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및 mv 명령어 옵션

리눅스 mv 명령어는 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인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mv 명령어
  •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
  •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 변경
  • 리눅스 파일, 디렉토리 관리 명령어

✅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의 기본 사용 방법입니다.

mv [-옵션] [원본 파일] [이동 위치]

✅ mv 명령어 옵션

✅ mv 명령어 활용하기

1. 여러 파일을 한번에 이동 시키기

# 여러개의 디렉토리 > 디렉토리 이동
mv [이동할 파일1] [이동할 파일2] [이동할 파일3] [이동할 경로]
ex1) 
mv www1/ www2/ www3/ www4/ www
~]# ll www/
drwxr-xr-x. 3 ukc  nobody  182 Jan 20 13:53 www1
drwxr-xr-x. 3 ukc  nobody  182 Jan 20 13:53 www2
drwxr-xr-x. 3 ukc  nobody  182 Jan 20 13:53 www3
drwxr-xr-x. 4 ukc  nobody 4096 Jan 20 14:03 www4
ex2)
mv www/www1 www/www2/ www/www3 www/www4 ./
~]# ll 
total 4
drwxr-xr-x. 3 ukc nobody  182 Jan 20 14:06 www
drwxr-xr-x. 3 ukc nobody  182 Jan 20 13:53 www1
drwxr-xr-x. 3 ukc nobody  182 Jan 20 13:53 www2
drwxr-xr-x. 3 ukc nobody  182 Jan 20 13:53 www3
drwxr-xr-x. 4 ukc nobody 4096 Jan 20 14:03 www4

2. 명령어로 파일 이름 변경하기

# www 폴더 이름 변경 
> www/ 및 www_ori/ 로 디렉토리가 없다면 파일이 생성됨.
mv www www_ori

# file1 file2 파일 명 변경
mv file1 file2 

3. 파일 > 디렉토리 이동

# filename /dir 디록토리로 이동
mv filename /dir
  • Tip
  • mv 명령어의 옵션을 제외한 인자 값은 생략 불가능
  • 경로 미지정 시 현 위치 이동.

Similar Posts

  • 리눅스 퍼미션(4,2,1)과 소유권 | chmod, chown, umask 명령어 | 스티키 비트

    리눅스 퍼미션(Permission)은 권한(&허가)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들은 MS-DOS 계열의 운영 체제들은 멀티 테스킹 시스템이 아니며 멀티 유저 시스템 역시 아닙니다. 보통 컴퓨터는 하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한 명이 사용하지만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한 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멀티 유저 시스템은 운영 체제 설계 초기부터 깊게 내장된…

  • 리눅스 Rsync 명령어

    Rsync (Remote Sync) 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백업 방식입니다. 전체 데이터를 매번 복사하는 대신 변경된 부분만 증분 방식으로 전송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다양한 옵션을 통해 압축, 암호화, 권한 유지, 삭제 동기화 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백업과 서버 간 데이터 전송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재 전송…

  •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사용 방법과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 옵션✅ mv 명령어 활용하기1. 여러 파일을 한번에 이동 시키기2. 명령어로 파일 이름 변경하기3. 파일 > 디렉토리 이동✅ 리눅스 killall 명령어…

  • 리눅스 history 명령어

    리눅스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리눅스 콘솔에 접속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history만 입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보다 더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 옵션✅ mv 명령어 활용하기1. 여러 파일을 한번에 이동 시키기2. 명령어로 파일 이름 변경하기3. 파일 >…

  • 리눅스 cat 명령어

    리눅스에서 텍스트 파일을 출력하는 간단한 ‘cat 명령어’는 명령어 뒤에 파일명을 적어 표준 출력(Standard Output)을 할 수 있습니다. cat은 “연결시키다”, “연관시키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영어단어 “concatenat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목차✅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 옵션✅ mv 명령어 활용하기1. 여러 파일을 한번에 이동 시키기2. 명령어로 파일 이름 변경하기3. 파일 > 디렉토리 이동1. cat…

  • 리눅스 kill 명령어[kill -9 PID]

    리눅스 kill 명령어는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터미널에서 프로세스에 시그널(Signal)을 보내서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프로그램이 정지하거나 응답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인 종료가 되지 않는 경우 등에 따라 명령어를 실행하게 됩니다. kill process는 사용 시 중요한 시스템 프로세스를 종료 시키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목차✅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