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A-12514: 오라클 19c DB 접속 오류

  • 윈도우 10 64bit

    Oracle 19c 설치 후 나비캣으로 접속 시도 시 ORA-12514 오류 발생

Oracle 19c를 윈도우에 설치 후 [ORA-12514: TNS:리스너가 현재 접속 기술자에 요청된 서비스를 알지 못함]이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오라클19c 접속 오류 - ORA-12514 오류

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

여러가지 오류 확인 중 [lisener.ora] 파일과 [tnsnames.ora] 2개의 파일 수정을 먼저 진행했습니다.

2개 파일은 각각 셋업 시 설정한 설치 경로가 다를 수 있으며, 저의 경우
C:\Oracle\WINDOWS.X64_193000_db_home\network\admin\ 폴더 안에서 파일 확인 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1. [lisener.ora]

(HOST = localhost로 설정되어 있거나 변경한 것을 최종 192.168.0.11)로 변경해 줬습니다. 윈도우 PC의 이름으로도 되어 설정할 수 있음.

# listener.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C:\Oracle\WINDOWS.X64_193000_db_home\NETWORK\ADMIN\listener.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CLRExtProc)       (ORACLE_HOME = C:\Oracle\WINDOWS.X64_193000_db_home)       (PROGRAM = extproc)       (ENVS = “EXTPROC_DLLS=ONLY:C:\Oracle\WINDOWS.X64_193000_db_home\bin\oraclr19.dll”)     )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11 ) (PORT = 1521))     )   )  

2. [tnsnames.ora]

tnsnames.ora 파일 역시 3개를 수정해 줍니다.

# tnsnames.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G:\app\bipl69\product\11.2.0\client_1\network\admin\tnsnames.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ORCL_INFA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11)(PORT = 1521))
      )
      (CONNECT_DATA =
         (SERVER = DEDICATED)
         (SERVICE_NAME = ORCL)
      )
   )
MYORCL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11)(PORT = 1521))
    (CONNECT_DATA =
      (SERVER = DEDICATED)
      (SERVICE_NAME = myorcl)
    )
  )
ORACLR_CONNECTION_DATA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1521))
    )
    (CONNECT_DATA =
      (SID = CLRExtProc)
      (PRESENTATION = RO)
    )
  )
LISTENER_MYORCL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11)(PORT = 1521)) 
구글링으로 확인한 블로그 중 한 곳입니다.

위에서 해봤던 서비스 테스트는 정상적이니 요 방법으로 해결해야될 것 같죠?

폴더위치 C드라이브나 D드라이브에 [App\Administrator\product\11.2.0\dbhome_1\network\admin]

( 위 경로는 모두 똑같지 않습니다~~ 비슷할거에요 )

출처: https://hunit.tistory.com/343 [HunIT Blog:티스토리]

ORA-12514 > 관련 파일 중지 후 시작

이미 두 개의 파일 [lisener.ora], [tnsnames.ora]이 localhost 또는 윈도우 PC 사용자 명으로 동일하게 세팅 되었는데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tns리스너
출처: velog.io/@zwooo96/ORA-12541-TNS-리스너가-없습니다

3개 파일을 중지 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2개의 파일은 금방 재시작 가능하며, OracleServiceORCL의 파일의 경우 1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후에 정상 작동을 확인 했습니다. 주요 오류는 “TNS 리스너가 없습니다” or “TNS 리스너가 현재 접속 기술자에 요청된 서비스를 알지 못함”의 메시지가 나타날 때 진행해서 해결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관련 오류 번호 메시지 내용을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면 국내 및 해외 블로그 글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이 주요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Similar Posts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정의와 구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RDB)란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행(row)과 열(컬럼:Columm)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가 사전에 정의된 관계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모음입니다. 엑셀의 스프레드 시트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목차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1. [lisener.ora]2. [tnsnames.ora]ORA-12514 > 관련 파일 중지 후 시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RDB)는…

  • APM 설치 후 503 에러

    APM 설치 후 503 에러가 발생해서 원인을 error.log를 확인 해 보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확인 되었습니다. 목차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1. [lisener.ora]2. [tnsnames.ora]ORA-12514 > 관련 파일 중지 후 시작✅ APM 설치 후 503 에러 원인: PHP-FPM 에러 AWS EC2 서비스에 APM 설치 후 처음에는 문제가 없었는데 이미지 파일을 만들면서 서버 재부팅이 있었습니다. 문제는…

  • APM 설치 후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오라클 클라우드 무료 인스턴스 ‘록키 리눅스’에 APM을 설치하고 난 후에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에러와 함께 ‘ERR_INVALID_RESPONSE’ 잘못 된 응답이라는 에러 메시지 화면을 확인했다. 도메인까지 연결한 후에 ping으로 해당 IP까지 향하는 것까지 확인했지만 오류가 확인된다. 목차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1. [lisener.ora]2. [tnsnames.ora]ORA-12514 > 관련 파일 중지 후 시작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IP 체크…

  • mariadb-check 명령어: 테이블 자동 복구

    mariadb-check 명령어는 여러 테이블을 검사, 복구, 분석 및 최적화 할 수 있는 유지 관리 도구입니다. mariadb-check은 myisamchk 및 aria_chk과 다르게 서버에서 MariaDB가 실행 중이어야 합니다. mariadb-check 명령어 mysqlcheck 명령어와 동일한 명령어입니다. 10.5 이전 버전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호출했으며,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1. [lisener.ora]2. [tnsnames.ora]ORA-12514 > 관련 파일 중지 후…

  • DB Query | SQL Statement(SQL 문) | 쿼리문 | 기본 문법

    DB QuerySQL Statement(SQL 문)는 MySQL, MariaDB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에서 사용되며, MySQL Query, SQL 명령어, SQL 쿼리, Mysql 명령어 등 다양한 형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쿼리문은 명령의 역할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합니다. 업무를 보면서 당장에 인식하고 사용하지 않더라도 차츰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차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1….

  • MariaDB root 패스워드 분실 : mariadb or MySQL 패스워드 초기화

    MariaDB root 패스워드 분실(또는 MySQL)로 인해 로그인이 불가능한 경우mariadb&MySQL 패스워드 초기화가 필요합니다. 데몬에 대한 정지 및 시작 등의 구동 권한이 있다면 패스워드 초기화를 진행해서 재 설정이 가능합니다. 목차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1. [lisener.ora]2. [tnsnames.ora]ORA-12514 > 관련 파일 중지 후 시작✅ MariaDB root 패스워드 분실 시 확인 메시지 콘솔에서 MariaDB 또는 MySQL 접속 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