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EEAT란-Google 검색 순위 시스템 평가 4가지 요소

EEAT(or Double-EAT)는 구글의 검색 순위 시스템이 웹 페이지 콘텐츠의 검색 품질을 판단하는 가이드라인입니다. 기존 품질 평가자 가이드라인 E-A-T에서 2022년 E가 추가되어 E-E-A-T가 되었습니다. E-E-A-T가 되었습니다. 기존 E-A-T는 ‘전문성, 권위성, 신뢰성’이었다면 더욱 효과적인 평가를 위해 E(Experience경험)을 추가하게 됩니다.

1. 기본적인 SEO EEAT 이해하기

좋은 콘텐츠, 즉 유용한 콘텐츠가 Google 첫 페이지에 노출되어야 사람들이 검색 엔진을 지속적으로 신뢰할 수 있습니다. ‘EAT’부터 추가된 ‘E’까지 알아 보겠습니다.

♣ Google SEO 품질 평가자 가이드라인

전문성Expertise

전문적 지식은 특정 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콘텐츠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SEO에 대한 전문 기술, 의학 분야, 법적이거나, 회계 분야의 전문가는 콘텐츠 AI를 능가하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금 언급한 너무 큰 전문성이 아닌 해당 주제에 관한 꾸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전문 지식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폰 자체에 대한 지식이나 보험 용어부터 시작해서 보험 상품, 보험회사 비교 등 전반적으로 선정한 주제에 대한 콘텐츠를 발행하는 “일상적인 전문 지식으로 충분하다.”고 Google은 말하고 있습니다.

권위성Authoritativeness

개인, 기업은 평판이 중요합니다. 치명적인 실수 or 안 좋은 행동으로 평판이 떨어지면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회계사가 언급하는 글은 매우 높은 권위를 가지고 좋은 평판을 얻습니다.

온라인 비즈니스를 하는 업종에서 관련 기업의 평판을 알아 보는데 Wikipedia 또는 TrustPilot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어는 관련 업종의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할 때 어떤 업종인지, 그리고 중간에 치명적인 사건, 사고 등은 없었는지와 어떤 점이 좋은지 객관적인 지표를 보여줍니다. 트러스트파일럿의 경우 정말 이 회사가 좋은 평판을 가지고 있는지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은 특정 주제에 관련하여 웹 사이트가 고유한 권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신뢰성Trustworthiness

신뢰는 “합법적이고 투명하며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는 웹 사이트인가?”에 대한 기본 사항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전자상거래를 하는 웹 사이트는 채팅 및 전화번호, 문의 게시판과 같은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겠지요.

뉴스 기사 및 정보 블로그의 글이 신뢰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SEO에서 신뢰는 절대적인 것이 아닌 상대적인 것이기에 정확한 정보가 아님에도 사람들이 많이 찾거나 여러가지 이유로 웹 페이지가 상단에 뜰 수 있습니다. 많은 진실은 시간이 지나고 난 뒤에 밝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뉴스 미디어는 95% 이상 돈의 흐름에 의해 움직이는 숙명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유튜브의 경우 의미 없는 내용으로 가득한 “1시간 일하고 $30 벌기” 등과 같은 글들이 난무하는 것이 그 증거이기도 합니다.

웹 페이지에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인용하는 것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입니다.

경험Experience

구글이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주제해 대해 직접적으로 or 삶의 경험을 뜻 합니다. 구글은 콘텐츠 발행자가 작성한 주제에 실제 경험한 페이지에 대한 보상을 목표를 추가한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삼성 갤럭시나 아이폰의 제품 리뷰, 직접 만든 요리, 영양제 구매 후기, 오픈 AI가 요리 래시피는 줄 수 있지만 직접 만들어 봤다고 말 할 수 없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장·단점과 더 잘 사용하는 방법을 실제 사용했다면 누구보다 잘 알 수 있습니다.

영화, 게임, 책 등 모든 콘텐츠는 이야기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 역시 이 글을 봤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세상 모든 것은 “이야기에서 시작되어 이야기로 끝이 납니다.”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가 다시 시작되는 것입니다.

Google EEAT

2. YMYL이란?

전문가를 위한 주제가 아닌 YMYL(Your Money or Your Life) 주제는 경험과도 ‘일맥상통’ 합니다. 주제에 관한 신뢰(+E)를 구축하는데 100%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습니다.

