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CentOS 7 yum repo 변경(EOS)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CentOS 7의 공식 EOS 날짜는 2024년 6월 30일로 종료되면서 기본 저장소가 비활성화되었기 때문에, yum 명령어 실행 시 저장소를 찾지 못해 오류가 발생합니다. CentOS 7 yum repo 변경을 한 후에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CentOS 7에서 EOS(End of Support)에 따라 CentOS 7을 처음 설치 시 설정 된 yum 명령어 실행 시

One of the configured repositories failed (Unknown),
and yum doesn’t have enough cached data to continue. At this point the only
safe thing yum can do is fail. There are a few ways to work “fix” this:

과 같은 오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entOS 7 yum repo 변경 진행

yum 저장소에서 백업 폴더 생성 후 기존 *.repo 파일들을 백업 폴더로 이동 시킵니다.

 ~]# cd  /etc/yum.repos.d/
 yum.repos.d]# ll
합계 40
-rw-r--r--. 1 root root 1664 10월 23  2020 CentOS-Base.repo
-rw-r--r--. 1 root root 1309 10월 23  2020 CentOS-CR.repo
-rw-r--r--. 1 root root  649 10월 23  2020 CentOS-Debuginfo.repo
-rw-r--r--. 1 root root  630 10월 23  2020 CentOS-Media.repo
-rw-r--r--. 1 root root 1331 10월 23  2020 CentOS-Sources.repo
-rw-r--r--. 1 root root 8515 10월 23  2020 CentOS-Vault.repo
-rw-r--r--. 1 root root  314 10월 23  2020 CentOS-fasttrack.repo
-rw-r--r--. 1 root root  616 10월 23  2020 CentOS-x86_64-kernel.repo
 yum.repos.d]# mkdir Backup
 yum.repos.d]# mv CentOS-* Backup/
 yum.repos.d]# ll
합계 0
drwxr-xr-x. 2 root root 220  5월 18 15:20 Backup
 yum.repos.d]# vi CentOS-Base.repo

[base]
name=CentOS-$releasever - Base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os&infra=$infra
baseurl=http://vault.centos.org/7.9.2009/os/$basearch/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updates]
name=CentOS-$releasever - Updates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updates&infra=$infra
baseurl=http://vault.centos.org/7.9.2009/updates/$basearch/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extras]
name=CentOS-$releasever - Extras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extras&infra=$infra
baseurl=http://vault.centos.org/7.9.2009/extras/$basearch/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centosplus]
name=CentOS-$releasever - Plus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centosplus&infra=$infra
baseurl=http://vault.centos.org/7.9.2009/centosplus/$basearch/
gpgcheck=1
enabled=0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base]부터 [centosplus]까지 섹션에서 mirrorlist를 주석 처리하고, baseurl을 vault.centos.org로 변경합니다.

CentOS Vault는 CentOS의 특정 버전의 지원이 종료된 경우 사용자들이 종료된 버전의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과거 패키지들을 지원하는 저장소입니다. 현재와 같은 CentOS 7 yum repo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저장소 설정을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잇습니다.

✅ yum 명령어 실행

CentOS 7 yum repo 변경 작업 완료 후 yum clean all 명령으로 yum cache를 초기화 한 후에

yum 명령어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yum update 
 yum.repos.d]# yum update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
base                                                                         | 3.6 kB  00:00:00
extras                                                                       | 2.9 kB  00:00:00
updates                                                                      | 2.9 kB  00:00:00
(1/4): base/x86_64/group_gz                                                  | 153 kB  00:00:01
(2/4): extras/x86_64/primary_db                                              | 253 kB  00:00:01
리눅스Linux(회색 배경의 나무 큐브)-CentOS 7 yum repo 변경에 대한 ..

Similar Posts

  •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점 9가지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점이 한번 씩 생기게 됩니다. 간단하게 차이점을 요약하자면, 리눅스는 유닉스의 오픈 소스 구현체로,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 체제를 제공하면서도 커뮤니티 기반의 개방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안정적이고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운영 체제이지만, 유닉스는 상용 운영 체제의 역사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고, 리눅스는 개방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CentOS 7 yum repo 변경 진행✅ yum 명령어 실행✅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 HTTP 상태 코드 표 [100~500] 정리

    HTTP 상태 코드는 운영 중인 서버의 오류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HTTP는 HTML,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동영상, JavaScript 등의 다양한 파일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목차✅ CentOS…

  • 스왑 메모리(Swap Memory) 설정: 파티션&파일 2가지 방식 | swapon, mkswap 명령어

    리눅스 스왑 메모리(Swap Memory)는 실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물리 메모리인 RAM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지만 물리 메모리가 가득 찬 경우를 대비해 디스크 공간에서 할당 된 스왑 메모리를 생성해서 관리할 수 있어 한정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CentOS 7 yum repo 변경 진행✅ yum 명령어 실행 ✅ Swap 파일 시스템…

  • [Linux] 리눅스 vi 명령어 정리 | Vim 3가지 모드 및 비주얼 모드

    리눅스 터미널에서 ‘.txt’, ‘.conf’ 등의 ASCII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vi 편집기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vi 편집기는 명령모드 입력모드와 저장 및 종료 후 치환하는 리눅스 vi 명령어는 익숙해지면 매우 빠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CentOS 7 yum repo 변경 진행✅ yum 명령어 실행 Ⅰ. vi vim 명령어 설명 및 3가지…

  • 리눅스 chgrp 명령어

    리눅스 chgrp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며, Change Group의 약자입니다. 목차✅ CentOS 7 yum repo 변경 진행✅ yum 명령어 실행✅ 리눅스 chgrp 명령어 기본 사용법 chgrp 명령어에서 옵션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chgrp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R 하위 디렉토리에 적용. ✅ chgrp 명령어 사용 예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