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nfrastructure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E, RHCA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E, RHCA

레드햇 자격증(Red Hat Certification)은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고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레드햇 웹사이트에서 확인한 RHCSA, RHCE, RHCA 3개 자격증의 정보입니다. 자격증의 기본적인 취득 조건은 RHCSA 자격증 취득 후 RHCE, RHCA 순서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1.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SA(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는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의 확인 및 입증을 해 주는…

표준 SQL과 기업의 SQL 교집합

DB Query | SQL Statement(SQL 문) | 쿼리문 | 기본 문법

DB QuerySQL Statement(SQL 문)는 MySQL, MariaDB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에서 사용되며, MySQL Query, SQL 명령어, SQL 쿼리, Mysql 명령어 등 다양한 형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쿼리문은 명령의 역할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합니다. 업무를 보면서 당장에 인식하고 사용하지 않더라도 차츰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DB Query(SQL 문) 분류…

VMware 무료 버전 설치 첫 화면

VMware 다운로드 및 무료 버전 설치하기[윈도우]

윈도우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경우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을 이용하게 되며, 가상화를 위한 하이퍼바이저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하이퍼바이저인 VMware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VMware는 결제 후 유료 사용이 가능하지만 설치해서 사용하게 될 프로그램은 VMware Workstation Player 제품으로 개인 사용자에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VMware 무료 버전입니다. 1. VMware 다운로드 VMware 홈페이지에서…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파일 생성 /dev/zero를 읽어서 /swapfile을 1MB 블록을 2천 개…

swapon 명령어로 스왑 메모리 마운트하기

스왑 메모리(Swap Memory) 설정: 파티션&파일 2가지 방식 | swapon, mkswap 명령어

리눅스 스왑 메모리(Swap Memory)는 실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물리 메모리인 RAM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지만 물리 메모리가 가득 찬 경우를 대비해 디스크 공간에서 할당 된 스왑 메모리를 생성해서 관리할 수 있어 한정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wap 파일 시스템 Swap 파일 시스템은 리눅스의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이며,…

gdisk 명령어: 리눅스 파티션 설정(생성)

리눅스 파티션 설정 방법: gdisk 명령어

리눅스 파티션 설정(생성과 수정, 삭제)을 진행할 때 fdisk 명령어 또는 gdis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disk를 이용한 파티션 정보 편집에 대해 다뤄 보겠습니다. 마운트 하기 전 파티션의 설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저장 후 종료 전까지 파티션 작업 내용은 디스크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 gdisk 명령어로 리눅스 파티션 설정하기 gdisk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티션 관리에 사용되는 fdisk와…

커피와 노트북

리눅스 blkid 명령어 | UUID와 GUID 차이

리눅스 blkid 명령어는 블록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 유형 or 속성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주 목적은 리눅스 서버를 다시 시작하는 경우 /etc/fstab 파일에 자동 마운트 정보를 설정할 때 UUID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명령어만 입력했을 경우 전체 파티션의 UU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UUID와 GUID 차이 리눅스에서 파티션 작업에 대해…

리눅스 자동 마운트-etc/fstab 안내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 /etc/fstab으로 자동 마운트 설정

리눅스에 추가 HDD 또는 SSD 등의 스토리지를 추가 후 사용하려면 먼저 포맷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작업까지 진행해서 사용하기 전에 먼저 스토리지 포맷과 파일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는 과정부터 진행 해 보겠습니다. ✅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하기 1. 파일 시스템 포맷 AWS 클라우드에서 EBS 볼륨을 연결했으며 장치 파일을 확인 후 mkfs 명령어로 파일…

아마존 웹 서비스(AWS)

[AWS] EC2에 EBS 볼륨 추가 방법

AWS의 EC2에 추가 스토리지가 필요한 경우 EBS 볼륨 추가를 진행하게 됩니다. EBSElastic Block Store는 AWS에서 제공되는 용량에 스토리지 용량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고 영구적인 데이터 또는 추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EBS는 원하는 크기 및 성능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할 때 삭제가 가능합니다. ✅ EBS 볼륨 추가 방법 1. EC2…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 장치 파일(Device File) | /dev 디렉토리

리눅스는 모든 것을 파일로 관리합니다. 리눅스에는 장치 파일(Device File)은 여러 프로그램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파일입니다.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필수 요구 사항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이 마우스 장치 파일을 참조해서 마우스의 조작을 하게 하거나 프린트의 출력 등을 담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주로 스토리지를 마운트 하는데 많이 사용된다고 할…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