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ls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ls 명령어는 list의 약자이며,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를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의 종류와 파일의 크기, 만들어진 날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s -옵션 [파일 or 디렉토리]

ls 명령어 사용 시 [파일 or 디렉토리]를 입력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를 검색합니다.

 testuser]# pwd
/home/testuser
 testuser]# ls
a  aa  aaa  a_sim  b  bb  bbb
 testuser]# 

✅ ll 명령어(ls -l)

ll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ls -l 명령어를 간편하게 쓰기 위한 alias(별칭)로 설정됩니다.

 usr]# grep -r 'alias ll' /etc
/etc/profile.d/colorls.csh:alias ll 'ls -l'
/etc/profile.d/colorls.csh:alias ll 'ls -l --color=auto'
/etc/profile.d/colorls.sh:  alias ll='ls -l' 2>/dev/null
/etc/profile.d/colorls.sh:alias ll='ls -l --color=auto' 2>/dev/null

 Ubuntu ~]# grep -r 'alias ll' /etc
/etc/skel/.bashrc:alias ll='ls -alF'

ll 명령어를 사용 해서 파일의 정보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s -l 의 옵션으로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면서 권한, 소유자, 크기, 수정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 명령어: 리눅스 퍼미션과 소유권 설명

✅ ls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a

숨김 파일(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모두 표시

-A

숨김 파일 중 (현재 디렉터리), (상위 디렉터리)를 제외하고 표시

-d

디렉터리 자체만 표시, 내부 내용은 표시하지 않음

-l

상세 목록 형식으로 표시 (권한, 소유자, 크기, 수정 시간 등)

-F

파일 이름 끝에 유형을 표시 (/는 디렉터리, *는 실행 파일 등)

-b

특수 문자를 백슬래시(역슬래시)로 표시

-h

-l 옵션과 같이 쓸 때,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예: KB, MB)로 표시

-n

-l 옵션과 같이 쓸 때, 사용자명과 그룹명을 숫자 ID로 표시

-R

하위 디렉터리까지 재귀적으로 모두 표시

-S

파일 크기 순서대로 정렬 (큰 파일부터)

-t

수정 시간 순서대로 정렬 (최근 수정 파일부터)

✅ 사용 예시

모든 숨김 파일을 리스트 형식으로 확인합니다.

 /]# ls -al
total 16777264
dr-xr-xr-x.  18 root root         283 Jun  7 19:12 .
dr-xr-xr-x.  18 root root         283 Jun  7 19:12 ..
dr-xr-xr-x.   2 root root           6 Mar 25  2022 afs
-rw-r--r--    1 root root           0 May 29  2024 .autorelabel #피라드어
lrwxrwxrwx.   1 root root           7 Mar 25  2022 bin -> usr/bin
...

현재 폴더(.)와 상위 폴더(..)을 제외한 파일의 앞에 붙는 피라드어(.)는 숨김 파일로 간주됩니다.

현재 폴더와 상위 폴더를 숨긴 상태에서 피라드어를 조회할 경우 대문자 -A 옵션을 사용합니다.

dr-xr-xr-x.   2 root root           6 Mar 25  2022 afs
-rw-r--r--    1 root root           0 May 29  2024 .autorelabel
lrwxrwxrwx.   1 root root           7 Mar 25  2022 bin -> usr/bin
...

🔲 현재 디렉토리: -d

 home]# ls -d testuser/
testuser/
 home]# ls testuser/
a  aa  aaa  a_sim  b  bb  bbb

🔲 파일 속성 확인: -F

-F 옵션은 파일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행 파일은 파일 뒤에[*]가 붙고, 심볼릭 리읔는 뒤에 [@]가 붙습니다.

ls 명령어 -F옵션
  • 실행 파일: 파일 이름 뒤에 *
  • 심볼릭 링크: 파일 이름 뒤에 @
  • 디렉터리: 파일 이름 뒤에 /
  • 소켓: 파일 이름 뒤에 =
리눅스 ls 명령어

Similar Posts

  • [Linux] stat 명령어 : 파일&파일 시스템 확인

    리눅스 stat 명령어는 파일 및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목차✅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l 명령어(ls -l)✅ ls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현재 디렉토리: -d🔲 파일 속성 확인: -F✅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 리눅스 who, w 명령어 & user 명령어

    리눅스 who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로그인한 사용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각각의 차이가 있습니다. 목차✅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l 명령어(ls -l)✅ ls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현재 디렉토리: -d🔲 파일 속성 확인: -F✅ 리눅스 who 명령어 현재 접속 사용자(USER) 터미널 유형(TTY)…

  • 리눅스 kill 명령어[kill -9 PID]

    리눅스 kill 명령어는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터미널에서 프로세스에 시그널(Signal)을 보내서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프로그램이 정지하거나 응답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인 종료가 되지 않는 경우 등에 따라 명령어를 실행하게 됩니다. kill process는 사용 시 중요한 시스템 프로세스를 종료 시키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목차✅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l…

  • 리눅스 find 명령어

    리눅스 find 명령어는 여러가지 다양한 기준으로 파일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파일을 찾거나 특정 문자 패턴에 맞춰서 검색, 특정 확장자의 파일 검색, 특정 소유자, 파일 사이즈, 퍼미션,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nd 명령어는 파일을 찾는 기본 역할 외에도 찾은 파일에 대한 퍼미션 변경, 소유자 변경, 파일 삭제…

  • [Linux] localectl 명령어

    CentOS 7 버전부터 많은 명령어들이 통합되어 제공됩니다. 로케일 및 키보드 관련 부문은 localectl 명령어에서 제공합니다. locale은 원래 지역이나 장소를 의미하지만, IT 환경에서는 언어 및 지역 설정을 지칭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문자 인코딩, 언어, 날짜/시간, 숫자 등의 지역화 설정을 locale 문자열로 정의합니다. 대부분의 유닉스 및 리눅스 배포판은 POSIX 기반이며, 이는 Red Hat 및 Debian 계열도 포함됩니다….

  • 리눅스 grep 명령어

    리눅스 grep 명령어는 로그 파일과 같은 텍스트 파일과 아스키 파일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되며, tail과 find 명령어를 파이프(|)와 결합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l 명령어(ls -l)✅ ls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현재 디렉토리: -d🔲 파일 속성 확인: -F✅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 기본적인 사용 예…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