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YUM 개념과 기본 명령어
YUM(Yellow dog Updater, Modified)은 레드햇(RPM)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설치 및 관리 도구입니다. 기존의 RPM 방식은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문제로 사용자가 필요한 도구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YUM은 이러한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 주며, 필요한 패키지와 관련된 의존 패키지를 함께 설치하여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의존성이 존재할 때 관련된 다른 패키지들을 자동으로 먼저 설치 해 줍니다. 패키지 저장소를 수용하는 패키지 검색 후 다운로드와 설치를 처리하면서 패키지 의존성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우분투 계열의 APT와 유사한 기능을 하며, Fedora, CentOS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필수적인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YUM이 ‘노란 개 업데이터’라는 이름을 갖게 된 이유는, 한때 존재했던 Yellow Dog Linux의 패키지 관리 도구였던 Yellowdog Updater가 레드햇 계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개량(modified)되었기 때문입니다.
✅패키지 의존성
패키지 의존성은 특정 패키지를 설치할 때, 그 패키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패키지를 먼저 설치해야 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리눅스에서 응용 프로그램(패키지)을 설치할 때, 해당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를 패키지 의존성이라 하며, 만약 의존 관계에 있는 패키지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패키지를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패키지 A를 설치하려면 패키지 B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 YUM은 의존성 있는 패키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
✅ yum 명령어(기본)
yum 명령어 29506_9ed8a3-42> |
사용 예시 29506_c5a400-65> |
설명 29506_2685d1-b4> |
---|---|---|
yum search 29506_cc97bc-c6> |
yum search apache 29506_15ebdd-5e> |
설치 가능한 패키지 검색. 패키지 검색 시 패키지나 키워드를 같이 기입해야 한다. 29506_029607-69> |
yum list updates 29506_847a84-6f> |
yum list updates php 29506_79e0c9-c3> |
현재 서버에 설치된 패키지들 중에서, 저장소에 최신 버전이 존재하는 목록을 확인할 수 있음. 확인 후 업데이트를 통해 특정 패키지를 업데이트 함. 29506_c4dca1-0e> |
yum update 29506_a156e1-e7> |
yum update php 29506_b08d14-86> |
· 모든 yum 패키지를 업데이트 함. |
yum check-update 29506_fa67c6-39> |
yum check-update |
설치된 프로그램 중 업데이트 된 것을 체크해줌. 29506_755f8e-c5> |
–exclude=kernel* 29506_23bacd-77> |
yum update –exclude=kernel* 29506_50fe1f-71> |
전체 시스템 패키지 업데이트를 진행할 때 커널 관련 패키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패키지들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 29506_a81146-0c> |
check-update 29506_aef694-48> |
yum check-update php 29506_10ef73-6d> |
설치된 프로그램 중 업데이트 된 것을 체크해줌. 29506_962b23-2d> |
yum -y install 29506_2fe8ce-1a> |
yum -y install [패키지명] |
yum 패키지 설치 29506_e7e203-d4> |
yum repolist 29506_705dea-32> |
. 29506_2b3bbb-53> |
· 현재 추가된 저장소가 표시 · vi /etc/yum.repos.d/저장소이름.repo |
yum list 29506_4c21d7-74> |
yum list httpd 29506_b9ca87-a7>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들 및 저장소에서 제공되는 패키지 목록을 조회 29506_05f770-44> |
yum list all 29506_6ecf00-6c> |
yum list all httpd |
yum list 명령만으로도 설치된 패키지와 설치할 수 있는 패키지가 모두 표시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설치할 수 있는 패키지가 표시되지 않을 때 yum list all을 사용하여 모든 패키지를 확인할 수 있음. 29506_00d021-97> |
yum list available 29506_b0cb64-7e> |
. 29506_36dc57-7e> |
현재 활성화된 저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목록을 출력 29506_2978b5-69> |
