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 재무상태표란? – 자산과 부채,자본

재무상태표란? 기업의 자금 운영에 대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재무에 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를 이야기합니다.
‘재무상태표’ 는 재무제표 4가지 항목 중 하나입니다. 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제정하는 회계 기준이며, IFRS에 따라 예전의 ‘대차대조표’가 ‘재무상태표’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재무제표의 4가지 항목은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입니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가 어떤지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회사의 기초 체력이 좋아야 회사의 악재나 업종 별 악재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겠죠.
아래 연결재무제표의 연결재무상태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결 재무상태표에서 첫 번째 자산에 대한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두 번째 부채에 대한 내용입니다.

재무상태표 - 재무 제표 2

‘재무상태표’ 마지막 세 번째 자본에 대한 사항입니다.

재무 제표 3
재무상태표란 - 자산,자본,부채


자산과 부채, 자본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서 볼 수 있습니다.

자산은 자본 + 부채라는 공식이 성립됩니다.

자산 = 자본 + 부채

기업의 재무상태표에서 자산과 자본 부채 중에 3가지 중에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항목으로 자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기에 자본, 자산, 부채 순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1. 자본 [순자산]

코스닥에 상장한 A회사가 있습니다. 100억 원의 공장(토지와, 건물)을 가진 회사가 있습니다. 그럼 이 A회사의 재산은 얼마로 봐야 맞을까요? ‘재무상태표에’ 에서 봐야 하는 점은 A회사가 소유한 공장은 100억 원이지만 이 중에서 70억 원의 부채를 뺀 30억 원이 이 회사의 순수한 재산이 되는 것입니다.

자본

자산의 규모가 늘어났다고 해서(채권 발행,대출 등) 자산의 증가율 만으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capital2

자산은 두배가 되었지만 부채는 두배 이상이 되었으며, 자본은 그대로입니다. 우리가 투자하는 주식은 순자산(자본)에 대한 가치입니다.

2. 자산 [유동자산,비유동자산]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3. 부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부채

부채 역시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할 부채를 유동부채, 1년 이후에 갚아도 되는 부채를 비유동부채라고 부릅니다.
재무 상태가 좋지 않은 기업은 유상증자 또는 전환사채(CB)발행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그만큼 주가에는 악재로 작용하게 되겠죠.

현재 비율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것을 유동비율이라고 하며, 유동성이 최소 100% 이상이 안될 경우 유동성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같은 외부 환경에 취약하게 되어 회사가 파산이나 부도와 같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이 너무 높을 경우는 현금성 자산을 쌓아두고 재 투자 하지를 못한다고 봐야 하며, 해당 산업(기업)의 성장을 경우에 따라 어렵다고 볼 수도 있겠죠.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더블유씨피 개요: 2차 전지 분리막 제조 기업

    더블유씨피는 EV용 이차전지 습식 분리막 및 세라믹코팅분리막(Ceramic Coated Separator, 이하 “CCS”)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분리막은 두 전극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전기화학 반응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온 전달의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분리막 소재로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등이 있습니다. PE나 PP와 같은 분리막 소재는 공정 과정을 통해 구분되며 건식…

  • 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 1.5%

    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이 1.5%를 기록하면서 3분기 연속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웃돌고 있습니다. 이는 거의 2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며, 한국을 추월할 가능성도 전망하고 있습니다. 목차■ 재무상태표란? – 자산과 부채,자본1. 자본 [순자산]2. 자산 [유동자산,비유동자산]3. 부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2023년 2분기 일본 경제성장률: 잃어버린 30년 탈출의 신호? 일본 내각부가 2023년 2분기 일본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 1분기보다 1.5%…

  • LG에너지솔루션 기업 분석: 2차 전지(EV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영어: LG Energy Solution, LTD.)은 2020년 12월 LG화학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입니다. ‘LG엔솔’로 부르기도 합니다. LG화학 사업보고서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차지하고 있는 매입 비중을 참고하여 2차전지 산업이 기존 화학 산업에 비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재무상태표란? – 자산과 부채,자본1. 자본 [순자산]2. 자산 [유동자산,비유동자산]3. 부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LG 에너지솔루션 2020년…

  •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목차■ 재무상태표란? – 자산과 부채,자본1. 자본 [순자산]2. 자산 [유동자산,비유동자산]3. 부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3가지 항목에 대해 전자 공시 사이트 DART에서 알아 보겠습니다. □증자 (회사의 자본 증가) 증자란 주식회사가 회사의 주식 총 수 를 늘려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주식의 수를 줄이는 경우…

  • 2023년 8월 17일 헝다 그룹 파산 신청 [ⅱ]

    중국 2위 부동산 기업인 헝다 그룹이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 보호법 15조(챕터15)에 따라 파산 보호를 신청하게 되었다. 헝다 그룹 파산 신청의 원인은 코로나 이후 중국이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이유가 가장 크다. 이미 헝다 그룹은 2021년 대규모 채권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파산 위기 이력이 있었다. 당시 헝다 그룹은 360조 원 가량의 부채로 파산 위기에…

  • 코스모화학 기업분석: 2차 전지 원료 황산코발트 제조 기업

    코스모화학은 2차 전지 양극소재 주요 원료인 황산코발트를 제조 및 판매하는 국내 유일의 회사입니다. 또한 대표적인 백색 안료인 이산화티타늄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이산화티타늄은 대표적인 백색안료로서 플라스틱, 도료, 고무, 제지 등 실생활에 널리 적용되는 무기화합물이며 안료용뿐만아니라 화학섬유의 광택제거 및 내마모성향상제, 전자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자재료, 유리, 용접봉 피복제 등 그 쓰임새가 광범위하여 우리 실행활에서 항상 접하는 제품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