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usermod 명령어
usermod 명령어는 user modification(사용자 수정)의 약자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UID (사용자 ID), 홈 디렉토리, 로그인 셸, 그룹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 usermod 명령어 기본 옵션
✅ 주요 옵션
✅ 사용 예시
🔲 사용자 홈 디렉토리 변경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m 옵션을 함께 사용하면 새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기존 홈 디렉토리의 파일도 함께 이동됩니다.
usermod -d /home/testuser2 -m testuser
vi /etc/passwd
testuser:x:1008:1008::/home/testuser2:/bin/bash
반면, -m 옵션 없이 -d만 사용할 경우 디렉토리 경로는 변경되지만, 새 디렉토리는 생성되지 않으며 내용도 이동되지 않으며, /etc/passwd 경로만 수정이 됩니다.
🔲 사용자 기본 그룹 변경
-g 옵션으로 그룹 id와 기본 그룹을 변경합니다.
id testuser
uid=1008(testuser) gid=1008(testuser) groups=1008(testuser)
usermod -g nobody testuser
id testuser
uid=1008(testuser) gid=65534(nobody) groups=65534(nobody)
🔲 그룹 추가
◻️-G 옵션
-G 옵션으로 그룹을 추가합니다.
home]# usermod -G testgroup testuser
home]# id testuser
uid=1008(testuser) gid=65534(nobody) groups=65534(nobody),1009(testgroup)
기존 nobody 그룹에 testgroup 그룹이 추가되었습니다.
nobody만 입력하면 기존 추가 그룹이 삭제되고 기본 설정된 nobody 그룹만 남게 됩니다.
home]# usermod -G nobody testuser
home]# id testuser
uid=1008(testuser) gid=65534(nobody) groups=65534(nobody)
◻️ -aG 옵션
-a 옵션을 추가하여 기존의 보조 그룹을 사용하면서 보조 그룹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usermod -aG testgroup testuser
home]# id testuser
uid=1008(testuser) gid=65534(nobody) groups=65534(nobody),1009(test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