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pwd 명령어 & realpath 명령어 | 절대 경로 위치 확인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절대 경로를 표시합니다.

 ~]# pwd
/root

🔲 명령어 옵션

pwd 명령어는 간단한 명령어로 옵션은 2가지만 존재합니다.

리눅스 pwd 명령어 --help
  • L(논리적) 옵션의 경우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기본 값으로 심볼릭 링크를 따라 논리적 경로를 출력합니다.
  • P(물리적) 옵션은 실제 경로(심볼릭 링크가 아닌 실제 디렉토리 경로)를 출력합니다.
 bin]# pwd -L
/bin
 bin]# pwd -P
/usr/bin
리눅스 ls(ll) 명령어 루트 디렉토리

✅ realpath 명령어

realpath 명령어는 실제 경로를 절대 경로로 보여주는 명령어로, 심볼릭 링크의 실제 경로를 확인할 때 함께 사용합니다.

 bin]# realpath ./
/usr/bin
 bin]# ll yum
lrwxrwxrwx. 1 root root 5 Apr  2  2024 yum -> dnf-3
 bin]# ll dnf
lrwxrwxrwx. 1 root root 5 Apr  2  2024 dnf -> dnf-3
 bin]# realpath yum
/usr/bin/dnf-3
 bin]# realpath dnf-3
/usr/bin/dnf-3

Similar Posts

  • 리눅스 head 명령어 & tail 명령어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목차✅ pwd…

  • 리눅스 who, w 명령어 & user 명령어

    리눅스 who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로그인한 사용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각각의 차이가 있습니다. 목차✅ pwd 명령어🔲 명령어 옵션✅ realpath 명령어✅ 리눅스 who 명령어 현재 접속 사용자(USER) 터미널 유형(TTY) 접속 시간 및 IP rocky pts/0, pts/1 .. 2070-02-09 10:15 (xxx.xx.xx8.254) ✅ 리눅스 w…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pwd 명령어🔲 명령어 옵션✅ realpath 명령어✅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파일 생성 /dev/zero를…

  • du 명령어: 파일 디스크 용량 확인

    du 명령어는 disk usage의 줄임말로 파일과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pwd 명령어🔲 명령어 옵션✅ realpath 명령어✅ du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경로 없이 실행 시 현재 디렉토리(.) 및 하위 k 바이트 단위로 표시됩니다. ✅ du 명령어 옵션 ✅ du 명령어 사용 예시 🔲 디릭토리 + 파일 출력: -a 기본 사용…

  • 리눅스 find 명령어

    리눅스 find 명령어는 여러가지 다양한 기준으로 파일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파일을 찾거나 특정 문자 패턴에 맞춰서 검색, 특정 확장자의 파일 검색, 특정 소유자, 파일 사이즈, 퍼미션,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nd 명령어는 파일을 찾는 기본 역할 외에도 찾은 파일에 대한 퍼미션 변경, 소유자 변경, 파일 삭제…

  • 리눅스 cat 명령어

    리눅스에서 텍스트 파일을 출력하는 간단한 ‘cat 명령어’는 명령어 뒤에 파일명을 적어 표준 출력(Standard Output)을 할 수 있습니다. cat은 “연결시키다”, “연관시키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영어단어 “concatenat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목차✅ pwd 명령어🔲 명령어 옵션✅ realpath 명령어1. cat 명령어 특징 출력과 비슷한 의미의 단어가 아닌 “concatenate“라는 단어에서 유래된 이유는 “|” pipe 명령어나 “>” redirection 명령어 등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