YMYL 페이지는 개인의 미래 행복, 건강, 재정적 안정성 또는 안전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르의 주제를 다루는 것입니다. 다양한 분야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전자상거래, 은행, 보험, 신용카드, 증권, 부동산, 세금 등이 있다. 건강에 대한 부분은 건강 보조식품, 질병, 영양제, 의료 전반, 이혼, 법률 등 모든 부분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EEAT는 어떻게 반영될까?

Google EEAT 모바일

구글은 검색 페이지에서 내 웹 페이지로 사용자가 접속 했을 때 머무르는 시간, 많이 본 글의 문단, 백링크링크 에퀴티 등 여러가지 요소를 검토합니다. 구긅의 SEO EEAT 그리고 YMYL이 검색 엔진 최적화에서 어떤 요소를 차지하고 있는지 알아 봤습니다.

노트에 적은 SEO(검색 엔진 최적화)

4. 블로그 포스트와 아티클(기사)

블로그 포스트를 기준으로 콘텐츠를 발행한다면 EEAT가 더 중요한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아티클은 사실 확인 등의 글을 쓸 때이기 때문에 EEAT의 경험 요소의 비중이 줄거나 거의 없을 수 있는 점을 참고해서 글을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Similar Posts

  • FTP란?(&SFTP): 파일질라 서버 접속 FTP&SFTP 2가지 접속 방법의 차이점

    워드프레스 및 웹사이트 관리를 하기 위해 리눅스 서버에 접속한다면 SSH 또는 FTP로 접속을 합니다. 무료 ssh 프로그램 중에서 모바엑스텀이 개인적으로 제일 편했습니다. 파일질라(FileZilla)는 윈도우, macOS, 리눅스 PC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질라 ftp 설정과 파일질라 sftp 설정 등의 기본적인 방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FTP와 SFTP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 국내은행 SWIFT CODE 및 증권사 SWIFT CODE(8~11자리)

    ‘SWIFT CODE‘란 신속하고 정확한 해외 송금을 위해 만들어진 구체적인 코드를 뜻합니다. 영문과 숫자의 혼합으로 8자리~11자리로 이루어진 게 보통입니다. 국내 은행 및 증권사의 SWIFT CODE 1번과 2번 순차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첫 번째 국내은행 SWIFT CODE 표입니다. 한국은행부터 시작해서 기업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 등의 1금융권 메이저 은행과 케이뱅크 및 카카오 뱅크까지 국내은행 영문명도 함께 기재가 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 스냅샷과 백업 차이

    IT 업종을 포함한 기업의 데이터는 기업의 생존과 걸린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데이터 관리가 되지 않는다면 고객 신뢰 및 기업의 가치가 하락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카카오 데이터 센터 화재를 들 수 있습니다. 리눅스 및 윈도우 서버 등에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방식으로 스냅샷(Snapshot)과 일반 백업(Backup) 크게 2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각각 다른…

  • 도메인 URL 차이

    도메인과 URL의 차이를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많이 햇갈리는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목차1. 기본적인 SEO EEAT 이해하기♣ Google SEO 품질 평가자 가이드라인2. YMYL이란?3. EEAT는 어떻게 반영될까?4. 블로그 포스트와 아티클(기사)1. 도메인 URL 차이: 도메인 웹페이지의 주소를 이야기 합니다. 2. Domain URL 차이: URL이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도메인이 포함된 경로를 이야기 합니다. 위와 같이 uknew.co까지가 도메인이며 하위 디렉토리인…

  • ICANN과 registry와 registrar 2개 기관의 차이

    목차1. 기본적인 SEO EEAT 이해하기♣ Google SEO 품질 평가자 가이드라인2. YMYL이란?3. EEAT는 어떻게 반영될까?4. 블로그 포스트와 아티클(기사)1. ICANN과 등록대행기관(registry) 및 등록대행업체(registrar)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은 우리말로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입니다. 도메인에 관련된 국제최상위 기구입니다. ICANN이 하는 일을 설명한 홈페이지 링크입니다. ICANN은 무슨 일을 합니까? ICANN은 1998년 설립된 세계적인 비영리 파트너십으로서 인터넷을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 망 사용료 법안: 2022년 발의 후 우리 생활이 달라지는 점은? &망사용료 법안 발의 국회의원 목록

    2022년 9월 인터넷을 달구고 있는 망 사용료 법안이 많은 논란을 만들고 있습니다. 망 사용료(Network usage fee)란 무엇이며, 어떠한 문제점을 앉고 있을까요? 그리고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업체와 CP(Contents Service Provider, CSP별칭으로 콘텐츠 제공자 CP)인 유튜브, 넷플릭스 등 콘텐츠 기업 간의 입장 차,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있을지 알아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