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tee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tee 명령어는 배관시설에 비유해서 이름이 붙여진 명령어입니다. 파이프 모양과 똑같은 “T”에서 본따 tee 명령어이며 표준 출력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파일을 동시에 출력합니다. tee 명령어의 목적은 작업 진행 중 파이프라인(I)의 중간 내용을 알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ee 명령어
  • 표준 입력(standard input)에서 읽은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표준 출력(standard output) 리디렉션 진행(파일로 저장)
  • 명령어 분류: 텍스트 처리 명령어
  • 위치: /usr/bin/tee

✅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 기본 사용 옵션
tee -[옵션] [파일(저장할 파일명)]
  • 활용
# cat 명령어로 [파일] 이름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cat xferlog | tee xferlog_01
  • 표준 입력 리디렉션을 사용해서 파일 저장
tee teefile_www.txt < www.txt
  • 리눅스 top 명령어 활용: top 명령어의 결과를 5번(-n5) 화면으로 출력(-b)하고 top_output 파일에 저장
top -b -n5 | tee top_output

✅ tee 명령어 옵션

옵션long설명
-a-append덮어쓰지 않고 이어서(추가 >>)합니다.
-i–ignore-interrupts인터럽트 신호 무시

✅ 리눅스 tee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

I/O 리디렉션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고 tee 명령어를 왜 사용하는가에 대해 의문을 품을 수 있습니다.

echo 'hello world' > helloworld.txt   ## 표준 출력 리디렉션만 진행됨.
----- 아무 내용도 화면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
echo 'hello world' | tee helloworld.txt   ## 출력하면서 리디렉션으로 저장도 진행됩니다.
hello world  

top 명령어를 -b -n5 옵션과 함께 사용할 때도 같은 이유로 tee 명령어와 함께 사용하게 됩니다.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Linux] 다중 명령어 5가지(세미콜론, 파이프, 엠퍼센트..)

    리눅스의 Bash Shell에서 다중 명령어를 사용하는 목적은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명령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종류는 ⓐ 세미콜론(;) ⓑ 파이프(|) ⓒ 더블 버티컬바(||) ⓓ 엠퍼센트(&) ⓔ 더블엠퍼센트(&&) 등이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tee 명령어 옵션✅ 리눅스 tee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1. 많이 쓰는 다중 명령어 세미콜론(;) 하나의 명령어 라인에서 여러 개의 명령을…

  • 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tee 명령어 옵션✅ 리눅스 tee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빠지게 되면…

  • 리눅스 mkdir 명령어 | Linux 디렉토리 생성하기

    리눅스 mkdir 명령어는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리눅스에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tee 명령어 옵션✅ 리눅스 tee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 mkdir 명령어 기본 사용법 경로 미 지정 시 현재 위치에서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mkdir 명령어 옵션 설명 -m 디렉토리 생성 시 권한(퍼미션) 설정(기본 값: 755) -v 디렉토리 생성 후 생성된…

  • 리눅스 uptime 명령어(서버 가동 시간&1,5,15 평균 로드 확인)

    리눅스 uptime 명령어는 시스템의 평균 부하율과 서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서버의 부팅 시간을 알고 싶을 때, 최근 15분 동안의 평균 로드를 통해 부하율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tee 명령어 옵션✅ 리눅스 tee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 uptime 명령어 기본 사용법과 설명 총 4개의…

  • 리눅스 wget 명령어

    wget 명령어는 웹의 다운로드 링크를 리눅스 커멘드라인에서 실행해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목차✅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tee 명령어 옵션✅ 리눅스 tee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wget 설치하기 레드헷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인 yum으로 wget 설치를 진행합니다. 기본 다운로드 명령입니다. wget 명령어 옵션 다운로드 중…

  • 리눅스 host 명령어 | DNS 조회 명령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tee 명령어 사용법✅ tee 명령어 옵션✅ 리눅스 tee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 host 명령어 사용법…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