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마리아디비(MariaDB) 로고

MySQL과 MariaDB 차이점

MySQL과 MariaDB는 둘 다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행과 열이 있는 테이블(표)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수 많은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MySQL은 1994년에 개발을 시작해 2010년에 선마이크로시스템에 인수되었으며, 같은 해 선마이크로시스템이 오라클에 인수되면서 오라클의 서비스가 되었습니다. MySQL 현재 MySQL은 교육용과 개인에게는 무료(오픈 소스)로 제공되고 있지만 상업용으로 사용할 경우 라이선스를 구매해서…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 DBMS, SQL 이해

1.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DataBase:DB)는 데이터가 모여 있는 저장소입니다. 저장소는 구조화 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조직화 되어 있는 모음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IT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라인 등을 이용해 발송한 메시지, 버스/지하철의 교통카드, 네이버 쇼핑 및 네이버 주문 등을 통해 구매한 정보 등이 모두 DataBase에 기록됩니다. 2. DBMS DataBase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오라클19c 접속 오류 - ORA-12514 오류
|

ORA-12514: 오라클 19c DB 접속 오류

Oracle 19c를 윈도우에 설치 후 [ORA-12514: TNS:리스너가 현재 접속 기술자에 요청된 서비스를 알지 못함]이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 여러가지 오류 확인 중 [lisener.ora] 파일과 [tnsnames.ora] 2개의 파일 수정을 먼저 진행했습니다. 2개 파일은 각각 셋업 시 설정한 설치 경로가 다를 수 있으며, 저의 경우 C:\Oracle\WINDOWS.X64_193000_db_home\network\admin\ 폴더 안에서 파일 확인 후 작업을…

MySQL

MySQL: Grant All Privileges 쿼리문

MySQL에서 ‘Grant All Privileges’ 명령어는 유저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때 사용합니다. test라는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테이블(*)에 testuser가 외부에서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Grant All Privileges 호스트 예시 MySQL Grant All Privileges는 사용자 계정에 MySQL 작업을 규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관리 명령문입니다. 새로운 사용자가 CREATE USER 문을 사용하여 단일 또는 여러…

ps 명령어로 프로세스 확인

ps 명령어(프로세스 명령어)

ps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1. ps 명령어 옵션 ps에서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 사용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2. ps -ef 명령어 ps -ef 명령어는 모든 프로세스를 포멧 리스트로 출력해 줍니다. 2.1 출력 필드 ps 출력 필드 기본 설명입니다. 3. ps -aux 사용 3.1 ps -aux의 필드 4. 프로세스 상태…

부팅 시 아파치가 항상 로드된 상태(부팅 시 아파치 재시작이 자동)

Linux: 아파치 재시작/시작/중지 명령어[CentOS 7]

리눅스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CentOS에서 아파치 재시작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시작 및 시작, 중지 명령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파치는 HTTP 아파치 서버로 불리는 HTTP 웹서버입니다. 쉬운 웹서버 구축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중소기업 및 대형사이트에서 사용합니다. 1. apache 버전 확인 2. apache 상태 확인 3. apache 시작 4. 아파치 중지 4. 아파치…

통신 프로토콜

TCP/UDP 포트 번호 목록

포트(Port)는 일반적으로 항구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IT에서 의미하는 포트는 데이터가 나오거나 들어오는 출입구를 뜻 합니다. TCP/UDP 포트는 리눅스와 윈도우 서버에서 공통적으로 프로토콜이 정해져 있으며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에는 ‘전송제어프로토콜(TCP)’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이 있습니다. TC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 UD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 TCP/UDP 포트 목록 포트 목록은 강제로 지정된 것은 아니며, IANA의 권고안입니다.

yum update

리눅스 YUM 개념과 기본 명령어

YUM(Yellow dog Updater, Modified)은 레드햇(RPM)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설치 및 관리 도구입니다. 기존의 RPM 방식은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문제로 사용자가 필요한 도구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YUM은 이러한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 주며, 필요한 패키지와 관련된 의존 패키지를 함께 설치하여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의존성이 존재할 때 관련된 다른 패키지들을 자동으로…

록키 리눅스9(Rocky Linux9)

록키 리눅스(Rocky Linux)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 운영 체제 소스 코드를 사용한 리눅스로 RHEL과 100% 버그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OS가 커뮤니티에서 집중적으로 개발 중이며,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뛰어난 안정성으로 2023년 최신 버전은 9.0입니다. 릴리스의 수명 주기는 10년입니다. 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 CentOS는 2000년대 초반에 안정적인 포인트 릴리스 시스템을 갖춘 RHEL과의 바이너리 호환성을 제공하며…

HTTPS SSL 보안인증서 적용 미적용 차이

SSL 보안인증서 설치[TLS]

SSL 보안인증서는 한국·해외 웹사이트에서 필수 요소 중 하나입니다. SSL 보안인증서 설치 후 운영이 필요한 이유는 광고가 아닌 유기적 트래픽을 원할 경우 SSL(TLS) 인증서는 검색엔진최적화(SEO)에 필수 항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SSL 보안인증서는 사용자와 서버의 통신이 암호화되어 중간에 해커가 데이터를 가로채지 못하도록 하는 방화벽입니다. SSL 보안인증서 설치 방법 위 두 항목이 웹서버에 설치되어 있다면 개인키를…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