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nfrastructure

마리아디비(MariaDB) 로고

[DBMS] MySQL, MariaDB 데이터베이스 &유저 생성

MariaDB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삭제, 이름 변경 방법 그리고 유저 생성과 삭제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MariaDB 데이터베이스 생성과 삭제 먼저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조회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test01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삭제 데이터베이스 이름 변경 test01 데이터베이스를 test02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 test02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생성해야 합니다. 먼저 mysqldump로 test01 백업 파일을 생성합니다. test02로 복원합니다….

마리아디비(MariaDB) 로고

[DBMS] MariaDB cnf 파일 설정

DBMS인 MariaDB를 설치하면 MariaDB cnf 파일 설정을 하게 되는데 MySQL MariaDB 환경설정 파일 mycnf는 /etc/my.cnf 경로에 있으며, /etc/my.cnf.d/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설정이 기본으로 잡혀 있습니다. 11.3 버전 설치 시 화면입니다. ✅ MariaDB cnf 파일 구성: /etc/my.cnf.d 디렉토리 /etc/my.cnf.d 디렉토리 내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riaDB Client와 Server의 차이 일반적으로 서버는 중앙 데이터 저장소가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SS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란

SSMS는Microsoft SQL Server 내의 모든 구성 요소의 구성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SQL Server 2005에서 처음 출시되었으며, SQL 2000 이전 버전의 Enterprise Manager 의 후속 제품입니다. SSMS 개요 주요 핵심 기능은 사용자가 서버 내의 모든 개체를 찾아 보고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는 개체 탐색기입니다.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개체 탐색기 개체…

리눅스-SSH(Secure Shell)

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파일 기능 및 설정

SSH(Secure Shell)은 리눅스 원격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보안 셸이란 이름처럼 기존 텔넷에서 업그레이드 된 보안 접속 시스템입니다. 기본적인 보안 기능 외에도 추가로 SSH 설정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SH를 사용하면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무단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안전한 원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SH는 네트워크를 통해…

host 명령어 기본 사용 A레코드 확인-nslookup 명령어와 동일

리눅스 host 명령어 | DNS 조회 명령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 host 명령어 사용법 기본 사용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의 IP 주소를 찾을 경우…

1바이트 8비트 단위
|

비트 바이트 개념과 차이 | 8Bit=1Byte

컴퓨터를 사용할 때 비트Bit와 바이트Byte 두 가지 용어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하게 됩니다. 비트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의 최소 단위입니다. 바이트는 8개의 비트가 모여서 1바이트가 됩니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먼저 비트의 개념부터 이해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 비트 컴퓨터는 장비 간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 필요한 언어가 2진수인 바이너리(binary)이며, 컴퓨터에서 0과 1의 숫자로 이루어진 이진수로 데이터를…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PowerEdge 서버 초반 세팅 시 시스템 설치 메인 메뉴-DELL iDRAC과 바이오스 및 디바이스

[DELL] DELL iDRAC이란 무엇인가? | 접속 방법

개인용 컴퓨터와 서버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Dell에서 서비스하는 DELL iDRAC(Integrated Dell Remote Access Controller)은 안전한 로컬 및 원격 서버 관리를 위해 설계 되었습니다. Dell PowerEdge 서버 시리즈에서 사용되며, 관리자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PowerEdge 서버의 구축 및 업데이트, 모니터링을 할 수 있습니다. DRAC은 별도의 확장 카드 or 메인보드에 통합되어(Integrated) iDRAC 플랫폼을 뜻 하게…

HPE iLO - 출처 HPE

[HPE] HPE iLO란 무엇인가?

HPE iLO(Integrated Lights-Out)란? HPE iLO( Integrated Lights-Out)는 서버의 초기 구축과 관리 및 운영 현황과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HPE(Hewlett-Packard Enterprise)의 독자적인 내장형(Embedded) 서버 관리 기술로써 서버의 기본 NIC((Network Interface Card or Controller) 외 물리적 이더넷 포트를 이용해서 원격지에서 HPE 서버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LO 사용하는 이유: 기본적인 기능 iLO 라이선스를 이용한…

yum check-update(yum-패키지 관리 명령어).png

yum 명령어 | 사용법 | 옵션 | yum-utils | 패키지 관리와 저장소 관리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YUM 명령어는 패키지 관리(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yum은 기존 패키지 시스템인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구이며, RPM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YUM 명령어 yum 명령어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YUM 명령어 옵션 ✅ YUM 패키지 관리: 확인 및…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