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루 레코드란? 개인 네임서버 등록 지원을 하는 namecheap

글루 레코드

글루 레코드(Glue Record)는 NS 레코드를 가리키는 A 레코드입니다. 도메인을 호스팅 서버에 연결하려면 네임서버를 거치게 되기 되며, 네임서버 연결 시 확인되는 도메인은 앞에 ns1.domain.com 및 ns1.domain.com처럼 서브로 ns1이 붙는 2차(서브) 도메인입니다.

개인 네임서버를 위한 Glue Record 등록 지원 namecheap

보통 이용하는 호스팅 회사의 네임서버를 사용하지만 namecheap에서 도메인을 구매 후 사용할 경우 개인 네임서버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namecheap 도메인 이름에 대한 Glue Record를 지원합니다.

Cpanel의 Glue Record

Cpanel에서도 DNS Zone Manager을 이용해서 기존의 A, Cname 레코드 등 사용하는 레코드와 함께 Glue Record를 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호스팅 회사가 Cpanel 기반 회사라면 문의 게시판에 문의 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DNS(domain name system)

Similar Posts

  • Logging이란 무엇인가?

    Log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기록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를 포함한 OS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정보 제공을 하는 로그를 남기는 행위 자체가 Logging입니다. ‘Log’는 일반적으로 ‘기록’ 또는 ‘일지’를 의미합니다. 원래 ‘log’는 항해에서의 ‘항해 일지’나 ‘선박의 운항 기록’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며, 나무를 뜻하는 의미도 있었습니다. ‘Logbook’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사건이나 상태를 일정 기간 동안 기록하는 책을…

  • 핫스왑(Hot Swap) 핫플러그(Hot Plug) 차이

    핫스왑(Hot Swap)과 핫플러그(Hot Plug)는 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고 장치를 연결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Hot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이 가동 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뜨겁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단어에서 교환과 연결이라는 개념으로 적용된 차이점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글루 레코드개인 네임서버를 위한 Glue Record 등록 지원 namecheapCpanel의 Glue Record✅ 핫스왑(Hot…

  • JPEG vs PNG 파일 크기와 속도 비교하기

    웹사이트에 이미지 파일 확장자를 업로드 할 때 적절한 이미지 파일 형식을 고민하게 됩니다. 수 많은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 중에 JPEG 파일과 PNG 파일 사이에서 고민하게 됩니다. JPEG vs PNG 파일의 다른 점은 무엇이며, 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있어 어떤 파일을 사용하는 게 효과적일까요? 우선 차이점부터 알아봐야 합니다. 이 글에서 다룰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손실 vs…

  • 도메인 URL 차이

    도메인과 URL의 차이를 간단히 알아 보겠습니다. 많이 햇갈리는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목차글루 레코드개인 네임서버를 위한 Glue Record 등록 지원 namecheapCpanel의 Glue Record1. 도메인 URL 차이: 도메인 웹페이지의 주소를 이야기 합니다. 2. Domain URL 차이: URL이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도메인이 포함된 경로를 이야기 합니다. 위와 같이 uknew.co까지가 도메인이며 하위 디렉토리인 ‘도메인이란’이 포함된 모든 주소가 URL이 됩니다.

  • HDD SSD 차이 7가지

    HDD SSD 차이로 볼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인식은 SSD가 더 작은 크기지만 HDD에 비해 더 빠른 성능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DD와 SSD는 컴퓨터의 기본 구성 중에 보조 기억 장치에 속하게 됩니다. 보조 기억 장치는 주 기억 장치인 RAM보다 용량이 크지만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망 사용료 법안: 2022년 발의 후 우리 생활이 달라지는 점은? &망사용료 법안 발의 국회의원 목록

    2022년 9월 인터넷을 달구고 있는 망 사용료 법안이 많은 논란을 만들고 있습니다. 망 사용료(Network usage fee)란 무엇이며, 어떠한 문제점을 앉고 있을까요? 그리고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업체와 CP(Contents Service Provider, CSP별칭으로 콘텐츠 제공자 CP)인 유튜브, 넷플릭스 등 콘텐츠 기업 간의 입장 차,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있을지 알아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