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 /etc/fstab으로 자동 마운트 설정

리눅스에 추가 HDD 또는 SSD 등의 스토리지를 추가 후 사용하려면 먼저 포맷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작업까지 진행해서 사용하기 전에 먼저 스토리지 포맷과 파일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는 과정부터 진행 해 보겠습니다.

✅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하기

  • 파일 시스템 구축 순서
  • 스토리지를 컴퓨터에 장착합니다.
  • 파티션 생성으로 연결된 스토리지 장치 파일 확인
  • 스토리지 포맷 진행
  • 구축할 파일 시스템 결정
  • mkfs 명령어를 사용해서 파일 시스템 구축
  • 마운트 작업하기

1. 파일 시스템 포맷

AWS 클라우드에서 EBS 볼륨을 연결했으며 장치 파일을 확인 후 mkfs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을 구축(포맷)합니다.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S
xvda    202:0    0   10G  0 disk 
├─xvda1 202:1    0   99M  0 part /boot/efi
├─xvda2 202:2    0 1000M  0 part /boot
├─xvda3 202:3    0    4M  0 part 
├─xvda4 202:4    0    1M  0 part 
└─xvda5 202:5    0  8.9G  0 part /
xvdf    202:80   0  125G  0 disk 
├─xvdf1 202:81   0   10G  0 part 
├─xvdf2 202:82   0   10G  0 part 


mkfs -t ext4 /dev/xvdf1

포맷을 미 진행 후 마운트 할 경우 생성한 파티션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ount: /mnt: wrong fs type, bad option, bad superblock on /dev/xvdf1,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 or other error.

2. 마운트 진행

새로 생성한 /new_mount 폴더에 ext4로 마운트를 진행했습니다.


mount -t ext4 /dev/xvdf1 /new_mount

xvda    202:0    0   10G  0 disk 
├─xvda1 202:1    0   99M  0 part /boot/efi
├─xvda2 202:2    0 1000M  0 part /boot
├─xvda3 202:3    0    4M  0 part 
├─xvda4 202:4    0    1M  0 part 
└─xvda5 202:5    0  8.9G  0 part /
xvdf    202:80   0  125G  0 disk 
├─xvdf1 202:81   0   10G  0 part 
├─xvdf2 202:82   0   10G  0 part 

3. 마운트 해제

umount /dev/xvdf1

✅ etc/fstab 설정: 리눅스 자동 마운트

서버가 재부팅 후에도 자동 마운트가 되도록 etc/fstab 설정이 필요합니다. 먼저 마운트 된 파일을 언마운트 해 준 다음에 진행합니다.

vi /etc/fstab

UUID=ace96e55-1978-405c-bd18-557936b20f75 /                       xfs     defaults        0 0
UUID=3e1825a9-fb5f-492b-829e-0c8c760995ad /boot                   xfs     defaults        0 0
UUID=167C-0324          /boot/efi       vfat    defaults,uid=0,gid=0,umask=077,shortname=winnt 0 2

fstab 필드의 항목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UUID 확인하기

먼저 blkid 명령어로 UUID를 확인합니다.

~#] blkid /dev/xvdf1
/dev/xvdf: UUID="c26de42c-6708-4896-8af5-6589907ca1e2" TYPE="ext4"
UUID는 장치나 스토리지 내 파티션에 할당되는 고유값입니다.

2. fatab에서 자동 마운트 설정하기

vi /etc/fstab

UUID=ace96e55-1978-405c-bd18-557936b20f75 /                       xfs     defaults        0 0
UUID=3e1825a9-fb5f-492b-829e-0c8c760995ad /boot                   xfs     defaults        0 0
UUID=167C-0324          /boot/efi       vfat    defaults,uid=0,gid=0,umask=077,shortname=winnt 0 2
UUID=c26de42c-6708-4896-8af5-6589907ca1e2 /new_mount              ext4    defaults        0 0

✅ mkf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mkfs 명령어는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mkfs”는 “Make File System”의 약자이며, 지정된 장치에 파일 시스템을 만들어 초기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mkfs(Make File System)
  • 리눅스 파일 시스템 포맷 표준 명령어
  • 파일 시스템 명령어
mkfs -[옵션] [대상 디바이스 파일] [사이즈]
# 사용 예
mkfs -t ext4 /dev/xvdf1

1. mkfs 옵션

Similar Posts

  • 리눅스 프롬프트(Prompt)란?

    리눅스 셸에서 프롬프트는 CLI(커멘드 라인 인터페이스)의 명령줄 대기 모드를 뜻 합니다. 커맨드 프롬프트(command prompt) 또는 셸 프롬프트(shell prompt)로 불립니다. Command Prompt는 명령을 입력/발행할 수 있는 터미널 에뮬레이터(CLI)의 입력 필드입니다. 참조: 내 Linux 명령 Prompt는 무엇을 알려줍니까? 목차✅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하기1. 파일 시스템 포맷2. 마운트 진행3. 마운트 해제✅ etc/fstab 설정: 리눅스 자동 마운트1….

  • 리눅스 tmp 디렉토리: /tmp와 /var/tmp 차이

    리눅스 tmp 디렉토리는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주로 /tmp와 /var/tmp 디렉토리를 사용합니다. /tmp는 일시적인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시스템이 재부팅 되면 대부분의 파일이 삭제됩니다. 따라서 빠른 입출력과 임시 작업에 적합하며, 주로 프로세스가 실행 중 생성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반면에 /var/tmp는 재부팅 후에도 파일이 유지되는 임시 저장 공간입니다. 장기간 유지가 필요한 임시 파일이나 작업…

  • [Linux] mod_ssl.so Apache 모듈 설치하기

    아파치를 사용하는 리눅스 서버에 SSL을 적용하려고 할 때 아피치 모듈 중 mod_ssl.so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목차✅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하기1. 파일 시스템 포맷2. 마운트 진행3. 마운트 해제✅ etc/fstab 설정: 리눅스 자동 마운트1. UUID 확인하기2. fatab에서 자동 마운트 설정하기✅ mkf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1. mkfs 옵션✅ mod_ssl.so 설치 ✅ 서버 방화벽 포트 443 열어두기…

  • [우분투] AH00558: apache2: Could not reliably ..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 using 127.0.1.1. Set

    우분투 서버에서 APM까지 설치 후 서버에서 apache2ctl -t 무결성 및 apache2ctl graceful 명령어 입력 중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오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하기1. 파일 시스템 포맷2. 마운트 진행3. 마운트 해제✅ etc/fstab 설정: 리눅스 자동 마운트1. UUID 확인하기2. fatab에서 자동 마운트 설정하기✅ mkf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1….

  •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와 명령어 옵션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는 ‘리눅스 명령어 인수‘, ‘명령 인자‘ 등으로도 불리며,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매개변수를 뜻 합니다. 리눅스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가리킵니다. 이 값은 해당 프로그램이나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정의에…

  • 리눅스 시스템 로그 정의 및 분류

    리눅스 시스템 로그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기록하며,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로그 파일은 시스템의 동작, 오류, 보안 관련 이벤트 등을 기록하고, 관리자는 이를 통해 시스템의 상태를 점검하며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고, 트러블슈팅 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목차✅ 리눅스 디스크 마운트 하기1….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9   =