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ync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Rsync 명령어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원격에서 로컬, 로컬에서 로컬로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rsync에는 두 가지 접속 방법이 있는데 SSH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과 rsync 데몬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 SSH 사용

SSH를 통한 접속(: 사용)은 [rsync [옵션] user@host:/경로 /로컬경로]의 방법으로 이용되며 내부적으롤 SSH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SSH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안 연결은 암호화 되어 통신됩니다.

🔲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사용)은 [rsync [옵션] host::모듈 /로컬경로]의 방법으로 접속합니다. 873 포트가 기본 포트입니다. /etc/rsyncd.conf에 정의된 Module 이름을 사용합니다.

rsync 데몬이 직접 실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도 대상 리모트 서버에서 rsync 데몬 방식으로 rsync가 정상 실행되었다면, 이는 inetd, xinetd, 또는 systemd socket 슈퍼 데몬 방식으로 rsync가 요청 시 자동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슈퍼 데몬은 외부 요청을 대기하다가 해당 요청에 맞는 서비스를 필요할 때만 실행해주는 중간 관리자 역할의 서비스입니다.

구분

SSH 방식 (:)

rsync 데몬 방식 (::)

접속 형식

rsync [옵션] user@host:/경로 /로컬경로

rsync [옵션] host::모듈 /로컬경로

사용 포트

SSH 기본 포트 (보통 22번)

rsync 기본 포트 873번

보안

SSH를 통해 암호화된 통신

기본적으로 암호화되지 않음

인증 방식

SSH 키 또는 비밀번호

별도 인증 설정 가능 (보통 IP 제한 등)

설정 파일

없음 (SSH 설정에 따름)

/etc/rsyncd.conf

데몬 실행 필요 여부

불필요

필요 (직접 실행 또는 슈퍼 데몬 방식)

데몬 실행 방식

해당 없음

수동 실행 또는 inetd, xinetd, systemd socket 등 슈퍼 데몬에 의해 자동 실행 가능

rsync
├── 접속 방식
├── SSH 방식 (: 사용)
   ├── 형식: rsync [옵션] user@host:/원격경로 /로컬경로
   └── 특징: SSH 프로토콜 사용, 암호화된 통신
├── 데몬 방식 (:: 사용)
   ├── 형식: rsync [옵션] host::모듈 /로컬경로
   ├── 포트: 기본 873번 사용
   ├── 설정: /etc/rsyncd.conf의 module 정의 필요
   └── 실행 방식
       ├── rsync 데몬 직접 실행
       └── 슈퍼 데몬 방식
           ├── inetd
           ├── xinetd
           └── systemd socket
└── 로컬  로컬 복사

└── 주요 특징
    ├── 효율적 동기화 (차이점만 전송)
    └── 주요 옵션 (-a, -z, -v, -e )

✅ Rsync 설치

yum -y install rsync

✅ Rsync 기본 사용 방법

rsync options source destination

✅ Rsync 명령어 옵션

✅ Rsync 사용 예시: SSH

🔲원격에서 로컬 서버로 복사

rsync -avz root@192.168.45.239:/home/1server_data/html_Remote /home/2server_data
rsync 명령어_원격에서 로컬 실행_결과

🔲로컬에서 원격 서버로 복사

rsync -avz /home/2server_data/로컬파일 root@192.168.45.239:/home/1server_data/
Rsync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 원격에서 로컬: 특정 디렉토리 및 파일 제외

rsync -avz --exclude 'html_Remote_Excertion' --exclude 'Exception_File' root@192.168.45.239:/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sync 명령어_원격에서 로컬_특정 파일 및 디렉토리 제외

🔲 원격에서 로컬: 특정 디렉토리/* , 파일 제외

rsync -avz --exclude={'html_Remote_excertion/*','Exception_File'} root@192.168.45.239:/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sync 명령어_원격에서 로컬_특정 파일 및 디렉토리(이하 파일,폴더) 제외

✅ Rsync 사용 예시: etc/rsync.conf

원격 서버의 conf 파일을 설정합니다.

[myhome]
path=/home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192.168.45.182

CentOS 7에서 FirewallD 기본 활성화 상태라 873 포트를 허용 해 준 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73/tcp
firewall-cmd --reload

◻️SELinux 비활성화

퍼미션 오류 발생으로 원격 서버의 setenforce 0으로 SELinux를 비활성화 해 줍니다.

rsync -avz 192.168.45.239::my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eceiving incremental file list
rsync: change_dir "/1server_data" (in myhome) failed: Permission denied (13)

sent 8 bytes  received 90 bytes  65.33 bytes/sec
total size is 0  speedup is 0.00
rsync error: some files/attrs were not transferred (see previous errors) (code 23) at main.c(1658) [Receiver=3.1.2]
rsync: read error: Connection reset by peer (104)

