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에 EBS 볼륨 추가 방법

AWS의 EC2에 추가 스토리지가 필요한 경우 EBS 볼륨 추가를 진행하게 됩니다. EBSElastic Block Store는 AWS에서 제공되는 용량에 스토리지 용량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고 영구적인 데이터 또는 추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EBS는 원하는 크기 및 성능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할 때 삭제가 가능합니다.

✅ EBS 볼륨 추가 방법

1. EC2 > EBS > 볼륨 생성

EC2에 로그인 후 좌측 하단 Elastic Block Store의 [볼륨]을 클릭 한 후에 우측의 [볼륨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EBS 볼륨 추가-EC2에서 첫 번째 경로

2. EBS 설정 후 생성

볼륨의 유형, 크기 IOPS 및 처리량 등의 설정을 진행 한 후에 우측 하단의 [볼륨 생성]을 클릭하면 EBS 볼륨 추가가 완료 됩니다.

EBS 볼륨 추가-볼륨 생성

3. 생성된 EBS 확인

생성된 EBS를 클릭합니다.

EBS 볼륨 추가-생성된 볼륨 확인

4. EBS 볼륨 연결하기

EBS 볼륨을 연결을 클릭합니다.

EBS 볼륨 연결하기
  • 인스턴스 선택 및 디바이스 이름을 설정 한 후에 볼륨 연결을 클릭해서 볼륨 연결을 마무리 합니다.

✅ EBS 볼륨 연결 상태 확인하기

lsblk 명령어로 연결된 추가 볼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볼륨 연결 전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S
xvda    202:0    0   10G  0 disk 
├─xvda1 202:1    0   99M  0 part /boot/efi
├─xvda2 202:2    0 1000M  0 part /boot
├─xvda3 202:3    0    4M  0 part 
├─xvda4 202:4    0    1M  0 part 
└─xvda5 202:5    0  8.9G  0 part /
# 볼륨 연결 후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S
xvda    202:0    0   10G  0 disk 
├─xvda1 202:1    0   99M  0 part /boot/efi
├─xvda2 202:2    0 1000M  0 part /boot
├─xvda3 202:3    0    4M  0 part 
├─xvda4 202:4    0    1M  0 part 
└─xvda5 202:5    0  8.9G  0 part /
xvdf    202:80   0    3G  0 disk 

Similar Posts

  • Ubuntu Server Rsync 작업_SSH 방식(LightSail)

    새로 만든 Ubuntu 서버에서 Rsync를 활용해 현재 운영 중인 Alma Linux 서버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기존 LightSail의 스냅샷만 사용하기에는 웹 사이트 데이터의 실시간 복구가 힘들고, 실시간 복구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되기에 Rsync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동일한 Alma Linux보다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Ubuntu를 써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판단되어 Rsync 작업 서버는…

  • VirtualBox 호스트 키 설정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 머신을 실행하는 중 [현재 호스트 키는 Right control입니다.] 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rtualBox 호스트 키 설정을 다시 해야 합니다. 이유는 가상 머신 설치 중 호스트 키 설정이 [오른쪽 Ctrl]이라고 되어 있는 경우 한국은 컨트롤 키가 기본 한문으로 잡혀 있어 변경을 해 주는 좋습니다. 가상 머신 안에서 마우스를 클릭했거나 호스트 키를…

  • VirtualBox 록키 리눅스 설치 방법[Rocky Linux Ver 9.3]

    Oracle VM VirtualBox 록키 리눅스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VirtualBox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설치를 진행해야 합니다. 목차✅ EBS 볼륨 추가 방법1. EC2 > EBS > 볼륨 생성2. EBS 설정 후 생성3. 생성된 EBS 확인4. EBS 볼륨 연결하기✅ EBS 볼륨 연결 상태 확인하기 ✅ 록키 리눅스 ISO 다운로드 받기 x86_64 DVD 버전으로 ISO 이미지를…

  • AWS 패스키 생성

    아마존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강력한 보안을 위해 다중 인증(MFA) 설정을 필수 사항으로 강제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TOTP 토큰, 인증 앱, 패스키 또는 보안 키 설정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중 AWS 패스키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유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인증 방식이기 때문에 AWS 패스키이기 때문입니다. OTP 입력보다 간편하고 빠르며,…

  • OCI: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오라클 인스턴스 서버 생성이 되었다면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을 진행 해 보겠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의 고정 아이피는 미리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목차✅ EBS 볼륨 추가 방법1. EC2 > EBS > 볼륨 생성2. EBS 설정 후 생성3. 생성된 EBS 확인4. EBS 볼륨 연결하기✅ EBS 볼륨 연결 상태 확인하기 ✅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 AWS 리전과 가용 영역&엣지 로케이션

    AWS 리전(Region)이란 AWS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AWS의 서비스가 위치하고 있는 물리적인(IDC) 장소입니다. 리전 안에 여러 개의 AWS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이 존재하는 방식입니다. 목차✅ EBS 볼륨 추가 방법1. EC2 > EBS > 볼륨 생성2. EBS 설정 후 생성3. 생성된 EBS 확인4. EBS 볼륨 연결하기✅ EBS 볼륨 연결 상태 확인하기✅ AWS 리전(Region) 리전(Region)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