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tmp 디렉토리: /tmp와 /var/tmp 차이

리눅스 tmp 디렉토리는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주로 /tmp와 /var/tmp 디렉토리를 사용합니다.

/tmp는 일시적인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시스템이 재부팅 되면 대부분의 파일이 삭제됩니다. 따라서 빠른 입출력과 임시 작업에 적합하며, 주로 프로세스가 실행 중 생성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반면에 /var/tmp는 재부팅 후에도 파일이 유지되는 임시 저장 공간입니다. 장기간 유지가 필요한 임시 파일이나 작업 중간 저장용으로 사용되며,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임시 데이터를 보관할 때 사용됩니다.

✅ /tmp와 /var/tmp 차이

/ [ROOT]
├─ /bin -> usr/bin
├─ /boot
├─ /dev
├─ /etc
├─ ...
├─ /tmp [재부팅 시 삭제되는 일시적 임시 파일 저장소]
├─ /usr
└─ /var
    ├─ ...
    └─ tmp [재부팅 후에도 유지되는 장기 임시 파일 저장소]

🔲 /tmp

/tmp 디렉토리는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부팅 시 자동 삭제됨: 대부분의 배포판에서는 /tmp의 파일이 시스템 부팅 시 삭제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 빠른 접근성과 입출력 성능: 일부 시스템에서는 /tmp를 tmpfs로 마운트하여 메모리 기반으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 공용 임시 저장소: 사용자와 프로세스 간의 임시 파일 공유 장소로도 사용됩니다.
  • 보안 주의 필요: 전역 쓰기 가능(writable)이므로, 악의적인 스크립트나 공격 대상이 되지 않도록 권한 설정과 정기적인 정리가 필요합니다.

🔲 /var/tmp

/var/tmp 디렉토리는 재부팅 후에도 삭제되지 않는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tmp와의 차이점은 파일의 수명과 보존 목적에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부팅 후에도 파일 유지됨: 시스템이 꺼졌다가 다시 켜져도 /var/tmp의 파일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 장기 임시 저장소: 설치 작업 도중 생성되는 큰 임시 파일, 장시간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중간 결과물 등이 저장됩니다.
  • 애플리케이션 의존성: 일부 프로그램은 /var/tmp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실행 상태를 판단하거나 복구 작업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 보안 및 정리: /tmp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파일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오래된 파일을 자동으로 지우는 설정(cron이나 systemd-tmpfiles 사용)을 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리눅스 tmp 디렉토리 용도 요약
/tmp: 짧은 생명, 휘발성 작업 
/var/tmp:  생명, 지속적인 임시 파일

✅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운영 단순화
     → /tmp 하나만 관리하면 되므로, 디렉토리 권한/보안/정리 정책 등을 설정하기 쉬움
  2. 임시 파일 대부분이 짧은 생명 주기
     → 많은 프로그램들이 재부팅 시 사라져도 되는 임시 파일을 생성함 → /tmp로 충분
  3. tmpfs 마운트 활용
     → /tmp를 메모리 기반(tmpfs)으로 마운트하면 빠른 입출력 제공 가능
     → 디스크 I/O 줄이고 성능 향상
  4. 현대 시스템에서는 /var/tmp 필요성 감소
     → 장기 임시 저장이 필요한 프로그램이 줄었고, 자체 저장 디렉토리를 따로 쓰는 경우가 많아짐
  5. 보안/감사 추적 일원화
     → 하나의 tmp 공간에만 정책 적용 및 모니터링 가능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이유는 운영 및 보안 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임시 파일이 짧은 생명 주기를 가지므로, /tmp를 tmpfs로 마운트해 빠른 입출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장기 임시 저장이 필요한 경우를 위해 /var/tmp가 별도로 존재하며, 레드햇 8부터는 이 둘의 역할 분담을 유지하면서 보안 정책과 정리 정책을 각각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요약: 운영 편의성 + 성능
리눅스 tmp 디렉토리 콘텐츠: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Similar Posts

  • 리눅스 데몬이란? 독립형(Standalone) 방식과 슈퍼데몬 방식(xinetd)

    리눅스 데몬(Daemon)이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뜻 합니다. 뒤에 ‘d’로 끝나며 보통 프로세스로 실행됩니다. 목차✅ /tmp와 /var/tmp 차이🔲 /tmp🔲 /var/tmp✅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 리눅스에서 데몬이 운영되는 방식은 독립형이란 뜻을 가진 Standalone 방식으로 단독으로 실행되는 데몬과 슈퍼 데몬 방식 xinetd 두…

  • Rsync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Rsync 명령어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원격에서 로컬, 로컬에서 로컬로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rsync에는 두 가지 접속 방법이 있는데 SSH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과 rsync 데몬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목차✅ /tmp와 /var/tmp 차이🔲 /tmp🔲 /var/tmp✅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 ✅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 SSH 사용 SSH를 통한 접속(:…

  • 리눅스 wget 명령어

    wget 명령어는 웹의 다운로드 링크를 리눅스 커멘드라인에서 실행해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목차✅ /tmp와 /var/tmp 차이🔲 /tmp🔲 /var/tmp✅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wget 설치하기 레드헷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인 yum으로 wget 설치를 진행합니다. 기본 다운로드 명령입니다. wget 명령어 옵션 다운로드 중 중단…

  • [Linux] usermod 명령어

    usermod 명령어는 user modification(사용자 수정)의 약자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UID (사용자 ID), 홈 디렉토리, 로그인 셸, 그룹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tmp와 /var/tmp 차이🔲 /tmp🔲 /var/tmp✅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 usermod 명령어 기본 옵션 ✅ 주요 옵션 ✅ 사용 예시…

  • 리눅스 CPU/RAM/디스크 및 OS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에서 사용 중인 서버의 정보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리눅스 CPU/RAM/디스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명령어를 이용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tmp와 /var/tmp 차이🔲 /tmp🔲 /var/tmp✅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 리눅스 CPU 정보 확인 명령어 1. cat /proc/cpuinfo 2. CPU 전체 개수와 물리 CPU 갯수 확인하기 3. 하이퍼 스레딩(Hyper Threading)…

  • echo 명령어: From 확장과 인용

    echo 명령어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echo 명령어는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쉘 스크립트 작성 시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표준 출력 상에 해당 텍스트 인자를 표시한다. 목차✅ /tmp와 /var/tmp 차이🔲 /tmp🔲 /var/tmp✅ 리눅스 tmp 디렉토리를 하나로 사용하는 경우1. echo 명령어 옵션 2. echo $ $뒤에 오는 문자열이 변수로 선언되어 있는 경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