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Load Average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에서 top 명령어 또는 uptime 명령어로 1분, 5분, 15분의 시스템의 평균 로드 지표인 Load Average를 통해 평균 부하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Load Average는 CPU에 어느 정도의 일이 쌓이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 내릴 수 있습니다.

✅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 uptime                                                                                                         
 10:36:12 up 5 days, 17:35,  1 user,  load average: 2.03, 20.17, 15.09
 ⓐ현재 시간|ⓑ부팅  5 17:35동안 가동|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최근 1분,5분,15분동안 시스템의 평균 부하율  

세 개의 숫자 (2.03, 20.17, 15.09)는 시스템에서의 1분,5분,15분 동안의 평균 부하를 나타 냅니다. 1코어의 단일 CPU 환경일 경우 평균 부하 1이 의미하는 것은 100% CPU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코어일 경우는 50%, 4코어일 경우 25%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눅스 uptime 명령어를 통한 Load Average 확인하기

결국 단일 CPU 환경에서 부하 1과 4개의 CPU에서 부하가 4라는 것은 자원을 사용하는 양적인 측면에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Load Average의 평균 부하가 높다는 것은 “어떤 이유로 높은가?”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 평균 부하 원인
  • CPU에 의한 부하: 프로세스가 CPU 자원을 사용하기 전 대기 상태.
  • RAM에 의한 부하: 높은 RAM 사용으로 RAM 영역이 아닌 Swap 영역으로 옮겨진 경우.
  • 디스크 I/O에 자원이 집중된 경우

시스템의 주요 리소스는 CPU, RAM, 디스크 I/O 3가지와 네트워크를 볼 수 있으며, 서버에서의 문제 발생이 원인일 경우 시스템 엔지니어의 경우 RAM, 또는 CPU를 추가할지를 고민할 수 있고, 개발자의 경우 새로 수정한 코드가 느리게 실행되는지 체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구체적인 부하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vmstat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r과 b 열에서 각각의 프로세스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 – The number of processes waiting for run time: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갯수
  • b – The number of processes in uninterruptible sleep: I/O를 위해 대기열에 있는 프로세스의 개수
vmstat 2
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st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2     1   47  134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7  133  0  0 100  0  0
 1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8  139  0  0 100  0  0
 4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4  122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9  136  0  0 100  0  0
 1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26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4  128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33  0  0 100  0  0
 1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5  126  0  1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8  133  0  0 99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5  132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29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9  135  0  0 100  0  0
 0  0      0 1077988   3124 321444    0    0     0     0   46  127  0  0 100  0  0

b 열에 있는 프로세스가 많이 표시되는 경우 I/O 처리 과정의 문제를 체크 해 볼 수 있겠습니다.

리눅스 TOP 명령어: 명령줄 인터페이스(CLI-Command-Line Interface)

Similar Posts

  • vsftpd 530 에러와 533 에러 발생 시 해결 방법

    리눅스 서버에서 vsftpd 데몬이 설치되어 있는 서버에서 530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 1. Selinux 해제 Selinux를 잘 다루면 좋겠지만 Selinux로 당장에 FTP 접속이 되지 않는다면 해제를 진행해 줍니다. 2. 방화벽 설정 이번에 설정한 서버의…

  • APM 설치 후 index.html 다운로드 현상과 해결 방법

    웹 서버 세팅을 위해 APM을 설치했는데 index.html 다운로드 현상이 발생했다. 원인으로 아파치랑 PHP 연동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구글링 결과 확인되었습니다. 참고로 html과 php 모두 동일한 다운로드 되는 현상이 나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index.html 다운로드 현상 해결하기 먼저 httpd.conf 파일에…

  • APM 설치 후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인스턴스 ‘록키 리눅스’에 APM을 설치하고 난 후에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에러와 함께 ‘ERR_INVALID_RESPONSE’ 잘못 된 응답이라는 에러 메시지 화면을 확인했다. 도메인까지 연결한 후에 ping으로 해당 IP까지 향하는 것까지 확인했지만 오류가 확인된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IP 체크…

  • |

    ORA-12514: 오라클 19c DB 접속 오류

    Oracle 19c를 윈도우에 설치 후 [ORA-12514: TNS:리스너가 현재 접속 기술자에 요청된 서비스를 알지 못함]이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 여러가지 오류 확인 중 [lisener.ora] 파일과 [tnsnames.ora] 2개의 파일 수정을 먼저 진행했습니다. 2개 파일은 각각 셋업 시 설정한 설치…

  • 리눅스 톰캣 ERR_TOO_MANY_REDIRECTS 에러

    톰캣으로 운영 중인 서버에서 크롬으로 접속 시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톰캣 ERR_TOO_MANY_REDIRECTS 에러 원인과 해결 방법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 ERR_TOO_MANY_REDIRECTS 톰캣 및 아파치 재시작(아파치 정지 되어 있었음) / “ERR_TIMED_OUT” 오류로 변경 이후에 사이트 접속 확인되었으나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www.kgrda.re.kr에서 응답하는 데 시간이…

  • |

    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VM 인스턴스]

    오라클 클라우드 VM 인스턴스에서 고정 IP 설정까지 진행했지만 ping을 입력해도 요청 시간 만료로 timeout 오류가 되면서 응답이 없는 오류가 계속 발생했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리눅스 Load Average의 이해✅ 평균 부하가 높은 것의 의미✅ 부하의 원인 파악하기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 해결하기 방화벽 설정에서 VCN 설정을 진행해 줘야 하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