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하는 PC 및 모바일 내 브라우저 해상도 크기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모니터 별 다양한 디바이스 크기가 있으며 우선 대표적인 3가지 디바이스 크기입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이 페이지에 접속하면 목차 1.에서 접속한 디바이스(PC,테블릿,스마트폰 등) 해상도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내 브라우저 해상도 크기 확인 하기
내가 사용하는 브라우저 화면 크기가 몇 인치인지 아래 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로x세로 비율이며, 디바이스의 외부 및 내부 크기 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20 x 1080: 이는 Full HD 해상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스크톱 모니터의 해상도입니다.
ⓑ1366 x 768: 이는 일반적인 노트북 모니터의 해상도로, 13인치 노트북이나 14인치 노트북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414 x 896: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iPhone XR, iPhone 11, iPhone 11 Pro, iPhone 12 mini 등에서 사용되는 해상도로, 모바일 웹 사이트나 앱을 개발할 때 많이 고려됩니다.
※ 인치란?
검색엔진최적화를 공부한다면 구글 랭크 브레인(RankBrain) 알고리즘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랭크브레인은 기계 학습(데이터 입력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기계의 능력)을 활용하여 검색 엔진 쿼리에 가장 관련성 높은 결과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전에는 Google이 기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특정 검색어에 대한 결과를 결정했지만, RankBrain 이후에는 검색자의 위치, 개인화 요소, 검색어의 단어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검색자의 실제…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SEO에 어떤 방식이 유리한지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Subdomain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인터넷에서 특정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www.domain.com에서 shop.domain.com이나 blog.domain.com과 같이 서브도메인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확인한 적이 있을 겁니다. shop이나 blog와 같은 Subdomain 외에 www.domain.com/shop과 www.domain.com/blog와 같이 서브폴더(하위 디렉토리 or 하위 폴더)로 주제를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서브도메인 VS 서브폴더 두 가지 설정을…
‘Windows10 hosts 파일 수정’은 보통 서버 이전이나 계정 이전 작업 후 DNS 레코드를 변경하기 이전에 이전 된 서버로 작업이 잘 이루어졌는지 미리 확인할 필요가 생긴다.일일이 DNS 서버 A레코드를 수정하여 확인하는 방법은 너무 번거롭기 때문에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테스트 하는 게 좋은 방법 중 하나 이다.호스트는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 없이 호스트 파일에…
‘구글 알리미‘ or ‘구글 알림‘으로 부르는 구글의 알리미는 관심 분야의 키워드를 설정해서 관련 콘텐츠를 메일로 전달 받는 구글의 무료 서비스입니다. 뉴스 기자, 에디터, 마케터, 개인 블로거 및 특정 취미에 관심 있는 개인 사용자 등을 아우르는 특정 분야에서 지속적인 정보를 얻고자 할 때 구글 알리미 설정을 통해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목차1. 내…
검색 엔진 최적화를 통해 구글 첫 페이지 상위 노출을 목적이라면 수 많은 요소가 있지만 키워드 리서치는 필수로 진행해야 할 사항입니다. 무료 키워드 툴 중 하나인 구글 키워드 플래너를 이용해서 키워드 조사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순차적으로 키워드 플래너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1. 내 브라우저 해상도 크기 확인 하기2. PC 모니터& 노트북…
정보 중심의 정보형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려고 할 때 다소 제목이나 내용이 식상하거나 막상 글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H1 제목부터 H2 이하 소제목이 어색하게 바뀌는 등, 막상 제목이나 본문 구성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생각한 것이 좋은 내용이고 훌륭한 아이디어와 독창적인 내용이 맞음에도 이 내용을 글 안에 녹여 내는 건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