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RPM, YUM 차이

RPM(Red Hat Package Manager)과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은 리눅스의 패키지를 설치하는 인스톨 프로그램입니다. 패키지 설치와 삭제,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RPM

리눅스를 초기에 설치 할 때는 tar, gzip 등의 확장자를 사용했습니다. 패키지 설치 시 사용자가 직접 컴파일을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Windows와 비교하면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rpm이라는 확장명을 가지게 됩니다.

불편함의 해소를 위해 RedHat에서 RPM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로컬 시스템에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RPM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 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나 다른 컴퓨터에서 해당 RPM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이동 가능한 저장 장치(USB 드라이브 등)를 통해 목표 시스템으로 이동 시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종속성(의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PM 패키지에는 종종 다른 패키지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종속성을 충족시켜야만 패키지가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RPM 파일을 설치하기 전에 그것이 필요로 하는 종속성을 미리 확인하고 필요한 패키지들을 모두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 주요 특징 정리
    • 바이너리 파일로 구성되어 컴파일을 할 필요가 없음.
    • 관련 디렉터리에 바로 설치 가능
    • 기존 설치된 패키지를 한꺼번에 모두 삭제 가능
    • 패키지의 정보를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음.
    • 단점은 종속성 문제로써 A 패키지를 받기 위해 B,C의 패키지 설치가 필요함

YUM

yum update 명령어(기존 RPM의 의존성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yum update

종속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YUM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인터넷을 사용해서 패키지를 설치할 때 필요한 모든 패키지를 다운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각의 패키지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알아서 구성 요소들을 웹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해 주기 때문에 기존 패키지 관리 시스템인 RPM에 비해 빠르고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주요 특징 정리
    • RPM 기반의 패키지 관리 도구
    • 저장소의 개념을 가짐으로써 의존성 문제를 해결
    • yum Rrepository 패키지 저장소에 패키지가 모여 있음.
리눅스(펜과 안경)

Similar Posts

  • certbot 명령어(인증서 관리 및 삭제)

    Alma Linux에서 이 사이트에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치를 해 진행하는 중 인증서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이유가 생겨 삭제와 함께 나머지 Certbo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체크하게 되었습니다. certbot 명령어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목차RPMYUM ✅ certbot 명령어: 인증서 관리 사용 중인 인증서 목록을 보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기존 인증서 재생성 및 업데이트…

  • 리눅스 less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less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을 볼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less 명령어의 특징은 vi 명령어가 파일 실행 시 전체 파일을 읽어야 하고 txt 파일 크기가 클 경우 읽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vi 명령어는 파일 편집 명령어입니다. 목차RPMYUM리눅스 les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ess 명령 사용 예시 [-N] 옵션을 사용해서 파일의 행을 라인으로 확인할 수…

  • HTTP 상태 코드 표 [100~500] 정리

    HTTP 상태 코드는 운영 중인 서버의 오류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HTTP는 HTML,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동영상, JavaScript 등의 다양한 파일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목차RPMYUM✅ HTTP…

  • [Linux] 리눅스 vi 명령어 정리 | Vim 3가지 모드 및 비주얼 모드

    리눅스 터미널에서 ‘.txt’, ‘.conf’ 등의 ASCII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vi 편집기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vi 편집기는 명령모드 입력모드와 저장 및 종료 후 치환하는 리눅스 vi 명령어는 익숙해지면 매우 빠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RPMYUM Ⅰ. vi vim 명령어 설명 및 3가지 모드 ‘vi‘와 ‘vim‘은 둘 다 텍스트 편집기로서 리눅스 및…

  • 리눅스 netstat 명령어, ifconfig 명령어

    리눅스에 netstat 명령어 및 ifconfig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리눅스 서버에 명령어 실행을 위한 net-tools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목차RPMYUM✅ net-tools 설치 ✅ netstat 명령어 netstat[network statistics:네트워크 통계]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어떤 포트가 열려있고,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와 해킹 시도가 있거나 자신의 컴퓨터가 좀비 PC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etstat 명령어 옵션 ◼ netstat 실행…

  • 리눅스 파일 시스템(File System)과 스토리지

    리눅스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를 큰 트리 구조 하나로 관리합니다. 리눅스는 Ext(Extended File System)를 사용합니다. OS는 파일 스토리지에 있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게 됩니다. 목차RPMYUM✅ 대표적인 리눅스 파일 시스템 종류 저널링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의 저널(로그)에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며 파일의 정확성 체크가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집니다. 파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