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ftpd 530 에러와 533 에러 발생 시 해결 방법

리눅스 서버에서 vsftpd 데몬이 설치되어 있는 서버에서 530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

FTP란-File Transfer Protocol

1. Selinux 해제

Selinux를 잘 다루면 좋겠지만 Selinux로 당장에 FTP 접속이 되지 않는다면 해제를 진행해 줍니다.

2. 방화벽 설정

이번에 설정한 서버의 방화벽은 FirewallD 였습니다. FTP 서비스와 포트를 추가해 주고 재시작을 진행 해 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ft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1/tcp
firewall-cmd --reload

3. vi /etc/vsftpd/vsftpd.conf

vsftpd.conf 파일의 패시브 모드 설정을 [YES] 설정해 줍니다.

pasv_enable=YES
pasv_min_port=21
pasv_max_port=330

패시브 모드 확인 패시브 포트 추가를 진행했습니다.

  • 방화벽 설정 적용과 FTP 설정 적용이 하나만 진행되었을 수 있으니 방화벽과 vsftpd 재 시작 후 정확한 테스트를 정확히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업로드 시 553 에러 발생 시

  • vsftpd.conf 파일에서 FTP에 파일 생성 및 업로드 시 설정되는 [local_umask]기본 값을 적용해 줍니다.
  • file_open_mode 도 0644로 설정 해 줍니다.
vi /etc/vsftpd.conf

local_umask=022
file_open_mode=0644

:wq!

systemcl restart vsftpd 
  • 마스크 값이 022일 경우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폴더 : 777 – 022 = 755
  • 파일 : 666 – 022 = 644

정상적으로 업로드 및 파일 수정이 가능할 경우 업로드 한 파일의 퍼미션 설정이 폴더는 755, 파일은 644로 잡혀 있어야 합니다. 설정 시 정상적으로 잡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TP란(File-Tranfer-Protocol)

vsftpd 530 에러와 533 에러 중에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Similar Posts

  • HTTP 404 에러(클라이언트 에러) 원인과 해결

    HTTP 상태 코드 중 하나인 HTTP 404 에러 페이지는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도메인의 URL이 삭제된 경우가 가장 흔한 경우이며, 메인 페이지 및 모든 페이지에서 404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문제를 어떤 경우가 있는지 확인 해 보겠습니다. 목차✅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1. Selinux 해제2. 방화벽 설정3. vi /etc/vsftpd/vsftpd.conf✅ 업로드 시…

  • APM 설치 후 아파치 403 에러(403 Forbidden)

    리눅스에서 APM을 설치한 후에 아파치 403 에러가 뜰 경우 SELinux가 켜져 있는지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1. Selinux 해제2. 방화벽 설정3. vi /etc/vsftpd/vsftpd.conf✅ 업로드 시 553 에러 발생 시1. APM 설치 후 아파치 403 에러 발생 시 퍼미션 확인 SELinux 설정을 끈 이후에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퍼미션(권한)…

  • |

    ORA-12514: 오라클 19c DB 접속 오류

    Oracle 19c를 윈도우에 설치 후 [ORA-12514: TNS:리스너가 현재 접속 기술자에 요청된 서비스를 알지 못함]이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목차✅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1. Selinux 해제2. 방화벽 설정3. vi /etc/vsftpd/vsftpd.conf✅ 업로드 시 553 에러 발생 시 ORA-12514 오류 > 파일 수정 여러가지 오류 확인 중 [lisener.ora] 파일과 [tnsnames.ora] 2개의 파일 수정을 먼저 진행했습니다. 2개…

  • HTTP 503 에러(Service Unavailable) 원인과 해결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발생하는 HTTP 503 에러(Service Unavailable)의 원인은 서버 측에서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서버 과부하, 서버 구성 오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목차✅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1. Selinux 해제2. 방화벽 설정3. vi /etc/vsftpd/vsftpd.conf✅ 업로드 시 553 에러 발생 시✅ HTTP 503 에러 로그 확인하기 먼저 503 error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 |

    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VM 인스턴스]

    오라클 클라우드 VM 인스턴스에서 고정 IP 설정까지 진행했지만 ping을 입력해도 요청 시간 만료로 timeout 오류가 되면서 응답이 없는 오류가 계속 발생했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1. Selinux 해제2. 방화벽 설정3. vi /etc/vsftpd/vsftpd.conf✅ 업로드 시 553 에러 발생 시오라클 클라우드 ping 오류 해결하기 방화벽…

  • 리눅스 톰캣 ERR_TOO_MANY_REDIRECTS 에러

    톰캣으로 운영 중인 서버에서 크롬으로 접속 시 “ERR_TOO_MANY_REDIRECTS”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톰캣 ERR_TOO_MANY_REDIRECTS 에러 원인과 해결 방법 목차✅ vsftpd 530 에러 시 확인 사항1. Selinux 해제2. 방화벽 설정3. vi /etc/vsftpd/vsftpd.conf✅ 업로드 시 553 에러 발생 시✅ ERR_TOO_MANY_REDIRECTS 톰캣 및 아파치 재시작(아파치 정지 되어 있었음) / “ERR_TIMED_OUT” 오류로 변경 이후에 사이트 접속 확인되었으나 사이트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