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상태 코드 표 [100~500] 정리

HTTP 상태 코드는 운영 중인 서버의 오류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HTTP는 HTML,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동영상, JavaScript 등의 다양한 파일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는 5가지 HTTP 상태 코드가 있습니다.

✅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에서 상태 코드는 총 3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100~500 번까지 존재하며, 총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관리됩니다.

  • 5가지 상태 코드표
  •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
  • 클라이언트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
  • 2xx: Success(성공)
  • 클라이언트 요청이 서버에서 정상 처리됨.
  • 3XX: Redirection(리다이렉션)
  • 요청이 완료 되려면 추가 동작인 필요함. 보통 새로운 서버 URL로 다시 접속 시도의 의미가 많음.
  • 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
  • 페이지가 없거나 클라이언트 요청 메시지 내용이 잘못된 경우 등.
  • 5XX: Server Error(서버 에러)
  • 서버 내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로 서버 부하 및 오류, DB 오류 등의 다양한 오류를 보여줌.

✅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

1XX Informational

2XX Success

3XX Redirection

4XX Client Error

5XX Server Error

Similar Posts

  • 리눅스 chgrp 명령어

    리눅스 chgrp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며, Change Group의 약자입니다.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 리눅스 chgrp 명령어 기본 사용법 chgrp 명령어에서 옵션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chgrp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R 하위 디렉토리에 적용. ✅ chgrp 명령어 사용…

  • SSH 명령어: 옵션 및 사용 방법

    리눅스에서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며, 주로 원격 접속, 파일 전송, 그리고 터널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한 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 Linux: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및 스레드(3가지 용어 차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스레드의 차이는 운영체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요소입니다.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 프로그램(Program)이란? 사전적 의미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의 모음을 의미하며,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및 소프트웨어의 형태)입니다. ◼ 종류 ✅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돌아가고 있는 상태로서 실행…

  • 리눅스 tar 명령어: 파일 압축, 해제

    리눅스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해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웹사이트의 이전 등에 mysqldump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앞 글자를 따서 ta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 리눅스 tar 명령어의 이해 리눅스에서 tar로 압축 진행을…

  • 리눅스 데몬이란? 독립형(Standalone) 방식과 슈퍼데몬 방식(xinetd)

    리눅스 데몬(Daemon)이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뜻 합니다. 뒤에 ‘d’로 끝나며 보통 프로세스로 실행됩니다.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 리눅스 데몬의 2가지 방식 리눅스에서 데몬이 운영되는 방식은 독립형이란 뜻을 가진 Standalone 방식으로 단독으로 실행되는 데몬과 슈퍼 데몬 방식…

  • Linux snapd | Rocky Linux에서 snapd 설치

    스냅크래프트(Snapcraft) 또는 스냅(Snap)은 캐노니컬(Canonical)이 시작한 Ubuntu 스마트폰 운영 체제를 위한 소프트웨어 배포 및 패키지 도구로서 개발되었으며,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스냅(snap)이라고 불리는 패키지와 snapd를 사용하는 도구는 업스트림 소프트웨어 패키징을 간편화하여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Linux snapd은 앱 패키지로 데스크톱, 클라우드, IoT에서 사용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안전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