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10:30:52up15min,3users,loadaverage:0.01,0.02,0.00USERTTYLOGIN@IDLEJCPUPCPUWHATrockypts/010:154:170.01s0.03ssshd:rocky [priv] rockypts/110:273:160.00s0.03ssshd:rocky [priv] rockypts/210:280.00s0.00s0.02ssshd:rocky [priv]# load average는 5, 10, 15분 동안의 프로세스 평균 사용량을 의미
w 명령어 확인 정보
설명
USER
로그인 한 사용자 명
TTY
터미널 정보한 정보(ex sshd, ftp 등)
LOGIN@
로그인 시간
IDLE
최종 명령 수행 후 대기 시간
JCPU
job cpu를 뜻하며,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한 CPU 총 시간을 의미
PCPU
Process CPU 시간을 뜻하며, WHAT 필드에 나타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CPU의 총 시간을 의미
리눅스 which와 whereis 명령어 명령어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명령어는 find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을 찾을 수 있지만 find 명령어는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locate 명령어는 파일명을 빠르게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기본 명령어 3가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리눅스 which 명령어 ‘어느’,…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host 명령어 사용법 기본 사용 옵션은…
리눅스 file 명령어는 그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으로 파일의 파일 타입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리눅스 fil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파일의 타입(종류)를 확인하는 file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입니다. file 명령어 사용 예시 file 명령어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대부분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killall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psmisc 패키지를 설치해서…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rsync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여러가지 옵션을 이용해 빠른 증분 파일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전체 데이터를 복사하는 대신 변경사항만 동기화해서 빠르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리눅스 rsync 설치 및 리모트 설정하기 1. rsync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2. 패키지가 없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