yum list updates 29506_ed0835-39> |
. 29506_81b82d-f9> |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 중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출력 29506_a7d822-ba> |
yum clean 29506_c9315f-5f> |
yum clean packages |
패키지 캐시만 삭제합니다. |
–skip-broken 29506_4cbb91-00> |
yum –skip-broken update httpd 29506_adc929-d6> |
충돌 패키지 건너뛰고 기존 패키지들 업데이트 (~]# yum clean all 실행 후 => yum update를 해주면 |
dnf 명령어 29506_f37bc5-01> |
yum –skip-broken update httpd 29506_5fdac6-98> |
Dandified YUM · 더 멋지게, 다듬어진 YUM이라는 뜻 |
삭제 명령어 29506_a9fc2e-2a> |
사용 예시 29506_7ba846-0f> |
설명 29506_df725a-73> |
---|---|---|
yum remove 29506_f9a506-25> |
yum remove [패키지명] |
패키지 삭제 [의존성에 의해 같이 설치된 프로그램을 같이 삭제] 29506_0b6907-de> |
yum erase 29506_198892-9a> |
yum erase [패키지명] 29506_cfc5e5-de> |
시스템에서 패키지 제거 [의존성에 의해 같이 설치된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는다. 29506_eff3e9-b9> |
🔲 커널을 제외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이유
🔲 yum cache
YUM 캐시는 패키지 관리자가 패키지 설치, 업데이트, 삭제 등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임시 데이터입니다. YUM은 패키지 설치 및 관리 시, 다운로드한 패키지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해두며, 이는 다음에 같은 작업을 수행할 때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yum clean all
yum clean all은 YUM의 모든 캐시를 완전히 삭제합니다. 이는 패키지 캐시, 메타데이터 캐시, 로그 파일 등 모든 관련 캐시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디스크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캐시를 전부 정리할 때 사용됩니다.
🔲 yum –skip-broken update
‘–skip-broken’ 옵션은 패키지 설치나 업데이트 중 의존성 충돌이나 문제가 발생한 패키지를 건너뛰고, 나머지 정상적인 패키지들만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합니다.
- 충돌 패키지 건너뛰기:
- 예를 들어, 패키지 A가 다른 패키지 B와 의존성 충돌을 일으키면, yum update는 해당 패키지들을 업데이트할 수 없습니다. yum –skip-broken update를 사용하면, 충돌이 일어난 패키지를 건너뛰고 나머지 정상적인 패키지들만 업데이트가 됩니다.
- 문제 해결 후 다음 조치:
- yum clean all을 실행하여 yum 캐시를 정리하고, yum update를 실행하면 문제 있는 패키지를 쉽게 조회하고, 그 후 해당 패키지를 삭제하거나 문제를 해결한 후 다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yum clean all: Yum 캐시를 모두 삭제하여 오래된 메타데이터와 패키지를 제거합니다. 이로 인해 패키지 설치나 업데이트 중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캐시 문제를 해결합니다.
- 그 후, yum update를 다시 실행하여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이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
- 업데이트가 중단될 수 있는 상황에서: 패키지의 의존성 문제가 발생하여 전체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경우, 나머지 패키지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문제 있는 패키지는 추후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빠른 해결책: 특정 패키지가 문제가 되어도 나머지 패키지는 빠르게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설정 파일: /etc/yum.conf | /etc/dnf/dnf.conf
yum의 동작 방식을 /etc/yum.conf 파일을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conf 파일을 수정할 일은 거의 없으며, 어떤 내용이 있는지 정도로 알고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이해하는데 참고하면 좋습니다.
- cachedir
- yum 이 다운로드 받는 패키지를 어디에 저장할 지 여부를 설정하는 옵션으로 $basearch 는 “x86_64” 같은 시스템의 아키텍처 문자열로 치환되며(uname -m 과 동일) $releasever 는 RHEL이나 CentOS 의 메인 릴리스 버전(6 등)으로 치환된다. 64비트의 CentOS 6.5 를 설치했을 경우 cachedir 은 “/var/cache/yum/x86_64/6/” 이다.
- keepcache
- 0 또는 1로 설정 가능하며 0 으로 설정할 경우 패키지 설치가 성공하면 헤더와 패키지의 캐쉬를 유지하지 않으며 1이면 캐쉬를 유지한다. 0이 기본 값이다.
