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history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리눅스 콘솔에 접속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history만 입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보다 더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 history 명령어 개요
  • 기존에 실행한 명령어 목록을 보여주는 리눅스 명령어
  • 500 or 1000 개의 명령어가 기본으로 저장됨.
  • 검색 명령어

✅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사용

history 명령어 자체만 입력해서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history [-옵션]
리눅스 history 명령어

✅ history 명령어 옵션

✅ history 명령어 파이프(|) 명령어와 함께 활용하기

다중 명령어인 파이프(|) 명령어와 함께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history | less

파이프와 less 명령어를 함께 입력해서 원하는 목록을 확인합니다.

✅ history 명령어 조회 시 날짜, 시간 표시 적용

vi /etc/profile로 파일을 수정해 줍니다.

~]# vi /etc/profile

if [ -n "${BASH_VERSION-}" ] ; then
        if [ -f /etc/bashrc ] ; then
                # Bash login shells run only /etc/profile
                # Bash non-login shells run only /etc/bashrc
                # Check for double sourcing is done in /etc/bashrc.
                . /etc/bashrc
       fi
fi

## history file date setting ##
HISTTIMEFORMAT=”[%Y-%m-%d_%H:%M:%S]“

:wq
]# source /etc/profile

저장 후 source /etc/profile을 진행하면 history 파일에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istory 명령어 활용

less 명령어로 히스토리 목록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history | less

아니면 입력했던 history 명령어 목록 중에서 찾고자 하는 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history | grep rm

Similar Posts

  • [Linux] lsof 명령어: 실행 중 파일 정보 출력

    lsof 명령어는 lisf open files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파일의 정보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lsof 명령어는 파일을 포함하여 디렉터리, 네트워크 소켓, 파이프 등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다양한 리소스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사용✅ history 명령어 옵션✅ history 명령어 파이프(|) 명령어와 함께 활용하기✅ history 명령어 조회 시 날짜, 시간…

  • 리눅스 퍼미션(4,2,1)과 소유권 | chmod, chown, umask 명령어 | 스티키 비트

    리눅스 퍼미션(Permission)은 권한(&허가)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들은 MS-DOS 계열의 운영 체제들은 멀티 테스킹 시스템이 아니며 멀티 유저 시스템 역시 아닙니다. 보통 컴퓨터는 하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한 명이 사용하지만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한 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멀티 유저 시스템은 운영 체제 설계 초기부터 깊게 내장된…

  • [Linux] userdel 명령어: 사용자 계정 삭제 명령어

    리눅스에서 useradd로 계정 생성 후 삭제가 필요한 경우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사용✅ history 명령어 옵션✅ history 명령어 파이프(|) 명령어와 함께 활용하기✅ history 명령어 조회 시 날짜, 시간 표시 적용✅ history 명령어 활용✅ userdel 명령어 기본 사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userdel 주로 사용하는 옵션 userlde만 입력해서 사용자를 삭제할 경우…

  • 리눅스 free 명령어: 메모리 상태 확인

    리눅스 free 명령어는 서버의 메모리 사용량과 여유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proc/meminfo의 메모리 정보를 가져와 보여줍니다. 목차✅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사용✅ history 명령어 옵션✅ history 명령어 파이프(|) 명령어와 함께 활용하기✅ history 명령어 조회 시 날짜, 시간 표시 적용✅ history 명령어 활용✅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 1. free -h 설명 2. 옵션…

  •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 timedatectl(CentOS7 이상)

    리눅스에서 날짜 및 시간 설정이 필요한 이유는 서버 운영 중 시간이 잘못되면, 입력되는 DB데이터, 로그 데이터, 웹 서버에 접속한 기록 등의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를 사용하는데 있어 OS는 두 개의 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시스템 시계(소프트웨어 시계), 하드웨어 시계(실시간 시계, BIOS 시계)입니다. 목차✅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 리눅스 uniq 명령어

    리눅스 uniq 명령어는 “unique”의 약자이며, 텍스트 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하나의 행만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복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몇 번의 반복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사용✅ history 명령어 옵션✅ history 명령어 파이프(|) 명령어와 함께 활용하기✅ history 명령어 조회 시 날짜, 시간 표시 적용✅…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