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 방법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 방법입니다. ‘testid’라는 계정을 임시로 만들었습니다.

✅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하기

1. /etc/sudoers

  • /etc/sudoers 에서 내용 수정을 진행합니다.
vi /etc/sudoers

Defaults    secure_path = /sbin:/bin:/usr/sbin:/usr/bin

## Next comes the main part: which users can run what software on
## which machines (the sudoers file can be shared between multiple
## systems).
## Syntax:
##
##      user    MACHINE=COMMANDS
##
## The COMMANDS section may have other options added to it.
##
## Allow root to run any commands anywhere
root    ALL=(ALL)       ALL
testid  ALL=(ALL)       ALL

## Allows members of the 'sys' group to run networking, software,
## service management apps and more.
# %sys ALL = NETWORKING, SOFTWARE, SERVICES, STORAGE, DELEGATING, PROCESSES, LOCATE, DRIVERS

## Allows people in group wheel to run all commands
%wheel  ALL=(ALL)       ALL
  • testid ALL=(ALL) ALL 를 추가해 줍니다.

2. /etc/passwd 수정

vi /etc/passwd
  • testid:x:1000:1000::/home/testid:/bin/bash
  • testid:x:0:0::/home/testid:/bin/bash
  • 권한 부여할 사용자 계정에서 권한을 x:0:0으로 변경 해 줍니다.

3. /etc/group 수정

vi /etc/group

root:x:0:
bin:x:1:
daemon:x:2:
  • root:x:0:
  • root:x:0:testid
  • root 그룹에 사용자 계정(testid)을 추가해서 일반 사용자에게도 root 권한이 부여됩니다.

✅ 최종 확인

정상적으로 권한이 부여 되었는지 확인 해 봅니다.

su - testid
passwd: 
~]# 

Similar Posts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및 파일 종류🔝

    리눅스 운영체제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위에서 아래 또는 위와 아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시작 지점인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됩니다. Linux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는 리눅스를 포함한 유닉스 유형 운영 체제의 디렉토리 구조와 내용을 결정하는 일련의 지침인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표준의 적용을 받습니다. 계층 구조 표준은 리눅스 재단(영어: Linux Foundation)에서…

  • [Linux] CentOS 7 yum repo 변경(EOS)

    CentOS 7의 공식 EOS 날짜는 2024년 6월 30일로 종료되면서 기본 저장소가 비활성화되었기 때문에, yum 명령어 실행 시 저장소를 찾지 못해 오류가 발생합니다. CentOS 7 yum repo 변경을 한 후에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CentOS 7에서 EOS(End of Support)에 따라 CentOS 7을 처음 설치 시 설정 된 yum 명령어 실행 시 One of the configured…

  • 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파일 기능 및 설정

    SSH(Secure Shell)은 리눅스 원격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보안 셸이란 이름처럼 기존 텔넷에서 업그레이드 된 보안 접속 시스템입니다. 기본적인 보안 기능 외에도 추가로 SSH 설정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SH를 사용하면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무단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안전한 원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SH는 네트워크를 통해…

  • certbot 명령어(인증서 관리 및 삭제)

    Alma Linux에서 이 사이트에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치를 해 진행하는 중 인증서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이유가 생겨 삭제와 함께 나머지 Certbo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체크하게 되었습니다. certbot 명령어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목차✅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하기1. /etc/sudoers2. /etc/passwd 수정3. /etc/group 수정✅ 최종 확인 ✅ certbot 명령어: 인증서 관리 사용…

  • [Linux] 쉘(Shell)과 커널&쉘 스크립트 및 프롬프트

    리눅스에 대해 공부하면서 터미널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관리를 하지만 시스템 자체에 대한 공부가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기초와 개념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리눅스 쉘(Shell)과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그리고 프롬프트(Prompt)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하기1. /etc/sudoers2. /etc/passwd 수정3. /etc/group 수정✅ 최종…

  • [Linux] access_log 분석[220.23.175.93]

    access_log 분석을 통해 웹 로그가 들어오는 것을 파악. 목차✅ 리눅스 일반 사용자 root 권한 부여하기1. /etc/sudoers2. /etc/passwd 수정3. /etc/group 수정✅ 최종 확인✅ access_log 분석 기본 httpd.conf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값에 대한 필드 분석. ✅ 명령어 조합을 통한 access_log 분석 1.1 access_log 분석: 날짜+시간대,  awk $IP,국가 1.2 sed 시간대 활용 1.3 [ ] 정규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