- debuglevel
- 디버깅을 위해 자세한 정보를 출력하는 옵션으로 정보 출력의 단계에 따라 0 부터 10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숫자가 클 수록 자세한 정보를 출력하며 0 으로 설정할 경우 정보를 출력하지 않으며 2가 기본 값이다.
- logfile
- yum 이 로깅을 남길 로그 파일의 절대 경로를 설정하며 기본 값은 /var/log/yum.log 이다.
- exactarch
- 0 또는 1로 설정할 수 있으며 1로 설정했을 경우 업데이트시 이미 설치된 패키지와 아키텍처가 일치할 경우에만 업데이트하며 1이 기본 설정이다.
- obsoletes
- 업데이트 명령에만 영향을 미치는 설정으로 0 또는 1로 설정할 수 있으며 1로 설정했을 경우 쓸모없게 된 패키지는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 전체 배포판의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1이 기본 설정이다.
- gpgcheck
- 1로 설정되었을 경우 GNU PG 로 전자 서명한 서명값의 유효성 및 위변조 여부를 검사하며 0 일 경우 검사하지 않는다. 신뢰받는 벤더가 배포한 패키지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1로 설정하는 게 좋으며 1이 기본 설정이며 gpgcheck 는 개별 저장소마다 별도로 설정이 가능하다.
- plugins
- yum 은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1 로 설정했을 경우 yum 의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고 0 일 경우 사용할 수 없으며 1이 기본 설정이다.
- installonly_limit
- 대부분의 패키지는 새 버전이 나오면 설치하고 예전 버전을 덮어 쓰고 최신 버전 하나만 갖고 있게 되지만 예전 버전을 계속 갖고 있어야 하는 패키지들이 있다. 예로 리눅스 커널이 업데이트 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새로운 커널로 부팅했을 때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생겨서 예전 커널로 부팅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커널 패키지는 예전 버전을 계속 남겨두어야 한다. installonly_limit 는 이렇게 새 버전을 설치해도 예전 버전을 갖고 있어야 하는 패키지가 동시에 갖고 있을 예전 버전의 최대 갯수를 지정하며 RHEL 6은 3, CentOS 6 은 5로 지정되어 있다.
- bugtracker_url
- CentOS 에만 있고 RHEL 에는 없는 설정으로 버그가 발생했을 경우 보고할 URL 이다.
- distroverpkg
-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하기 위한 패키지를 설정하며 “yum whatprovides centos-release” 명령어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group_package_types
- 설정 파일에는 없는 항목으로 yum 의 그룹 관련 명령어중 groupinstall,, groupremove 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으로 mandatory, default,optional 세 가지의 설정이 가능하며 콤마를 구분자로 하여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다. 그룹내 패키지들은 Mandatory, Default, Optional 로 분리되어 있으며 mandatory, default 로 설정되어 있으면 groupinstall 명령어 수행시 mandatory, default 패키지만 설치한다. 기본 설정은 “mandatory, default ” 이다.
✅ 저장소: /etc/yum.repos.d/
.repo 파일들이 들어 있는 /etc/yum.repos.d/ 디렉터리는 YUM 및 DNF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저장소(repository) 설정 파일을 보관하는 위치입니다. 각 .repo 파일은 저장소의 이름, URL, 활성 여부 등을 정의하며 패키지 설치와 업데이트에 사용됩니다.
✅ 로그: /var/log/yum.log | /var/log/dnf.log
패키지 관리자에서 수행한 작업의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입니다.
✅ 캐시 데이터: /var/cache/yum | /var/cache/dnf/
다운로드한 패키지와 메타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디렉터리입니다. 디스크 공간 확보를 위해 yum clean all 또는 dnf clean all 명령어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 etc/yum | /etc/dnf/
디렉터리는 [YUM | DNF]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기본 디렉터리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nf : 전역 설정 파일 (캐시 설정, GPG 체크, 자동 업데이트 관련 설정 등 포함)
- /plugins/ : 플러그인 설정 파일들이 들어 있는 하위 디렉터리 (있을 경우)
이 디렉터리를 통해 [YUM | DNF] 동작 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