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Safe Browsing]-웹사이트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 상태 확인 방법

Google 블랙리스트에 내 WordPress 사이트가 등록되어 있다면.. 등록 여부와 제거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알고 계신가요? 구글은 하루 10,000여 개의 사이트를 블랙리스트로 올리고 있습니다. [Google Safe Browsing]에 내 사이트가 표시된다면 블랙리스트에 등록 되었다는 것으로 웹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글 세이프 브라이징’ 보안팀에서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로 식별하고 등록되었다는 것이므로 조치가 필요합니다.

1. Google Safe Browsing 등록 이유

랜섬웨어, 스파이웨어, 바이러스, 웜 및 트로이 목마를 포함한 맬웨어에 감염된 웹 사이트가 구글의 블랙리스트에 등록됩니다.

2. 디코딩

방문하는 사이트에 멀웨어가 포함되어 있거나, 사기성 피싱 사이트, 유해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는 사이트, SSL 보안인증서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이트 등의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디코딩(경고)-From Google Safe Browsing

3.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 상태 확인 방법

세이프 브라우징은 웹에서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를 식별하고 사용자와 웹마스터에게 잠재적인 피해를 알리기 위해 Google 보안팀에서 구축한 서비스입니다.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 상태 확인

4. 웹사이트 보안의 주기적인 관리 및 강화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Google Safe Browsing)

세이프 브라우징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의 주기적인 바이러스 검사와 보안을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여러가지 측면에서 체크하고 강화해야 하는 것이죠. 아래의 5가지 항목은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백업 설정 및/또는 자동화
·웹사이트 보안 강화
·웹사이트 모니터링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을 통해 웹사이트 보호
·WordPress 사이트인 경우 지속적인 업데이트 (코어, 플러그인 및 테마)

5. 서치콘솔에서 상태 확인하기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의 디코딩 상태에 걸렸는데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되어 있는 사이트라면, 사이트의 문제를 해결 한 후에 서치콘솔에서 확인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감지된 문제는 처음부터 없었기에 ‘감지된 문제 없음’으로 뜨고 있습니다.

문제가 있었다면 웹사이트의 문제 해결 후 구글 서치 콘솔의 해당 경로에서 감지된 문제에 대한 재 확인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 문제 해결 후-서치콘솔 보안 문제에서 요청

Similar Posts

  •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충돌: 빠른해결방법

    워드프레스를 플러그인 충돌로 예상 될 경우 플러그인을 하나 씩 정지하면서 테스트를 해 봐야 합니다. 설치된 플러그인이 많을 경우 어떤 플러그인 충돌로 인한 오류인지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때 보다 편하게 테스트를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소개하겠습니다. ‘Health Check & Troubleshooting‘이라는 플러그인입니다. 이 플러그인의 소개 페이지에서 평가가 아주 좋지는 않지만 간혹 플러그인 충돌로 의심되는…

  • 클라우드플레어 CDN 설정(Pro 플랜)

    클라우드플레어 CDN을 예전에 사용했었는데 최근 다른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재 연결을 하게 되었습니]다. 캐시 플러그인은 현재 사이트와 동일한 조건으로 세팅했는데 무료 플랜은 속도가 현재 사이트에 근접하지 못하고 오히려 느린 결과를 보였습니다.(현재 사이트는 클라우드플레어 CDN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원래 사이트처럼 동일하게 세팅해서 속도를 높일까 고민하다가 Pro플랜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확실히 업데이트 후 현재 사이트보다 조금 느리지만…

  • SEO: 검색 의도(Search Intent) 및 4가지 분류

    구글을 포함한 검색 엔진에서 검색 의도(Search Intent)는 사용자 의도(User Intent)로도 불리며,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서 검색어를 입력할 때 갖는 주요 목표입니다. 일반적으로 4가지 유형이 포함됩니다. 목차1. Google Safe Browsing 등록 이유2. 디코딩3.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 상태 확인 방법4. 웹사이트 보안의 주기적인 관리 및 강화5. 서치콘솔에서 상태 확인하기 검색 의도의 4가지 분류 사용자 의도는 4가지로…

  •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란 무엇인가?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 Native AD)는 해당 웹사이트에 맞춰 고유한 방식으로 기획 및 제작된 광고를 말 합니다. 기존의 광고는 이용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목차1. Google Safe Browsing 등록 이유2. 디코딩3.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 상태 확인 방법4. 웹사이트 보안의 주기적인 관리 및 강화5. 서치콘솔에서 상태 확인하기 ✅ 네이티브 광고의 정의 및 특징 배너…

  • Namecheap Domains Vs Google Domains 포함 5개 도메인 등록 기관 비교

    워드프레스로 구축된 웹 사이트를 포함해서 사이트를 운영할 경우 도메인은 필수 요소입니다.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업체 Namecheap Domains과 Google Domains을 포함한 도메인 업체에 대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알고 있을 만한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Google Safe Browsing 등록 이유2. 디코딩3. 세이프 브라우징 사이트 상태 확인 방법4. 웹사이트 보안의 주기적인…

  • SEO를 위한 타이틀 태그: H1 태그와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

    타이틀 태그는 구글 등의 검색 엔진에서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 링크로 표시됩니다. 타이틀 태그(Tltle Tag)란 웹페이지 제목을 지정하며, HTML 요소입니다. 타이틀 태그 SEO(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해 웹페이지의 콘텐츠에 대해 정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필요로 합니다. SERP에 나오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확인된 것처럼 [검색엔진 최적화(SEO)란 무엇일까? 라는 글에서 제목 및 메타 디스크립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목 태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