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uptime 명령어(서버 가동 시간&1,5,15 평균 로드 확인)

리눅스 uptime 명령어는 시스템의 평균 부하율과 서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서버의 부팅 시간을 알고 싶을 때, 최근 15분 동안의 평균 로드를 통해 부하율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 uptime 명령어
  • 시스템의 1, 5, 15 분의 부하율과 서버가 가동한 시간을 알 수 있는 명령어
  • 분류: 프로세스 명령어
  • /usr/bin/uptime

✅ 리눅스 uptime 명령어 기본 사용법과 설명

uptime -[옵션]
uptime
15:15:57 up 1 day,  1:08,  1 user,  load average: 0.00, 0.02, 0.00

총 4개의 컬럼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uptime 컬럼
  • 현재 시간
  • 부팅 후 가동 시간
  • 시스템에 로그인 한 사용자 수
  • 1, 5, 15 분 동안의 시스템 평균 로드(load average)를 통한 CPU의 부하율 확인
  • 평균 로드(load average) 값 의미
  • load average는 CPU 코어 수에 따라 숫자가 달라지며, 시스템 운영 시 권장 값인 1코어는 1, 2코어는 2, 4코어는 4와 같이 값이 표시됩니다.
  • 시스템 운영 시 권장하는 평균(average)은 70%인 0.7 이하이며, 이상일 경우 시스템을 점검 해 봐야 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uptime 옵션

uptime -p
up 1 day, 1 hour, 2 minutes

uptime -s
2089-02-09 14:07:16

uptime -V
uptime from procps-ng 3.3.17
리눅스 TOP 명령어: 명령줄 인터페이스(CLI-Command-Line Interface)

Similar Posts

  •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 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uptime 명령어 기본 사용법과 설명✅ 리눅스 uptime 옵션✅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빠지게 되면 Hard Link를 생성하게…

  • [Linux] 리눅스 vi 명령어 정리 | Vim 3가지 모드 및 비주얼 모드

    리눅스 터미널에서 ‘.txt’, ‘.conf’ 등의 ASCII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vi 편집기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vi 편집기는 명령모드 입력모드와 저장 및 종료 후 치환하는 리눅스 vi 명령어는 익숙해지면 매우 빠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uptime 명령어 기본 사용법과 설명✅ 리눅스 uptime 옵션 Ⅰ. vi vim 명령어 설명 및 3가지…

  • Apache 시작, 중지, 재시작 명령어 | 서비스 상태 확인

    리눅스에서 Apache를 설치하고 레드헷 계열과 우분투에서의 시작, 중지, 재시작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Apache 시작, 중지, 재시작 등의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리눅스 uptime 명령어 기본 사용법과 설명✅ 리눅스 uptime 옵션✅ Apache 시작 및 중지, 재시작: Red Hat 계열 ✅ Apache 시작 및 중지, 재시작: Debian 계열 (Ubuntu, Debian 등) 우분투 시작, 재시작…

  • echo 명령어: From 확장과 인용

    echo 명령어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echo 명령어는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쉘 스크립트 작성 시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표준 출력 상에 해당 텍스트 인자를 표시한다. 목차✅ 리눅스 uptime 명령어 기본 사용법과 설명✅ 리눅스 uptime 옵션1. echo 명령어 옵션 2. echo $ $뒤에 오는 문자열이 변수로 선언되어 있는 경우 해당 변수의…

  • 리눅스 file 명령어

    리눅스 file 명령어는 그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으로 파일의 파일 타입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은 텍스트 파일(ASCII 텍스트), 바이너리 파일, 그림 파일 및 동영상 등입니다. 단순하게 파일의 확장자만 확인하는 것이 아닌 파일의 매직파일(usr/local/magic)의 내용을 참조하여 파일 종류를 표시해 줍니다. magic 파일은 특정 파일의 형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