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엑셀 테마 설정 방법(PC버전)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윈도우 PC에서 카카오톡 엑셀 테마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무실 PC로 엑셀 테마를 쓰시는 직장인 분들도 많이 계실텐데 완벽한 위장은 아니더라도 일 하는 것처럼 보이는 설정 방법입니다.

PC에서 카카오톡 엑셀 테마 설정

먼저 좌측 하단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클릭해 주세요.

카카오톡-엑셀모드-테마-설정-방법-PC1

▼ ⓐ 회면 탭 클릭 해 줍니다.

카카오톡-엑셀모드-테마-설정-방법-PC2
카카오톡 엑셀테마 설정 방법
이 설정 창에서 카카오톡 화면의 대부분을 설정 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엑셀 스타일을 체크 해 주세요. 하단에 저장 버튼을 누르고 나가면 엑셀 스타일이 적용됩니다.

하단의 링크 버튼[카카오톡 다크모드 설정 방법]은 윈도우와 모바일에서의 설정 방법입니다.

Similar Posts

  • 워드프레스 테마 확인(&플러그인) 감지 사이트

    사이트가 xe 또는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xe보다는 더 많은 확장이 가능한 플러그인과 많은 종류의 테마, 그리고 더 안정적인 사이트 및 서버 관리가 가능한 워드프레스가 더 관리하기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워드프레스 테마 확인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왜냐하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다른 워드프레스로 운영되는 홈페이지는 어떤 플러그인과 어떤 테마를 사용하는지 궁금할 때가…

  •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란 무엇인가?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 Native AD)는 해당 웹사이트에 맞춰 고유한 방식으로 기획 및 제작된 광고를 말 합니다. 기존의 광고는 이용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 네이티브 광고의 정의 및 특징 배너 광고 또는 디스플레이 광고와 달리 Native AD는 실제로 광고처럼 보이지 않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와 페이지의 상호 작용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웹사이트…

  • [SEO] 링크 스팸과 구글 웹 검색 스팸 점수(Spam Score)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한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성급한 생각에 정상적인 방법이 아닌 블랙햇 SEO를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블랙햇 SEO의 일종인 링크 스팸과 구글 검색 노출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구글 검색 스팸 점수(Spam Score)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링크 스팸이란? 구글 웹 검색의 스팸 정책에서 ‘링크 스팸’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Link…

  • [SEO] 테크니컬 SEO 정의 | 기본적인 방법 7가지

    한국은 오랜 기간 네이버와 다음이 검색 엔진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오랜 기간 높은 네이버의 점유율로 인해 검색엔진최적화(SEO)에 대한 노력과 좋은 콘텐츠를 발행하는 것 보단 ‘바이럴 마케팅’에 초점을 둔 회사와 블로거들이 많았습니다. 점차 테크니컬 SEO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기업과 개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블로그 바이럴 마케팅 바이럴 마케팅이란 소문 or 여론을 조장해서 상품에…

  • 정보형 블로그 콘텐츠 패턴 4가지 정리

    정보 중심의 정보형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려고 할 때 다소 제목이나 내용이 식상하거나 막상 글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H1 제목부터 H2 이하 소제목이 어색하게 바뀌는 등, 막상 제목이나 본문 구성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생각한 것이 좋은 내용이고 훌륭한 아이디어와 독창적인 내용이 맞음에도 이 내용을 글 안에 녹여 내는 건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정보…

  • [Chrome App-PC] 세이프 브라우징 설정 방법

    Google의 데스크탑 및 모바일 앱인 Chrome 세이프 브라우징은 유저가 위험한 웹사이트를 탐색하는 중 위험한 파일을 다운로드 하려고 할 때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구글의 서비스입니다. 랜섬웨어, 스파이웨어, 바이러스, 웜 및 트로이 목마를 포함한 맬웨어 등의 감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서비스인 것이죠.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던 중 빨간 화면의 안내 창을 본 적이 있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