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SL

HSTS 설정방법

HSTS는 기존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면서 보안을 한층 강화한 방식입니다. 1. HSTS 설정방법 HSTS 설정방법은 리눅스 서버에서 설정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CDN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경우 CDN에서 설정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에서 설정하는 방법과 CDN 서버 설정방법, 그리고 https://hstspreload.org/에서 hsts preload 설정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1.1 리눅스 서버 설정방법 리눅스 서버의 root 권한이…

cyber-security

HSTS 보안&속도 2가지 장점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적용했을 경우 보안과 속도의 이점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말은 HSTS preload(사전로드) 기능이 사전로드(or 미리로드) 방식을 통해 기존 HTTPS가 적용된 사이트의 느려진 속도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습니다. 프리로드 등록은 해당 페이지에 등록하면 설정이 완료 됩니다. HTTPS부터 시작해서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에 대해 순차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HTTPS란…

cyber-security

SSL보안인증서 법규정

SSL보안인증서는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모든 웹사이트에 의무적으로 구축하도록 대한민국 법 규정에 정해져 있습니다. SSL보안인증서 법규정은 로그인이 필요한 개인정보가 있는 웹사이트와 (회원정보가 없어도)결제 모듈이 구축된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쇼핑몰에 SSL보안인증서 설치가 필수라는 것입니다. 1. HTTPS란 HTTPS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 (HTTPS) 사용하는 HTTP 프로토콜의 보안 버전입니다. SSL /TLS 프로토콜 암호화 및 인증을 위해. HTTPS는 다음에…

TTFB 속도

TTFB 속도(Time To First Byte Speed)

TTFB란 서버에 HTTP 요청이 보내진 후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가 첫 정보를 수신하는데(첫 번째 바이트를 읽는데 걸린 시간) 소요된 시간을 의미합니다. TTFB는 DNS 속도 측정 이후에 계산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네트워킹에서 TTFB는 DNS를 포함한 네트워크 대기 시간이 포함됩니다. 1. TTFB 과정 3단계 1.1 TTFB 서버 요청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을 입력 후 웹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도메인(domain)

도메인: 정의 및 개념 | 최상위 도메인(TLD)의 종류

도메인은 원래 ‘영토, 영역, 분야’ 등을 뜻하는 단어로, 오늘날에는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메인은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사람이 읽기 쉬운 주소입니다. 웹사이트는 본래 고유한 IP 주소(숫자)로 구분되지만,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문자 기반의 도메인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IP와 도메인 주소의 차이 | 인터넷 주소 체계 이해하기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Malware Zero

Malware Zero 다운로드 및 사용법

‘Malware Zero’ (mzk)는 네이버 카페 ‘바이러스 제로 시즌 2‘에서 만들어진 무료 배포 악성 코드 제거 스크립트입니다. 인터넛 익스플로러 또는 크롬 등의 여러 브라우저를 사용합니다. 이 때  ’11번가 광고’ 나 기타 옥션, 지마켓 등의 광고가 강제로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알게 모르게 설치된 악성 코드는 구글링 한 여러가지 방법을 써 봐도 효과가 거의 없는 경우는…

구라제거기

구라제거기 다운로드 링크

구라제거기(hoax eliminator)는 블루앤라이브(BLUEnLIVE)님께서 개발한 툴입니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및 인터넷 뱅킹 프로그램들은 우리가 사용하는 윈도우 PC의 성능을 느리게 만드는 프로그램이기도 하지요. nProte**, 안랩의 세이프 트랜잭션, 잉카인터넷 등 은행이나 증권사 홈페이지에서 강제로 다운 받게 설정된 프로그램들을 클릭 한번으로 삭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nProte** 프로그램 등을 자주 쓰지 않는다면 느려진 컴퓨터를 제대로 쓰기 위해서라도 hoax…

Windows10 hosts 파일 수정

Windows10 hosts 파일 수정

‘Windows10 hosts 파일 수정’은 보통 서버 이전이나 계정 이전 작업 후 DNS 레코드를 변경하기 이전에 이전 된 서버로 작업이 잘 이루어졌는지 미리 확인할 필요가 생긴다.일일이 DNS 서버 A레코드를 수정하여 확인하는 방법은 너무 번거롭기 때문에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테스트 하는 게 좋은 방법 중 하나 이다.호스트는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 없이 호스트 파일에…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