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ree 옵션 디렉토리
# 미설치 시치
dnf -y install tree

✅ tree 옵션

옵션

설명

-a

숨김 파일까지 모두 표시

-d

디렉토리만 표시 (파일 제외)

-L n

n단계까지만 출력

-f

전체 경로를 포함하여 출력

✅ 사용 예시

🔲 전체 경로 포함하여 출력: -f

기본 대상 폴더의 기본 파일만 출력이 되지만 -f 옵션 사용 시 전체 경로가 출력됩니다.

 home]# tree testuser/
testuser/
├── a
├── aa
├── aaa
├── a_sim -> a
├── b
├── bb
└── bbb

7 directories, 0 files
 home]# tree testuser/ -f
testuser
├── testuser/a
├── testuser/aa
├── testuser/aaa
├── testuser/a_sim -> a
├── testuser/b
├── testuser/bb
└── testuser/bbb

7 directories, 0 files

🔲 파일 제외한 디렉토리 출력: -d

-a 옵션으로 숨김 파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tree 명령어 -a 옵션 숨김파일 확인

디렉토리로 출력을 제한하면, 결국 디렉토리만 표시됩니다.

tree 명령어 -ad 옵션 숨김파일 및 디렉토리만 표시

🔲 원하는 단계까지 출력

tree 명령어 -L 옵션_원하는 단계까지 출력

Similar Posts

  • 리눅스 host 명령어 | DNS 조회 명령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차✅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ree 옵션✅ 사용 예시🔲 전체 경로 포함하여 출력: -f🔲 파일…

  • certbot 명령어(인증서 관리 및 삭제)

    Alma Linux에서 이 사이트에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치를 해 진행하는 중 인증서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이유가 생겨 삭제와 함께 나머지 Certbo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체크하게 되었습니다. certbot 명령어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목차✅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ree 옵션✅ 사용 예시🔲 전체 경로 포함하여 출력: -f🔲 파일 제외한 디렉토리 출력: -d🔲…

  •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 yum 명령어 | 사용법 | 옵션 | yum-utils | 패키지 관리와 저장소 관리🔝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YUM 명령어는 패키지 관리(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yum은 기존 패키지 시스템인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구이며, RPM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ree 옵션✅ 사용 예시🔲 전체 경로 포함하여 출력: -f🔲 파일 제외한 디렉토리 출력: -d🔲…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ree 옵션✅ 사용 예시🔲 전체 경로 포함하여 출력: -f🔲 파일 제외한 디렉토리 출력: -d🔲 원하는 단계까지 출력✅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 [Linux] usermod 명령어

    usermod 명령어는 user modification(사용자 수정)의 약자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UID (사용자 ID), 홈 디렉토리, 로그인 셸, 그룹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ree 옵션✅ 사용 예시🔲 전체 경로 포함하여 출력: -f🔲 파일 제외한 디렉토리 출력: -d🔲 원하는 단계까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