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UDP 포트 번호 목록

포트(Port)는 일반적으로 항구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IT에서 의미하는 포트는 데이터가 나오거나 들어오는 출입구를 뜻 합니다. TCP/UDP 포트는 리눅스와 윈도우 서버에서 공통적으로 프로토콜이 정해져 있으며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전송 계층 프로토콜에는 ‘전송제어프로토콜(TCP)’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이 있습니다.

통신 프로토콜은 크게 TCP/UDP 포트로 나뉘어짐.

TC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서버와 사용자의 브라우저 간에 문서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포트 번호: 80
  2. HTTPS/SSL/TLS
    • HTTP보다 보안이 더 강화된 프로토콜로,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합니다.
    • 포트 번호: 443
  3. TELNET (Tel + Network)
    • 원격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 에뮬레이션입니다.
    • 포트 번호: 23
  4. SSH (Secure Shell)
    • TELNET의 보안을 강화한 버전으로, 안전한 원격 접속을 제공합니다.
    • 포트 번호: 22
  5. FTP (File Transfer Protocol)
    • 네트워크를 통해 대량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제어 포트: 21; 데이터는 포트 20을 통해 전송됩니다.
  6.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메일 서버 간에 이메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포트 번호: 25
  7. POP3 (Post Office Protocol)
    • 일종의 ‘우체국 프로토콜’로, 메일 서버에서 컴퓨터로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됩니다.
    • 포트 번호: 110

UD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

  1. DNS (Domain Name Service)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포트 번호: 53
  2. BOOTPS/BOOTPC
    • DHCP 서버와 DHCP 클라이언트가 각각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포트 번호: DHCP 서버 – 67, DHCP 클라이언트 – 68
  3. TFTP (Trivial FTP)
    • 소량의 파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FTP의 단순화된 버전입니다.
    • 포트 번호: 69
  4.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네트워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주기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수집하기 때문에 UDP를 사용합니다.
    • 포트 번호: 161
  5. NTP (Network Time Protocol)
    • 인터넷으로부터 시간을 동기화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NTP 서버는 정확한 시간을 갖고 있는 서버입니다.
    • 포트 번호: 123
  6. SYSLOG
    •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로그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라우터 등의 장비들은 오류 로그를 따로 저장하지 않습니다.
    • 포트 번호: 514
리눅스(Linux)

TCP/UDP 포트 목록

포트 목록은 강제로 지정된 것은 아니며, IANA의 권고안입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Similar Posts

  • APM 설치 후 아파치 403 에러(403 Forbidden)

    리눅스에서 APM을 설치한 후에 아파치 403 에러가 뜰 경우 SELinux가 켜져 있는지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TC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UD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TCP/UDP 포트 목록1. APM 설치 후 아파치 403 에러 발생 시 퍼미션 확인 SELinux 설정을 끈 이후에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퍼미션(권한) 문제이기 때문에 폴더의 소유권과 권한을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 에러 로그를 확인 했을…

  • 윈도우 서버 IIS 도메인 연결[2022 ver]

    윈도우 서버 2022 버전에 IIS를 설치 한 후에 도메인 연결 작업을 진행 해 보겠습니다. IIS 도메인 연결 전 네임서버의 A레코드는 이미 윈도우 서버에 연결된 상태입니다. 테스트 도메인으로 진행합니다. 목차TC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UD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TCP/UDP 포트 목록✅ 폴더 권한 주기 도메인 연결 테스트를 위해 미리 생성한 C:\web 폴더에 권한을 줍니다. ✅ IIS 도메인 연결 먼저…

  • [Linux] 네트워크 본딩 [CentOS 7]

    리눅스는 여러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를 묶어 하나의 본딩 된 채널로 만들 수 있습니다. 하나의 논리적 인터페이스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네트워크 본딩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기가(Gbps) 속도의 네트워크 포트 4개를 묶으면, 합쳐서 4기가 속도처럼 쓸 수 있어 더 빠릅니다. 또한, 하나의 포트나 케이블, 스위치에 문제가 생겨도 나머지가 대신해서 네트워크가 끊기지 않도록 안전하게…

  • [Linux] ifcfg: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이더넷) | CentOS 7 ver.

    레드헷 계열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구성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파일에서 설정합니다. ifcfg(interface configuration)는 “이더넷” 장치를 어떻게 네트워크에 연결할지 설정하는 게 ifcfg-* 파일의 목적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물리적 또는 가상 장치입니다. 유선(이더넷 카드), 무선(Wi-Fi 어댑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리눅스에서는 eth0, wlan0, enp0s3 등 이름으로 식별하며 고유하게 관리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 되어 인터넷이나 로컬…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정의와 구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RDB)란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행(row)과 열(컬럼:Columm)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가 사전에 정의된 관계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모음입니다. 엑셀의 스프레드 시트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목차TC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UD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TCP/UDP 포트 목록✅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RDB)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관리하며, 테이블(Table)에는 행(row)과…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 운영 체제 소스 코드를 사용한 리눅스로 RHEL과 100% 버그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OS가 커뮤니티에서 집중적으로 개발 중이며,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뛰어난 안정성으로 2023년 최신 버전은 9.0입니다. 릴리스의 수명 주기는 10년입니다. 목차TC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UD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TCP/UDP 포트 목록 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 CentOS는 2000년대 초반에 안정적인 포인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