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RPM, YUM 차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RPM(Red Hat Package Manager)과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은 리눅스의 패키지를 설치하는 인스톨 프로그램입니다. 패키지 설치와 삭제,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RPM

리눅스를 초기에 설치 할 때는 tar, gzip 등의 확장자를 사용했습니다. 패키지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컴파일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Windows와 비교하면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rpm이라는 확장명을 가지게 됩니다.

불편함의 해소를 위해 RedHat에서 RPM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로컬 시스템에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RPM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 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나 다른 컴퓨터에서 해당 RPM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이동 가능한 저장 장치(USB 드라이브 등)를 통해 목표 시스템으로 이동 시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종속성(의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PM 패키지에는 종종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종속성을 충족시켜야만 패키지가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RPM 파일을 설치하기 전에 그것이 필요로 하는 종속성을 미리 확인하고 필요한 패키지들을 모두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 주요 특징 정리
    • 바이너리 파일로 구성되어 컴파일을 할 필요가 없음.
    • 관련 디렉터리에 바로 설치 가능
    • 기존 설치된 패키지를 한꺼번에 모두 삭제 가능
    • 패키지의 정보를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음.
    • 단점은 종속성 문제로써 A 패키지를 받기 위해 B,C의 패키지 설치가 필요함

YUM

yum update 명령어(기존 RPM의 의존성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yum update

종속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YUM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인터넷을 사용해서 패키지를 설치할 때 필요한 모든 패키지를 다운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각의 패키지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알아서 구성 요소들을 웹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해 주기 때문에 기존 패키지 관리 시스템인 RPM에 비해 빠르고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주요 특징 정리
    • RPM 기반의 패키지 관리 도구
    • 저장소의 개념을 가짐으로써 의존성 문제를 해결
    • yum Rrepository 패키지 저장소에 패키지가 모여 있음.
리눅스(펜과 안경)

Similar Posts

  • 리눅스 CPU/RAM/디스크 및 OS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에서 사용 중인 서버의 정보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리눅스 CPU/RAM/디스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명령어를 이용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RPMYUM✅ 리눅스 CPU 정보 확인 명령어 1. cat /proc/cpuinfo 2. CPU 전체 개수와 물리 CPU 갯수 확인하기 3. 하이퍼 스레딩(Hyper Threading) 적용 확인 CPU 코어 개수 대비 siblings 값이 2배로 표시될 경우…

  • 리눅스 리다이렉션(Redirection)

    웹 상에서 리다이렉션(Redirection)은 웹 브라우저가 특정 URL을 요청했을 때, 미리 지정된 다른 URL로 재요청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 연결의 사전적인 의미를 가진 Redirection은 리눅스에서 입력과 출력을 다루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파일로 보내거나 파일에서 읽어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리눅스 리다이렉션은은 키보드로 입력, 화면으로 출력을 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다이렉션에는 표준…

  • 리눅스 chage 명령어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목차RPMYUM✅ chage 명령어 옵션 ✅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 chage 명령어 사용 예시 계정 만료, 비밀번호 만료…

  • 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파일 기능 및 설정

    SSH(Secure Shell)은 리눅스 원격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보안 셸이란 이름처럼 기존 텔넷에서 업그레이드 된 보안 접속 시스템입니다. 기본적인 보안 기능 외에도 추가로 SSH 설정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SH를 사용하면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무단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안전한 원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SH는 네트워크를 통해…

  • 리눅스 blkid 명령어 | UUID와 GUID 차이

    리눅스 blkid 명령어는 블록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 유형 or 속성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주 목적은 리눅스 서버를 다시 시작하는 경우 /etc/fstab 파일에 자동 마운트 정보를 설정할 때 UUID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RPMYUM ✅ blkid 명령어 사용 예시 명령어만 입력했을 경우 전체 파티션의 UU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UUID와 GUID 차이 리눅스에서 파티션 작업에…

  • 리눅스 touch 명령어

    touch 명령어는 파일의 날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파일의 최근 사용 시간, 변경 시간이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변경됩니다. 파일이 없는 파일명을 입력할 경우 새로운 크기가 0인 빈 파일이 생성됩니다. 목차RPMYUM✅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touch 명령어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최근 사용 시간(Access), 변경 시간(Modify)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