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워드프레스를 이용한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중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 자주 발생하는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Internal Server Error 원인과 해결 방법

HTTP 상태 코드 중에 하나인 워드프레스 500 에러 원인은 다양합니다. 기본적인 사항은 서버에 문제가 있으며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을 때 나오는 상태 코드입니다.

500 내부 서버 오류

웹 사이트에 재 접속 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원인은 다음 원인 중 하나 일 가능성이 큽니다.

1.1 .htaccess 파일 손상

워드프레스 HTTP Error 500 메시지가 나오는 원인 중 하나는 .htaccess 파일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FTP나 SSH 등을 통해 .htaccess 파일을 .htaccess_old 등으로 변경한 후에 접속이 된다면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내 [설정] > [고유주소]로 이동 후 [변경 사항 저장]을 누르면 .htaccess 규칙이 재작성 됩니다.

1.2 PHP 메모리 부족

PHP 파일의 기본 업로드 크기가 64M인 경우 wp-config.php 파일에서 메모리 제한을 늘릴 수 있습니다. 128M or 256M 등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PHP 메모리 설정 값 확인 방법1

/* That's all, stop editing! Happy publishing. */
define('WP_MEMORY_LIMIT', '256M');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 원인 중 PHP 메모리 리미트 체크

이용하는 호스팅 서비스에서 PHP 메모리 제한 설정도 같이 체크해 주면 되겠습니다.

1.3 플러그인 충돌

플러그인을 새로 설치 했을 때 관리자 페이지를 포함한 페이지 전체에 접속이 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한다면 새로 설치한 플러그인이 기존 플러그인과 충돌하는 것입니다.

목재 블록의 웹 사이트용 개념 플러그인

FTP나 SSH 접속 후 플러그인을 삭제하거나 플러그인 폴더 명을 변경한 후에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500 에러가 사라졌다면 새로 설치한 플러그인의 사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3가지 방법으로 확인했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호스팅 회사의 1:1 문의 게시판에 문의해서 문제 해결을 요청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웹 사이트 PHP 설정값 확인 방법

  1. PHP 메모리 값 확인을 위해서는 phpinfo() 함수를 만들어야 합니다. SSH나 FTP를 이용해서 루트 폴더에 info.php 파일 생성 후 파일 편집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붙여 넣어줍니다. ↩︎
<? phpinfo(); ?>
워드프레스 작업

Similar Posts

  • W3 Total Cache 플러그인: 최적화 세팅 방법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속도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필연적으로 느려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캐시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의 필수 플러그인 중 하나로 자리 잡을 수 밖에 없습니다. 프리 버전에서 100만 명 이상의 활성 설치와 4.4점의 별점을 받은 W3 Total Cache(W3TC) 플러그인은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플러그인 중 하나입니다. 캐시 설정은 사용 중인 다른 플러그인의 일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 워드프레스 관리자 비밀번호 분실 시: 변경&분실 재설정

    워드프레스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를 구축 후 얼마 되지 않았고 한동안 접속을 하지 않다가 임의로 설정한 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을 때 워드프레스 관리자 비밀번호 분실 시 난감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관리자 페이지에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방법과 분실 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Internal Server Error 원인과 해결…

  • [WP] 워드프레스 글 ID 및 카테고리 ID 확인 방법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관리할 때 글 ID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작업 도중 워드프레스 글 ID는 좌측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카테고리 ID 역시 카테고리 페이지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모장에 글 ID를 좀 더 큰 글자로 쉽게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Internal Server Error 원인과 해결 방법1.1 .htaccess…

  • WP-Cron(wp-cron.php): 비활성화 및 시스템 크론 설정 | 워드프레스 성능 최적화

    워드프레스에서 Cron 작업은 특정 시간이나 날짜에 예약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이 작업은 wp-cron.php 파일을 통해 실행되며, 워드프레스는 페이지가 로드 될 때마다 이 파일을 호출하여 예약된 작업을 처리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간편하지만, 트래픽이 많은 사이트에서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Internal Server Error 원인과 해결 방법1.1 .htaccess 파일 손상1.2…

  •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하기: WordPress Migration 작업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직접 AWS LightSail에서 관리하기 위해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서버 이전을 진행하게 된 이유는 위와 같은 이유 외 다양한 이유로 서버 이전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Internal Server Error 원인과 해결 방법1.1 .htaccess 파일 손상1.2 PHP 메모리 부족1.3 플러그인 충돌2. 웹 사이트 PHP 설정값 확인 방법…

  • 워드프레스 핑백 트랙백이란? 비활성화 방법 2가지

    핑백과 트랙백은 내 워드프레스 콘텐츠를 다른 웹사이트에 알리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두 가지 기능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핑백과 트랙백을 사용했을 경우 장점과 치명적인 단점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활용 팁 핑백과 트백백 기능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와 미사용 방법과 왜 사용을 지양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워드프레스 500 내부 서버 오류Internal Server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