하드웨어(키보드, 모니터, 본체:CPU, 메모리 등)와 소프트웨어로 나뉘게 됩니다.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인 윈도우, 리눅스, MacOS 등이며, 추가로 설치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Chrome, MsOffice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커널과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리눅스 쉘(Shell)과 커널(Kernel)
출처: https://www.shiksha.com/online-courses/articles/unix-vs-linux/

앞서 언급한 것처럼 유저는 Shell 명령어를 입력하여 커널에 전달하게 되며, 핵심이란 뜻에서 알 수 있듯이 전달 받은 Shell 명령을 커널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해서 하드웨어 및 프로세스, 메모리 등 윈도우에서 실행시켜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에서 커널은 OS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며, 디바이스, 프로세스, 메모리 관리와 시스템 콜 제공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리소스와 하드웨어 기능을 관리하는 것이 커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커널과 시스템프로그램(보통 Shell)

▼ 실제로 복잡한 구성을 가진 커널의 구성도입니다.

리눅스 커널 구조도(출처 위키피디아)
리눅스 커널 구조도(출처 위키피디아)

✅ 커널의 역할

리눅스 커널(Kernel)의 역할(목적)

커널의 목적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물리적 자원)와 추상화 자원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 테스크(Task)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CPU를 추상적 자원인 Task로 제공
  • 메모리(Memony)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메모리를 Page, Segment로 제공
  • 파일 시스템(Fiile System)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디스크를 추상적 자원인 File로 제공
  • 네트워크(Network) 관리자
  • 물리적 자원인 네트워크 장치를 추상적 자원 Socket으로 제공

✅ 커널의 버전

1996년 4월 버전 2.0이 나왔으며, 2년 마다 마이너 버전(0.x)가 배포 되었으며, 2개월 마다 패치 버전(0.0.x)가 배포되는 방식이 기본 방식이었습니다. 2.6 버전 이후 7년 간 마이너 및 패치 버전 배포 없이 유지되다가 2012년 12월 3.8 버전, 2018년 4.17 버전, 2022년 6.1 버전, 이후 6.1.2 버전 등이 있습니다.

Similar Posts

  • 리눅스 grep 명령어

    리눅스 grep 명령어는 로그 파일과 같은 텍스트 파일과 아스키 파일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되며, tail과 find 명령어를 파이프(|)와 결합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커널의 역할✅ 커널의 버전✅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 기본적인 사용 예 ✅ grep 옵션 ✅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다중 명령어인 파이프(|)와 조합해서 사용할…

  • 리눅스 Logrotate 개념과 설정

    리눅스 Logrotate는 “로그를 회전하다.”라는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로그와 Rotate(회전하다[동사])의 합성어입니다.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로테이션(Rotation)은 사람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교대하는 일, 야구 경기에서 선발 투수를 차례로 기용하는 일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반복과 교대의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로그로테이션(Logrotation) > 로그 회전이라는 명사로도 언급됩니다. Logrotate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명령어를…

  •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사용 방법과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커널의 역할✅ 커널의 버전✅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대부분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killall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psmisc 패키지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which whereis locate: 3가지 위치(경로) 확인 명령어

    리눅스 which와 whereis 명령어 명령어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명령어는 find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을 찾을 수 있지만 find 명령어는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locate 명령어는 파일명을 빠르게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기본 명령어 3가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커널의 역할✅ 커널의 버전✅ 리눅스 which 명령어 ‘어느’, ‘어떤’, ‘어느 쪽’의…

  •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 운영 체제 소스 코드를 사용한 리눅스로 RHEL과 100% 버그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OS가 커뮤니티에서 집중적으로 개발 중이며,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뛰어난 안정성으로 2023년 최신 버전은 9.0입니다. 릴리스의 수명 주기는 10년입니다. 목차리눅스 커널(Kernel)의 개념✅ 커널의 역할✅ 커널의 버전 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 CentOS는 2000년대 초반에 안정적인 포인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