🔲 [원격] 모듈 확인

[root@localhost 2server_data]# rsync 192.168.45.239::
myhome         	
home           	
[root@localhost 2server_data]# rsync 192.168.45.239::myhome
drwxr-xr-x          4,096 2025/06/12 22:14:39 .
drwxr-xr-x          4,096 2025/06/12 22:21:10 1server_data
drwxr-xr-x          4,096 2025/06/12 22:14:39 2server_data
drwx------          4,096 2025/06/12 21:07:44 testuser
drwx------          4,096 2025/06/12 21:07:49 testuser2
drwx------          4,096 2025/06/12 21:07:52 testuser3

🔲 [원격]>[로컬]

[root@localhost 2server_data]# rsync -avz 192.168.45.239::my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eceiving incremental file list
./
Exception_File
html_Remote/
html_Remote_Excertion/

sent 58 bytes  received 332 bytes  780.00 bytes/sec
total size is 442  speedup is 1.13
[root@localhost 2server_data]# 

🔲 [원격]>[로컬] —delete 옵션 사용

delete 옵션은 원격에 없는 파일 및 폴더를 제거합니다.

rsync -avz --delete  192.168.45.239::my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sync 명령어_원격에서 로컬_delete 옵션 사용

🔲 [원격]>[로컬] include, exclude 옵션 사용

복사할 파일을 추가하거나 제외 시킵니다.

rsync -avz --include '*..html' --exclude 'exclude.txt' 192.168.45.239::my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sync 명령어_원격에서 로컬_delete, include, exclude 옵션 사용

🔲 [원격]>[로컬]: –max-size= | -min-size=

전송할 파일의 최대 크기 및 최소 기를 지정합니다.

rsync -avz --max-size='3M' --min-size='10k' 192.168.45.239::my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eceiving incremental file list

🔲 [원격]>[로컬]: Bandwidth 제한 설정

대역폭을 제한합니다. [ –bwlimit=Kbps]

대역폭을 100kb로 제한하면서 -P 옵션을 추가해서 진행 사항을 같이 확인합니다.

rsync -avzP --bwlimit=100 192.168.45.239::myhome/1server_data/  /home/2server_data/
rsync 명령어_원격에서 로컬_대역폭 100kb 제한 및 진행사항 -P 옵션으로 확인

Similar Posts

  • 리눅스 who, w 명령어 & user 명령어

    리눅스 who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로그인한 사용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각각의 차이가 있습니다. 목차✅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SSH 사용🔲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Rsync 설치✅ Rsync 기본 사용 방법✅ Rsync 명령어 옵션✅ Rsync 사용 예시: SSH🔲원격에서 로컬 서버로 복사🔲로컬에서 원격…

  • 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목차✅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SSH 사용🔲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Rsync 설치✅ Rsync 기본 사용 방법✅ Rsync 명령어 옵션✅ Rsync 사용…

  • 리눅스 chgrp 명령어

    리눅스 chgrp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며, Change Group의 약자입니다. 목차✅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SSH 사용🔲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Rsync 설치✅ Rsync 기본 사용 방법✅ Rsync 명령어 옵션✅ Rsync 사용 예시: SSH🔲원격에서 로컬 서버로 복사🔲로컬에서 원격 서버로 복사🔲 원격에서 로컬: 특정 디렉토리 및 파일 제외🔲 원격에서…

  • [Linux] 리눅스 vi 명령어 정리 | Vim 3가지 모드 및 비주얼 모드

    리눅스 터미널에서 ‘.txt’, ‘.conf’ 등의 ASCII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vi 편집기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vi 편집기는 명령모드 입력모드와 저장 및 종료 후 치환하는 리눅스 vi 명령어는 익숙해지면 매우 빠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SSH 사용🔲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Rsync 설치✅ Rsync 기본 사용…

  • 리눅스 sort 명령어: 파일 정렬

    종류 및 분류의 사전적 의미를 가진 리눅스 sort 명령어는 아스키 파일 내용(레코드)을 정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알파벳순이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SSH 사용🔲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Rsync 설치✅ Rsync 기본 사용 방법✅ Rsync 명령어 옵션✅ Rsync 사용 예시: SSH🔲원격에서 로컬 서버로 복사🔲로컬에서…

  • rm 명령어

    목차✅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SSH 사용🔲 rsync 데몬을 통한 접속✅ Rsync 설치✅ Rsync 기본 사용 방법✅ Rsync 명령어 옵션✅ Rsync 사용 예시: SSH🔲원격에서 로컬 서버로 복사🔲로컬에서 원격 서버로 복사🔲 원격에서 로컬: 특정 디렉토리 및 파일 제외🔲 원격에서 로컬: 특정 디렉토리/* , 파일 제외✅ Rsync 사용 예시: etc/rsync.conf🔲 [원격] 모듈 확인🔲 [원격]>[로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