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란? | 1961년 출범한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역할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영향력 있는 세계적인 국제 기구 중 하나입니다.

1948년 미국의 마셜 플랜을 지원받았던 유럽경제협력기구(OEEC,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가 출발점이었으며, 1961년에는 미국과 캐나다가 합류하여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가 생성되었습니다. 이 기구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매년 5월 경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OECD 본부에서 열리는 각료이사회입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지도
OECD(회원국 지도

OECD 목적

핵심 목적은 경제 성장 촉진,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무역 확대 등을 통해 세계 경제의 안정과 발전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경제 정책의 조정, 무역 문제의 검토, 산업 정책의 검토, 환경 문제, 개발도상국의 원조 문제 논의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합니다.

회원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정책 조율을 통해 경제적 안정을 유지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합니다. 또한, 국제 무역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무역 문제를 검토하고, 회원국들 간의 산업 정책을 협의하여 글로벌 경제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주요 관심을 기울이며,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제공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더불어,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문제 논의를 통해 국제적인 공정성과 협력을 강조하며, 세계적으로 공헌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총망라하면, OECD는 경제적 협력과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제의 안정과 발전을 촉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회원국들 간의 협력과 조정을 이끄는 중요한 국제 기구입니다.

OECD(경제협력기구) 회원국 목록

국가가입 년월일
캐나다1961년 4월 10일
미국1961년 4월 12일
영국1961년 5월 2일
덴마크1961년 5월 30일
아이슬란드1961년 6월 5일
노르웨이1961년 7월 4일
튀르키예1961년 8월 2일
스페인1961년 8월 3일
포르투갈1961년 8월 4일
프랑스1961년 8월 7일
아일랜드1961년 8월 17일
벨기에1961년 9월 13일
독일1961년 9월 27일
그리스1961년 9월 27일
스웨덴1961년 9월 28일
스위스1961년 9월 28일
오스트리아1961년 9월 29일
네덜란드1961년 11월 13일
룩셈부르크1961년 12월 7일
이탈리아1962년 3월 29일
일본1964년 4월 28일
핀란드1969년 1월 28일
오스트레일리아1971년 6월 7일
뉴질랜드1973년 5월 29일
멕시코1994년 5월 18일
체코1995년 12월 21일
헝가리1996년 5월 7일
폴란드1996년 11월 22일
대한민국1996년 12월 12일
슬로바키아2000년 12월 14일
칠레2010년 5월 7일
슬로베니아2010년 7월 21일
이스라엘2010년 9월 7일
에스토니아2010년 12월 9일
라트비아2016년 7월 1일
리투아니아2018년 7월 5일
콜롬비아2020년 4월 28일
코스타리카2021년 5월 25일

38개국의 대륙 별 회원국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 유럽: 27개 국가
  • 아시아: 3개 국가
  • 오세아니아: 2개 국가
  • 북미: 2개 국가
  • 중남미: 4개 국가

아프리카 대륙에 속한 국가는 회원국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OECD의 역할

OECD는 주로 경제, 환경, 교육, 고용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와 정책 권고를 발표합니다. 경제 전망 및 보고서는 세계 경제의 전망과 경제 지표를 분석하며, 특정 주제에 대한 보고서도 발표됩니다. 또한 정책 권고를 통해 회원국들에게 정책 개발을 지원합니다.

데이터와 연구 보고서는 다양한 분야의 통계 데이터와 연구 결과를 제공합니다. 국제 비교 연구는 회원국들 간의 성과를 비교하며,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와 정책 권고는 환경 문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교육 및 고용 분야에서의 연구와 정책 권고를 통해 노동시장과 교육 시스템을 개선하고 인력 개발을 지원합니다.

뉴스에서 회원국의 물가상승률과 인플레이션 등을 접했던 적이 있었을 겁니다. 한국에서는 주로 외교부와 통계청에서 OECD의 물가상승률(CPI)이나 인플레이션 자료를 발표하곤 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주식용어 시가와 종가 |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 차이점

    주식 투자 시 호황기와 침체기인지 알아야 하는 4가지 순환 분면 시기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주식 투자의 당일 거래 시 자주 보는 주식용어 시가 및 종가 | 매수 및 매도 호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시가(영어:Opening Price)는 주식 시장이 하루를 시작할 때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용어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당일 거래의 첫 번째 거래가 발생하게 되면서…

  • 배달의민족 알뜰배달: 2023 5월 24일 서비스 시작

    2023년 배달 플랫폼 배민이 줄어든 매출에 대한 대응책으로 배달의민족 알뜰배달 서비스를 5월 24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서울 관악구 일대에서 한정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서비스 지역을 수도권으로 확대합니다. 강남과 ,금천구 및 인천 송도 등으로 확대 운영합니다. 양천구 및 강서구 지역은 28일 오픈 예정입니다. 목차OECD 목적OECD(경제협력기구) 회원국 목록OECD의 역할1. 배달의민족 알뜰배달이란? 알뜰배달은 배민 단건배달 서비스 ‘배민1’처럼,…

  • 경제 용어: 주식 섹터 뜻과 경제학의 4가지 Sector

    경제 뉴스 및 신문, 구글링을 하다 보면 섹터(Sector)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섹터는 한국어로 ⓐ부문, ⓑ분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묶을 때 사용하는 단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주식 섹터에 영어 단어 뜻은 알더라도 정확한 의미에 대해 투자자라면 궁금해 본 적이 간혹 있었을 것입니다. ※ 부문: 어떤 사물·현상을 여럿으로…

  • 신한은행 땡겨요 수수료 정리(2.2%)

    신한은행 땡겨요는 2021년 12월 22일 서울 광진구, 관악구, 마포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6개 지역에서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베타 테스트 등의 과정을 거쳐 2022년 4월부터 서울 및 경기도 지역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중입니다. ‘땡겨요‘는 이용자인 고객과 가맹점인 소상공인 및 배달라이더까지 상생할 수 있는 슬로건을 걸고 신한은행에서 추구하는 상생 어플입니다. 신한은행 땡겨요 수수료 및 땡겨요에…

  • 피피아이 주가 전망: 5G관련주&핵심기술 PLC,5G MUX

    목차OECD 목적OECD(경제협력기구) 회원국 목록OECD의 역할 1. 5G관련주 피피아이 주가 피피아이는 전자산업을 대체하는 미래산업의 핵심 기술인 평판형광회로(PLC, Planer Lightwave Circuit) 기술의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기업입니다. 5G관련주인 피피아이 주가 전망은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력 제품 판매는 데이터센터용 AWG, 통신용 AWG, 스플리터, 광 파장 파워 계측기를 판매하고 있습니다.주력 상품 판매는 5G MUX를 판매하고…

  • 전자공시 전환사채 찾는 법

    ‘전자공시 전환사채 찾는 법‘ 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전환사채(Convertible Bond)는 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에서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회사채를 말합니다.채권이기 때문에 일반 채권처럼 만기일이 정해져 있으며, 정기적인 이자도 지급됩니다.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가 있어 일반 회사채에 비해서는 이자율이 낮은 편입니다. 목차OECD 목적OECD(경제협력기구) 회원국 목록OECD의 역할1. 전자공시 전환사채 찾는 법 : 발행 확인 그럼 전자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