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란? | 라우터 역할과 게이트웨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라우터(Router)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인 인터넷을 연결해 주는 장치로써 내부의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을 스위치가 담당하게 되고 네트워크 계층(3계층)을 Router가 담당하게 됩니다.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것이 라우팅이며, 라우팅을 위해 Router가 필요합니다.

✅ 라우터의 기본 기능

  • Router는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으며,
라우터와 스위치
  • 레이어 2 스위치는 모든 컴퓨터를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게 만들어 줍니다. 허브와 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없습니다.
레이어 2 스위치 기본 연결

✅ 라우터(Router)와 게이트웨이(GateWay)

Router가 네트워크를 분할 해 줍니다.

라우터 및 스위치-게이트웨이 설정

191.168.1.0/24 네트워크에 속하는 192.168.1.1의 컴퓨터가 우측의 192.168.2.0/24에 있는 컴퓨터 중 한 곳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192.168.2.x IP 주소로 설정된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게 됩니다.

1. GateWay

GateWay는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지점으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이 다를 경우 중재 역할을 합니다. 게이트웨이 장비로 라우터를 사용하는 것이며 L3 스위치 또는 라우터 장비를 사용하게 됩니다.

2. Router

Router는 OSI 7 계층 중에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장비이며, 내부 내트워크와 외부 내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장치인 Router는 크게 2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경로 설정
  • 데이터와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경로로 전송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결정
  • 스위칭
  • 경로 설정 후 해당 경로로 데이터 패킷을 넘겨 주는 것

3. Routing

앞서 언급한 것처럼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것을 라우팅입니다.

4.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라우팅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라이팅 테이블입니다.

Routing Table은 소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수동 등록이 적합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자동으로 등록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라우팅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해서 라우터 간 경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그것을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하게 됩니다.

Similar Posts

  • MAC 주소와 프레임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MAC address)는 OSI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해 컴퓨터의 랜 카드에 할당되어 있는 주소이며, 제조할 때 할당된 주소로 ‘물리 주소’로도 부르고 있습니다. 목차✅ 라우터의 기본 기능✅ 라우터(Router)와 게이트웨이(GateWay)1. GateWay2. Router3. Routing4.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MAC 주소 맥 주소는 48비트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에 24비트는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이며,…

  • [데이터 링크 계층]이더넷(Ethernet)과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입니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Ethernet)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인 이더넷(Ethernet)은 일반적으로 LAN, MAN, WAN에서 활용되는 표준 기술 규격 중 하나입니다. Ethernet은 빛의 매질로 여겨진 에테르(ether)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Ethernet은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유/무선 통신장비인…

  • [NetWork] 네트워크 구성도 | 랜(LAN)과 왠(WAN)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받는 쪽과 서비스를 제공 쪽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두 가지 경우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도는 다르게 적용됩니다.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경우는 집에서 인터넷을 접속하는 경우와 회사에서 인터넷에 접속해 업무를 보는 경우입니다. 서비스는 제공하는 경우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IDC), 회사 서버실에 서버를 놓고 운영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목차✅ 라우터의 기본 기능✅ 라우터(Router)와…

  • [네트워크]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 랜 카드 |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OSI 계층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OSI 물리 계층의 역할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 라우터의 기본 기능✅ 라우터(Router)와 게이트웨이(GateWay)1. GateWay2. Router3. Routing4.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물리 계층: ‘전기 신호’ 변환 과정 물리 계층에서…

  • DHCP란?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말 그대로 동적으로 호스트를 구성하는 규약입니다. 실제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장치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입니다. 목차✅ 라우터의 기본 기능✅ 라우터(Router)와 게이트웨이(GateWay)1. GateWay2. Router3. Routing4.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DHCP 사용 예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가 자동으로 다음 정보를 DHCP…

  • IPMI란 무엇인가?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는 서버의 전원이 꺼졌거나 운영체제가 다운된 경우에도, 하드웨어 수준에서 원격으로 서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드웨어 기반의 관리 인터페이스입니다. 인텔이 주도하여 정의한 하드웨어 관리 표준(1998년 시작)으로, 다양한 서버 제조사가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 버전은 IPMI 2.0입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이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서버가 오류가 발생하여, 외부 망에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